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퇴비와 비료를 마을 단위에서 혹은 개인이 만들었던 때가 있었다. 소가 쟁기를 끌고 호미와 낫 한 자루로 김매기 하는 가족구성원들이 소농(小農)중심의 농사를 짓던 시절이다. 그러나 1970년대 들어서 화학 비료와 농약, 다수확 품종의 개량종자가 국가 주도로 보급되면서 상황은 많이 달라졌다.

더불어 '잘살아 보자'는 구호로 시작된 새마을운동은 규모화된 기계화 영농 정책으로 소농을 몰락시켰다. 농촌과 농업의 잔혹사가 시작되는 시기라고 볼 수 있다. 서로 돕는 품앗이의 상징인 농사 공동체는 무너지고, 퇴비의 공동 생산과 자급도 점차 사라졌다. 현대 농업에서 퇴비의 순기능과 역기능 그리고 올바른 퇴비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3회에 걸쳐서 퇴비란 무엇인가 알아본다. - 기자 말

미생물의 먹이활동으로 질소재료는 분해되어 사라지고 탄소재료는 검은 색을 띈다
 미생물의 먹이활동으로 질소재료는 분해되어 사라지고 탄소재료는 검은 색을 띈다
ⓒ 오창균

관련사진보기


퇴비는 탄소와 질소를 포함하고 있는 유기물의 화학작용으로 만들어진다. 퇴비의 재료가 되는 유기물은 미생물의 먹이활동으로 분해되어 무기물 형태로 작물의 양분이 된다. 탄소가 많은 목재류는 수분이 적고 세포를 구성하는 리그닌(lignin)을 분해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 반면 질소가 많은 풀은 수분이 많고 세포를 구성하는 섬유소(cellulose)를 분해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짧다.

1. 탄질비

미생물의 에너지와 영양이 되는 탄소와 질소가 적정하게 균형을 이룰 때, 품질이 좋은 퇴비가 만들어진다. 직접 만들어 사용하는 퇴비재료에는 탄소성분이 많은 톱밥, 왕겨, 낙엽 등이 많이 사용된다. 질소성분이 많은 풀, 음식물 잔반을 비롯하여 쉽게 구할 수 있는 깻묵, 비지, 소변도 많이 사용된다.

항생제를 쓰지 않는 유기농축산에서 나오는 가축분뇨를 쓰는 경우도 있다. 탄소와 질소의 재료를 적절하게 혼합하여 탄소와 질소의 균형을 맞춰주는 것을 탄질비(C/N ratio)라고 하며, 30:1을 탄소와 질소의 적정한 비율로 본다.

처음 퇴비를 만들 때 어렵게 느껴지는 것은 탄질비다. 그러나 이론적인 숫자에 너무 부담을 가질 필요는 없다. 재료의 종류와 부피(무게)에 따라서 탄질비가 다르고, 퇴비화 과정에서도 변하기 때문이다. 최종적으로 퇴비가 되기까지는 탄질비 외에도 무시할 수 없는 중요한 요소가 있는데, 그것은 수분, 산소, 온도다.

거칠고 입자가 굵은 탄소재료가 수분과 산소공급에 유리하다(왕겨퇴비)
 거칠고 입자가 굵은 탄소재료가 수분과 산소공급에 유리하다(왕겨퇴비)
ⓒ 오창균

관련사진보기


2.수분

퇴비 만들기에서 물은 자동차를 움직이는 연료와 같다. 주행중 기름이 떨어지면 자동차가 움직일 수 없듯이, 퇴비를 만들 때도 수분이 부족하면 보충해줘야 한다. 수분은 자연적으로 증발하기도 하며, 퇴비화 과정에서 생기는 높은 열로 인해 온도가 상승하면서 수분이 빠르게 줄어들기도 한다.

수분이 너무 많거나 적으면 유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의 활동이 줄어들어 발열온도가 낮거나 변화가 없다. 특히, 건조된 탄소재료는 미리 수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만들기 전에 물을 충분히 공급해주는 것이 좋다. 톱밥은 물을 쉽게 흡수하지만, 낙엽과 왕겨는 껍질의 코팅물질로 인해 흡수력이 떨어진다. 미리 물 속에 충분히 넣어두거나 수분을 흡수할 수 있게 해두면 수분의 균형과 퇴비를 만드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적당한 수분비율은 50% 정도로 손으로 쥐었을 때 재료에 흡수된 물이 한두 방울 떨어지면 된다. 퇴비더미에 물이 고이면 부패하거나 악취가 생길 수 있으므로 바닥은 배수가 잘 되도록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퇴비는 수분,산소가 있어야 하며  발열온도로 진행과정을 알 수 있다
 퇴비는 수분,산소가 있어야 하며 발열온도로 진행과정을 알 수 있다
ⓒ 오창균

관련사진보기


3.산소

퇴비재료는 산소를 필요로 하는 호기성(好氣性) 미생물에 의해 분해된다. 물이 자동차를 움직이는 연료라고 했을 때, 산소는 속도를 높여주는 액셀러레이터 역할을 한다. 탄질비와 수분이 적절하더라도 산소가 부족하면 퇴비의 진행 속도는 느려지거나 멈춘다.

퇴비더미의 안쪽까지 산소가 충분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톱밥이나 낙엽 등의 재료가 뭉치지 않도록 흐트러뜨리고, 입자가 고운 것보다는 거친재료가 빈공간을 만들어 산소를 순환시키는 데 유리하다.

퇴비가 진행되면서 미생물은 재료의 리그닌, 섬유소 같은 물질을 분해하면서 가스와 발열로 인한 높은 온도를 만들어낸다. 발열 상황은 퇴비가 잘 만들어지고 있음을 알려주는 하나의 신호다. 발열이 잘 되고 있는지는 온도계를 꽂아 놓는 등의 방법으로 체크하면 된다.

미생물은 산소와 수분을 소모하고 온도를 높여가면서 재료를 분해한다. 질소재료는 완전 분해되어 형체도 없이 사라지고, 탄소재료는 높은 열에 까맣게 타들어가듯, 검은색을 띤다. 퇴비더미의 부피가 시간이 흐를 수록 줄어드는 것도 탄소재료만 남았기 때문이다.

수분과 산소가 점차 고갈되면서 미생물의 활동은 약해지고 발열온도는 점차 내려간다. 그러나, 부족한 수분과 산소를 공급해주면 가속페달을 밟은 것처럼 퇴비화의 속도는 다시 빨라진다. 이때, 수분과 산소를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해서는 퇴비더미를 뒤집어 주는 것이 효과적이다.

뒤집기를 할 때 분해가 안 된 바깥쪽의 재료를 안쪽으로 넣고, 안쪽의 재료는 바깥쪽으로 해주면, 골고루 균형있게 분해가 되면서 퇴비가 만들어진다. 재료 사이에 틈새가 만들어질 수 있도록 파이프를 꽂아주거나 나무의 잔가지를 섞어주는 것도 산소순환에 도움이 된다.

퇴비재료가 분해되면 발열이 멈추게 되고, 지렁이가 찾아오기도 한다
 퇴비재료가 분해되면 발열이 멈추게 되고, 지렁이가 찾아오기도 한다
ⓒ 오창균

관련사진보기


4.온도

퇴비는 미생물의 활동으로 만들어진다. 탄질비, 수분, 산소를 적정하게 맞추는 것도 미생물의 증식과 활동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퇴비가 진행되면서 발열온도 최고점이 65℃ 이상 올라가면 탄질비, 수분, 산소의 조건은 잘 맞는 것이다. 그렇게 안 되면 조건이 맞지 않는 것인데, 퇴비가 만들어지는 데 시간이 더 오래 걸린다.

퇴비는 위의 4가지 조건에서 온도가 높아졌다가 낮아지면 다시 조건을 만들어주는 반복과정으로 만들어진다. 최종적으로 더 이상의 발열이 일어나지 않으면 퇴비가 만들어진 것으로, 처음 재료와는 다르게 검은색을 띠며 가볍고 부슬부슬한 느낌이 난다. 그리고 많은 지렁이가 찾아오기도 하며, 흙 냄새가 나거나 냄새가 없어야 좋은 퇴비다.


태그:#퇴비, #탄질비, #지렁이, #낙엽, #탄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