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한국 종교인 분포도
 한국 종교인 분포도
ⓒ 한국갤럽

관련사진보기


조사전문 연구회사인 한국갤럽이 1984년부터 2014년까지 최근 30년간 5차례 실시한 '한국 종교 인구 분포 조사'에서 불교신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비종교인의 호감 종교는 1984년에 이어 2014년에도 불교가 여전히 1위로 확인됐다.

갤럽은 28일 '한국인의 종교 1984-2014 종교 실태(1)' 보고서를 발간했다. 단체는 지난 1984년 '한국인의 종교와 종교의식'이라는 단행본을 펴내며 1차 조사를 시작했다. 이어 1989년(2차), 1997년(3차), 2004년(4차)에 이어 지난해 5차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주요 조사 내용으로 한국의 종교 인구 분포(1984~2014), 가족의 종교, 생활 속의 종교 비중, 종교인의 신앙 시기, 신앙 기간, 의례 참여, 종교적 헌납 빈도, 비종교인이 종교를 믿지 않는 이유, 비종교인의 호감 종교 등이다.

부모 종교=자녀 종교=배우자 종교 가능성 높아

먼저 2014년 현재 한국인의 종교 인구 분포는 불교 22%, 개신교 21%, 천주교 7%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보면 불교인 비율은 2030세대(약10%)와 5060세대(30%)의 차이가 큰 데 반해, 개신교인과 천주교인의 연령별 분포는 상대적으로 고르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부산, 울산, 경남, 대구, 경북 지역에서 불교 신자가 많았다. 반면 개신교는 광주와 전라, 인천과 경기 지역의 신자가 높게 나타났다.

이어 본인과 가족의 종교 일치율을 보면 배우자(66%), 모친(61%), 부친(51%) 순으로 나타났다. 30년간 부모-자녀의 종교 일치율은 증가한 반면, 배우자와의 종교 일치율은 하락한 것으로 파악됐다. 그리고 부모가 특정 종교를 믿는 경우 자녀도 해당 종교를 믿는 경향이 있고, 그 자녀가 성인이 됐을 때 같은 종교를 믿는 배우자를 찾게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왔다.

생활 속의 종교 비중으로는 '중요하다'(52%)가 '중요하지 않다'(48%)에 비해 약간 높았다. 그리고 30년간 생활 속 종교의 중요성 인식은 약화되고 있는 가운데 종교별 차이는 뚜렷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 속 종교의 중요성
 생활 속 종교의 중요성
ⓒ 한국갤럽

관련사진보기


종교를 믿기 시작한 시기는 10대 이하(36%)가 가장 많았고, 40대 이상도 22%나 차지했다. 최근 10년 평균을 보면 신앙생활을 시작하는 연령이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종교를 믿은 기간은 20년 이상의 장기 신자(62%)가 대부분이었고, 5년 미만(8%)은 소폭 증가에 그쳤다. 이런 결과는 종교 인구의 고령화 현상으로 풀이된다.

주 1회 이상 종교 의례 참여율은 개신교(80%), 천주교(59%), 불교(6%)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개신교 신자의 참여율이 최근 30년간 약 20% 정도 늘어났다. 종교적 헌납 실태를 보면 불교신자는 1년에 1~2번 시주로, 반면 기독교인와 천주교인은 '십일조' 형식으로 정액 납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독교인의 십일조 이행률은 1980년대 38%였으나 2014년에는 61%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마지막으로 비종교인에게 종교를 믿지 않는 것과 무관하게 가장 호감을 느끼는 종교를 물은 결과 25%가 불교를 꼽았다. 다음은 천주교(18%), 개신교(10%) 순이었으며 나머지 절반은 '호감 가는 종교가 없다'고 답했다. 연령별로는 고연령일수록 '불교에 호감 간다'는 응답이 많았다. 개신교는 전 연령대에서 10% 남짓하게 고른 분포를 보였고, 천주교는 50대 이하에서 약20%, 60세 이상에서는 10%정도로 선호 경향이 나타났다.

한편 이번 조사는 전국(제주 제외) 만19세 이상 남녀 1500명을 대상으로 2014년 4월 17일~5월 2일까지 3주간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2.5%포인트이다.


태그:#한국갤럽, #불교 , #개신교, #천주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