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보호각 보수 공사를 위한 가설덧집 제거 후 남은 콘크리트.
 보호각 보수 공사를 위한 가설덧집 제거 후 남은 콘크리트.
ⓒ 강우방

관련사진보기


석굴암 보호각 보수를 위해 설치한 콘크리트 구조물이 되레 석굴암을 훼손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강우방 원장(일향한국미술사연구원, 이화여대 명예교수)은 최근 연구원 홈페이지에 "과대한 전실 공사를 빙자해 철근 콘크리트 광장이 만들어졌다"고 했다.

강 원장은 "석굴암 보호각 앞 석등은 기울어져 원래 자리를 지키지 못했고, 석등대좌는 공사 내내 노출돼 시멘트에 덮여 있었다. 보호각 석조 기단까지 묻힌 것을 보니 참담하다고 밖에 말할 수 없다"라고 했다.
   
석굴암은 본래 석불사였다. 석불사 금당(석굴암) 바로 앞에는 석등이 자리한다. 지난 2011~2014년 경주시가 석굴암 보호각 보수공사를 했다. 경주시는 보호각 보수 공사를 한다며 높이 28cm, 지름 95cm의 석등 좌대를 높이 1m 콘크리트에 묻었다.


1미터 높이의 콘크리트에 묻힌 석굴암 석등대좌
 1미터 높이의 콘크리트에 묻힌 석굴암 석등대좌
ⓒ 강우방

관련사진보기

강 원장은 "석등이 자리잡고 있던 곳은 석굴암 자리를 포함해 우주의 기운을 토하고(吐) 머금는(含) 자리이다. 토함산의 숨구멍이 콘크리트로 막힌 것"이라며 "석등 자리조차 움직여서는 안 된다. 석등을 그대로 두고 그 위를 덮어 콘크리트 광장을 만들었다면 이는 원형훼손이다"라고 했다.

그러면서 "지난해에는 우물 크기 구멍이라도 있어 석등을 볼 수 있었다. (지난 11일 현재) 이제는 손만 들어갈 크기로 좁혀 놨다"고 했다. 강 원장은 "(석등을 콘크리트에 감춰 놓고는) 석굴암 관계자는 '일제시대 없어졌다'거나 '어디로 치워놓았다'고 말하더라"고 했다.

강 원장은 "석굴암 석등대좌는 그 자리에 있었다. 석굴암 관계자들이 모두 '석등이 없다'고 강변한 것은 석등이 없으면 콘크리트 광장을 그대로 두어도 좋다고 생각한 모양인 것 같다"고 했다.

강 원장은 "보호각 지붕 공사와 철큰 콘크리트 축대와는 상관이 없다. 공사를 빙자해 시멘트 광장을 만든 것이 틀림 없다"고 했다. 축대를 높이려면 땅을 훼손시킬 수밖에 없다. 이는 현상변경에 해당한다"고 했다.

강 교수는 "경주시가 발주해 문화재청이 감독했다면 감독관의 직무유기이고, 문화재청의 직무유기이다"라고 했다.

지난 2013년 11월, 석굴암 보호각 보수공사가 한창일 때의 모습. 보호각 보수를 위한 가설덧집이 설치돼 있다. 현재 가설덧집은 철거됐고, 바닥에 1미터 높이의 콘크리트만 남아있다.
 지난 2013년 11월, 석굴암 보호각 보수공사가 한창일 때의 모습. 보호각 보수를 위한 가설덧집이 설치돼 있다. 현재 가설덧집은 철거됐고, 바닥에 1미터 높이의 콘크리트만 남아있다.
ⓒ 불교닷컴

관련사진보기


석굴암 보호각 보수 공사에는 지난 2011년부터 4년간 16억 원이 투입됐다. 보수공사는 끝났고 보호공사를 위해 설치된 가설 덧집은 철거됐다. 콘크리트 구조물만 흉물스럽게 남아있다. 철거를 맡은 경주시는 진동감지기를 설치하는 등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콘크리트 등도 모두 철거를 생각하고 만든 시설이다. 본존불에 영향이 없도록 무진동기법을 활용하고 계측기를 통해 상시 관찰해 작업할 것을 경주시에 조치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콘크리트 철거 때) 감독자가 상주하고 문제가 생기면 당장 중지해 보완하는 방식으로 공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진동 기준도 선진국에서 허용하는 범위보다 엄격하게 적용토록 했다"고 강조했다.


태그:#세계문화유산, #석굴암, #문화재청, #경주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불교닷컴은 2006년 1월 창간한 인터넷 전문매체로서 불교계 소식을 가장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하며 불교 개혁에 앞장 서고 있습니다. http://www.bulkyo21.com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