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퇴비와 비료를 마을 단위에서 혹은 개인이 만들던 때가 있었다. 소가 끄는 쟁기질과 호미와 낫 한 자루로 김매기 하는 가족구성원들이 소농(小農)중심의 농사를 짓던 시절이다. 그러나 1970년대 들어서 화학 비료와 농약, 다수확 품종의 개량종자가 국가 주도로 보급되면서 상황은 많이 달라졌다.

더불어 '잘살아 보자'는 구호로 시작된 새마을 운동은 규모화된 기계화 영농 정책으로 소농을 몰락하게 했다. 농촌과 농업의 잔혹사가 시작되는 시기라고 볼 수 있다. 서로 돕는 품앗이의 상징인 농사 공동체는 무너지고, 퇴비의 공동 생산과 자급도 점차 사라졌다. 현대 농업에서 퇴비의 순기능과 역기능 그리고 올바른 퇴비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3회에 걸쳐서 퇴비란 무엇인가 알아본다 - 기자 말

전통 농업 시대의 퇴비

퇴비와 비료가 무엇인지 과거 전통 농업 시대의 관점으로 보면, 그 시절 퇴비는 볏짚, 낙엽 등의 거칠고 마른 재료에 수분이 많은 생(生)풀을 층층이 섞어가며 만들었다. 시간이 지나면 풀은 점차 사라지고 마른 재료는 처음의 형체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잘게 분해되는 부숙(腐熟)한 것이 퇴비였다.

퇴비와 비슷한 것으로는 소와 돼지를 키우는 축사에 볏짚이나 왕겨를 깔아주고 분뇨와 섞어서 만든 '두엄'이 있었다. 퇴비와 두엄은 볏짚과 왕겨의 마른 재료에 풀과 가축의 분뇨를 사용한다는 차이점은 있지만, 일정 기간을 두고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부숙한다는 점에서 둘 다 퇴비라고 할 수 있다.

가축을 사육하여 얻은 분뇨와 농사 부산물로 퇴비를 만드는 농가의 모습. 짧은 기간에 만드는 공장퇴비와는 다르게 오랫동안 부숙을 한다
 가축을 사육하여 얻은 분뇨와 농사 부산물로 퇴비를 만드는 농가의 모습. 짧은 기간에 만드는 공장퇴비와는 다르게 오랫동안 부숙을 한다
ⓒ 오창균

관련사진보기


비료는 작물의 성장을 촉진하는 영양분이 많은 것으로, 퇴비처럼 형체를 알아볼 수 없는 부숙은 하지 않았다. 주로 사람과 가축의 분뇨를 모아서 사용하거나 나뭇재, 왕겨와 섞어서 만든 것으로 거름이라고도 했다. 부숙의 과정은 아니었지만, 발효를 통해서 세균을 포함한 불순물을 분해하는 과정은 있었다.

퇴비와 비료의 차이점은 부숙과 발효라고 할 수 있는데, 둘 다 미생물에 의한 분해를 하는 과정은 같다. 다른 점은 부숙은 산소를 필요로 하는 호기성(好氣性)미생물에 의해서 만들어지고, 발효는 산소를 필요로 하지 않는 혐기성(嫌氣性)미생물이 한다는 것에 차이가 있다. 또한, 퇴비는 탄소(Carbon)의 성질을 가진 물질을 목적으로 만든다면, 비료는 질소(Nitrogen)의 성질을 가진것을 목적으로 만든다는 것이다.

전통 농업에서 퇴비 만들기에 사람과 가축의 분뇨를 전혀 사용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다. 다만, 귀한 물건(?)이다 보니 그것을 대신하는 풀과 같은 유기물을 많이 사용한 것이다. 오죽하면 잠은 밖에서 자더라도 용변은 집에서 해결하고, 돈을 받고 팔기도 했을 만큼 그 시절 농업에서 분뇨는 아주 중요했다.

공장식 축산 분뇨로 만든 퇴비

공장식축산 농장에서 배출되는 가축분뇨, 퇴비재료로 사용된다.
 공장식축산 농장에서 배출되는 가축분뇨, 퇴비재료로 사용된다.
ⓒ 오창균

관련사진보기


요즘은 공장에서 대량으로 생산되는 퇴비를 구입해서 쓴다. 정부에서 지원하는 농업 보조금으로 가격도 저렴한 퇴비의 주재료는 톱밥과 축산 분뇨(아래 축분)로 만든다. 축분 퇴비를 대량으로 생산하고 소비할 수 있었던 것은 축산업의 성장과 관련이 있다. 지금은 공장식 축산이라고 할 만큼 그 규모가 매우 커졌다.

규모화된 대량 생산의 농업을 가능하게 한 것도 공장식 축산에서 배출되는 분뇨로 만든 퇴비라고 할 수 있다. 바다에 버리고 땅에 매립하거나 하천으로 흘려 보내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된 축분을 자원 순환으로 퇴비로 재활용하는 것은 다행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공장식 축산에서 대량으로 배출되는 축분으로 만든 퇴비는, 가족농 중심의 농경 사회에서 사람이 먹고 남긴 음식 잔반과 농사의 부산물로 키웠던 가축의 분뇨와는 질적으로 다르다. 그것은 단지, 퇴비에 중금속과 항생제 같은 약물이 잔류하는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동물을 생명체로 다루지 않는 공장식 축산의 처참한 환경에서 자란 동물의 감정이 죽음에서 끝나지 않을 거란 생각을 하면, 그것을 음식으로 먹고 배설물로 만든 퇴비로 재배한 농산물이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하는 안전하고 올바른 먹거리인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공장식축산은 가축분뇨 퇴비의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했다
 공장식축산은 가축분뇨 퇴비의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했다
ⓒ 오창균

관련사진보기


공장식 축산과 그것에 기반을 둔 현대 농업의 먹거리는 인류가 오랫동안 유지해온 전통적인 방식의 사육과 재배가 아닌 공장에서 대량으로 생산하는 공산품이 됐다. 그 과정은 직접 보지 않고는 상상하지 못할 정도이며, 소비자에게 감추고 싶은 기술력과 생산시스템은 날로 발전하고 있다.(관련기사 : 정액 봉투 등에 달고 인공수정 '끔찍') 농업과 축산의 대량 생산 시스템이 지속된다면, 안전 먹거리에 대한 불안과 문제들은 커질 수밖에 없다.

덧붙이는 글 | 퇴비에 대한 이해와 기능은 2편에서 계속됩니다.



태그:#퇴비, #거름, #두엄, #공장식축산, #축분퇴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