<버드맨> 포스터

<버드맨> 포스터 ⓒ 이십세기폭스코리아(주)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는 기대감을 애써 누르며 영화관을 찾았다. 기대가 높아서 좋을 게 없다는 것을 경험상 깨달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대란 게 누른다고 눌러지는 건 아니다. 솔직히 말해 기대를 잔뜩 숨긴 표정만을 겨우 남긴 채 영화를 보러 갔다. 물론 그 아래엔 터질 듯한 기대감이 들끓고 있었다.  

그런데 이걸 어쩌나. 경험이 모든 걸 설명해주는 건 아니라는 걸 깨달았으니. 근래에 보러 간 영화를 다 합친 것보다 더 큰 기대를 안고 갔지만, 늘 그렇듯 <버드맨>을 보고 기대를 넘어서는 강렬한 울림을 받았다. 영화를 둘러싼 수많은 호평이 결코 공허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했다.

 영화 <버드맨>의 한 장면

영화 <버드맨>의 한 장면 ⓒ 이십세기폭스코리아(주)


<버드맨>에 대한 호평 중 빠지지 않는 것이 바로 '촬영'이다. 제87회 아카데미 시상식을 본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촬영감독 엠마누엘 루베즈키는 촬영상을 받았다. 이동진을 비롯한 여러 평론가는 <버드맨>의 롱테이크 촬영 기법을 칭송했다. 나는 무엇보다 카메라에 집중하며 영화를 볼 수밖에 없었다.

영상은 예상을 뛰어넘었다. 카메라 워킹은 물 흐르듯 부드러웠고, 특유의 느린 듯 긴장감을 놓지 않는 리듬은 나를 압도했다. 영화는 거의 하나의 컷으로 이뤄졌다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물론 촬영 기술이 발전하기도 했지만, 무엇보다 감독의 철저한 전략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다. 

다음 장면을 기억해보자. 리건 톰슨(마이클 키튼 분)이 물건을 집어 던지며 대기실을 난리 통으로 만들 때, 제이크(자흐 갈리피아니키스 분)가 '마침' 방으로 들어온다. 리건에게 거짓말을 한 뒤 방을 나서는 제이크에게 '마침' 레슬리(나오미 왓츠 분)와 로라(안드레아 라이즈보로 분)가 말을 건다. 이후 레슬리가 방으로 들어가 리건을 위로하고 다른 문으로 나온다. 그때 '마침' 반대편 문에서 마이크(에드워드 노트 분)이 문을 빼꼼 연다.   

여기서 '마침'이라는 단어가 중요하다. 이 영화는 롱테이크로 찍혔다. 위의 장면에서 단 한 대의 카메라만이 인물의 동선을 좇는다. 그러니까 배우와 스태프는 단 한 번에 저 모든 '연속적'인 상황을 만들어야 했다. 여기선 무엇보다 배우들의 합이 중요하다. 사실상 영상 속의 시간과 촬영 현장 속의 시간은 같다. 그러므로 '마침' 일어나는 행동의 시간차는 최소한으로 줄여야 하며, 인물의 동선도 철저하게 정해져야 한다.   

 영화 <버드맨>의 한 장면

영화 <버드맨>의 한 장면 ⓒ 이십세기폭스코리아(주)


일반적인 영화와 비교하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리건과 제이크의 대화 이후 방을 나서는 제이크의 뒷모습을 담은 장면, 이후 문밖 복도에서 레슬리와 로라를 잡은 장면, 문을 열고 나오는 제이크를 정면에서 담은 장면, 제이크가 레슬리의 옆으로 지나가자 다시 레슬리와 로라를 잡은 장면까지. 그녀들은 제이크를 비난하고 제이크는 멀리서 흥분한 채로 소리 지른다.

뭐 이런 식이 아니었을까. 이러한 구성에서 시간을 고려한 전략은 필요하지 않다. 왜냐하면 영상의 시간은 분절되어 있고, 영화에서 보여주지 않는 시간을 함축하기 때문이다. 영화는 최대한 자연스럽게 시간의 공백을 메우려고 하지만 현명한 관객이라면 영화의 시간을 촬영 현장의 시간과 동일하다고 생각지 않을 것이다. 제이크가 리건의 방을 나설 때 굳이 레슬리와 로라가 복도에 서 있을 필요가 없고, 레슬리가 문 앞을 지나칠 때 맞춰 마이크가 굳이 문을 열 필요가 없다. 각각의 상황을 따로 찍고 편집으로 이어붙이면 된다. 

 영화 <버드맨>의 한 장면

영화 <버드맨>의 한 장면 ⓒ 이십세기폭스코리아(주)


그렇다면 이러한 롱테이크 기법의 효과 혹은 의도는 무엇일까. 한국 영화계에서 '롱테이크'하면 홍상수 감독이 떠오른다. 그런데 홍상수의 롱테이크와 이냐리투의 롱테이크는 성격이 다르다. 홍상수의 롱테이크는 투박하고 무디다. 홍상수는 영화에서 '데드 타임(dead time)'을 버리지 않았다. 쓸데없는, 혹은 서사와 동떨어진 영상을 자르지 않았다는 말이다. 혹시 홍상수의 영화에서 지루함을 느낀 사람이라면 잘려나가지 않은 '데드 타임' 때문이리라. '데드 타임'이 죽지 않고 살아남기 때문에 그의 영화에서 시간은 전면화된다. 홍상수는 결국 영화는 시간의 예술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셈이다. 그러므로 홍상수에게 롱테이크란 어쩌면 시간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기 위한 수단에 불과할지도 모른다. 그의 롱테이크는 자르지 않았기 때문에 이어지는 하나의 컷이다.

이냐리투의 롱테이크는 정반대다. 그의 롱테이크는 세련되고 매끄럽다. 그의 롱테이크는 시간이 아니라 사건의 연속성을 담보하기 위한 방식이다. 같은 롱테이크를 사용했지만, 홍상수의 작품에서 지루함을 느꼈던 사람이 이냐리투에게선 지루함을 느끼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끊임없이 움직이는 카메라, 멈추지 않고 발생하는 사건에서 시간은 오히려 사라진다. 이냐리투의 다른 영화를 아직 못 봐서 단정하긴 이를지 모르지만, 이건 가히 이냐리투만의 롱테이크라고 부를 법하다. 그리고 나는 그만의 롱테이크를 '연극적' 롱테이크라고 이름 붙이고 싶다.

 영화 <버드맨>의 한 장면

영화 <버드맨>의 한 장면 ⓒ 이십세기폭스코리아(주)


<버드맨>에서 연극은 핵심적 소재다. 영화는 사실상 연극에서 시작해 연극으로 끝난다. 그런데 가끔 연극과 (영화 속) 일상이 혼동되는 순간이 있다. 특히 영화 초반에 리건이 앉은 테이블에서 연극 대본 연습을 하는 장면에선 리건이 연기 지적을 하기 전까지 일상의 대화인 줄 알았다. 물론 손에 들고 있는 종이를 의심하긴 했지만. 그리고 샘(엠마 스톤)이 리건에게 막말을 퍼붓는 장면에서는 마치 하나의 연극을 보는 것 같았다. 짐작건대 이냐리투는 연극과 영화가 중첩되는 지점을 노렸던 게 아닐까.

<버드맨>에서 연극은 기술적인 차원에서도 영화에 침범한다. 결론부터 말하면 롱테이크는 영화를 마치 하나의 연극처럼 상연하기 위한 수단이다. 촬영 시간과 영화 시간이 (표면적으로) 다르지 않다는 점. 인물의 동선이나 사물의 배치, 배우들의 합을 사전에 미리 맞춰놓고 연속적으로 실수 없이 한 번에 끝내야 한다는 점. 그리고 무엇보다 일상 혹은 현실이라고 하기엔 사건의 나열은 비현실적이지 않은가. 거기다 편집과 CG를 통해 마치 하나의 테이크로 이어진 것처럼 만든 컷과 컷 사이. 그 사이의 자연스러움에선 연극에서 막과 막 사이의 짧은 암전이 떠오르지 않는가.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김벼리 시민기자가 활동하는 팀 블로그(http://byulnight.tistory.com/135)에도 함께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버드맨 BIRDMAN 알레한드로 곤잘레즈 이냐리투 에드워드 노튼 마이클 키튼
댓글5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