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우리 집에선 끼니 때가 되면 자연스레 리모컨을 찾는다. 리모컨이 반찬이나 밥이 아닐진대, 마치 그것이 없으면 밥을 먹을 수 없는 듯 온 식구가 수저를 들지 않고 리모컨을 찾을 때까지 기다린다. 제 1순위 채널은 올리브 TV이다. 그리곤 <오늘 뭐 먹지?>를 하는지 확인하고, 이 프로그램이 방영하고 있으면 마치 성시경-신동엽과 함께 식사를 하는 듯 그들의 때로는 어설픈 요리와 요리를 넘어서는 입담에, 그 밥에 그 나물인 우리 밥상을 잊는다.
 
예전에는 밥상을 마주하고 TV를 켜면 당연히 채널은 그 날의 소식을 전하는 뉴스로 고정되었다. 하지만 뉴스를 보다보면 밥이 제대로 목구멍으로 넘어가기 힘들던 그 언제인가부터, 우리 식구는 TV 속 요리 프로그램 속으로 도망치기 시작했다.
 
EBS <최고의 요리비결>은 TV 속 요리 프로그램의 전형이었다. 하지만 요리가 문화로 대접받기 시작하고 '먹방'이 인기를 끌기 시작하면서 요리 프로그램도 진화에 진화를 거듭했다. 우선은 MC와 게스트들이 맛집을 찾아 순례하기 시작했다. 여전히 매일 검색어 순위에 오르는 음식명은 그날 정보 프로그램에서 소개된 음식들이기 십상이다.
 
Y-star <식신로드> 속 정준하는 여전히 예의 그 먹성을 트레이드마크로 삼아 여성 MC들과 함께 여러 식당들을 순회하고 있고, 올리브 TV <테이스티 로드>의 MC 교체를 둘러싸고 프로그램의 열성팬들의 신랄한 설전이 게시판을 메우는 건 여전히 이런 맛집 순회 프로그램들의 건재함을 증명하는 단적인 예이다.
 
맛집 순회 프로그램이 몇 개의 대표적 프로그램으로 정리되면서, 올리브 TV는 자신들의 특성을 살려 전국 각지 요리의 진검 승부를 가린 <한식대첩>과 요리 버라이어티 <올리브 쇼>를 선보였다. 일반인들이 요리를 하는 것만으로도 흥미진진한 예능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는 것을 <한식대첩>은 증명해 내었고, 셰프들이 그저 요리만 하는 것이 아니라 주인이 되어 프로그램을 이끌어갈 수 있는 가능성을 <올리브 쇼>는 보여줬다.
 
여기에 올리브 TV는 정재형, 성시경, 신동엽 등 트렌디한 연예인들을 주방으로 끌어들여 <프랑스 가정식> <오늘 뭐 먹지?> 등 각 인물의 특성에 맞춰 '요리의 예능화'를 실현해 가고 있는 중이다.
 
'삼시세끼'와 '냉장고를 부탁해', '현실적 요리'의 지평을 열다

 
@IMG@
이렇게 올리브가 요리 전문 채널을 넘어 예능까지 되는 채널의 가능성을 보여주면서, 타 케이블 채널과 종합편성채널(이하 종편)에서도 앞 다투어 요리 프로그램을 선보이고 있다. 슬로우 라이프를 표방한 tvN <삼시세끼>나 <꽃보다> 시리즈에서 빼놓을 수 없는 건 역시나 먹방이다.
 
<삼시세끼>의 경우 프로그램의 미션이 하루 세끼를 해먹는 것 단 하나이다. 정선 편에서는 시골 마을의 텃밭과 정선 장에서 구할 수 있는 식재료로, 어촌 편에서는 만재도에서만 구할 수 있는 식재료로 아궁이에 불을 붙여 밥상을 마련하는 그 과정이 프로그램의 온전한 내용이다. <꽃보다> 시리즈에서도 여행을 간 연예인들이 하는 건, 아름다운 풍경을 보고 그곳의 맛난 먹거리를 먹는 것이다.
 
그 중 최근 새롭게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은 종편 JTBC의 <냉장고를 부탁해>다. 게스트의 냉장고를 통째로 스튜디오로 옮겨와 그 속에 있는 재료로 셰프들이 요리를 만들어 대결하는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이 여타 요리 프로그램과 차별화된 점은 만화가 김풍과 셰프 샘 킴의 대결이 보여주듯 그간 요리 프로그램의 정석을 살짝 비껴간 재미를 추구한다는 것이다.
분명 샘 킴에게 오랜 자취 생활의 내공으로 이른바 '야매 요리'를 추구하는 김풍은 요리의 내공으로는 비교가 될 상대가 아니다. 그런데 이 두 사람이 게스트의 간택을 받는 과정에선 전문가와 비전문가의 격이 무너지고 만다. 올리브 TV를 통해 정형화되지 않은 요리의 영역이 조금씩 등장한 뒤, 그것이 본격적으로 자기 목소리를 내기 시작하는 것이 <냉장고를 부탁해>가 되는 것이다.
 
<삼시세끼>에서 차승원이 조미료가 없으면 요리를 할 수 없다고 당당하게 말하고, <냉장고가 부탁해>에서 볶은 햄에 할라피뇨와 계란 프라이를 얹은 칼로리 폭발의 요리가 '맛있다'는 평을 받으면서 멋들어지기만 했던 요리 문화 속에 이 '현실적 요리'들도 자신의 지분을 얻어가기 시작했다. 마치 몸에 좋은 요리만 찾다가 한 번쯤은 라면을 먹고 속 시원하게 트림을 하듯, 현실태로서의 요리의 세계가 스스로를 당당하게 주장하고 나서게 된 것이다.
 
여기에 고명을 얹는 건, 셰프와 아마추어의 대결을 흥미진진한 게임의 영역으로 승화시키는 MC 김성주-정형돈의 만담에 가까운 진행이다. 각자 자신만의 입맛이 두드러진 MC들이 객관적 위치를 넘어 사심에 가까운 진행을 하며, 먹고 싶은 요리를 만드는 프로그램의 질감을 살려낸다.
 
요리 프로그램 홍수 속, '먹방'이 인기 끌기 시작한 시점 되돌아봐야
 
@IMG@
이렇게 굽고 지지고 볶으며 보는 이들의 식욕을 한껏 부양하는 각종 요리 프로그램들이 앞 다투어 방영되고 있는 가운데, tvN <수요 미식회>는 새로운 모험을 시도한다. 자료 영상으로 각종 맛집의 풍성한 음식들을 보여주긴 하지만, 스튜디오에 앉은 MC들은 오로지 그들의 세치 혀로만 그날의 음식들을 소개한다. 오로지 그들이 맛본 음식에 대한 현란한 소개만으로도, 타 스튜디오에서 지지고 볶는 요리만큼이나, 때로는 그 이상으로 '먹방'의 갈증을 불러일으킨다.
 
다종다양하게 양산된 요리 프로그램들은 결국 누가 더 맛있게 먹고, 누가 더 잘 요리하며, 어디가 더 맛있게 하는가를 서로 경주한다. 몸에 더 좋은 것을 견주더니, 이젠 몸에 좋은 것도 좋지만 결국은 내 입에 맞는 게 최고라며 인스턴트와 조미료를 양지로 끌어들이기까지 한다. 그래서일까, <수요 미식회> 속 요리평론가 황교익의 '언제부터 마블링이 고기 맛을 좌우하게 되었나?'라던가 '칼국수를 굳이 맛집을 찾아다니며 먹을 필요가 있는가?'라는 촌철살인은 새삼 '더 맛있는 것'에 탐닉하던 정신을 번쩍 들게 만든다. 
 
하지만 진짜 되돌아봐야 하는 것은 '먹방'이 인기를 끌기 시작한 그 시점이다. 홀로 밥을 먹는 사람들이 늘어나기 시작하면서 이른바 '먹방'의 인기도 급상승했다. 당장 우리 집만 해도, 밥상머리에 앉아도 대화 한 마디 하기 힘들어 서먹한 관계를 메우기 위해 허겁지겁 '먹방'을 찾고 있는 게 아닌가 싶은 것이다.
 
그보다도, 흥건한 재료와 배가 터지도록 되풀이 되는 맛집 순례의 저편에서 하루 3000원 짜리 편의점 도시락으로 끼니를 때우고, 라면을 얼마나 먹었는지 세기 힘들 정도로 하루를 살아가는 누군가가 있다는 것을 망각해 가고 있다는 게 사실이다. 삶의 고달픔과 반비례하는 '먹방'. 그 흐드러진 잔치가 끝나고 나도, 어쩐지 마음의 허기는 여간해서 가시지 않는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게재를 허용합니다.
수요 미식회 냉장고를 부탁해 삼시세끼 올리브 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