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6일 지역 언론에 보도된 기사. 현대차가 울산공장내에서 철수를 요청해 사내 부품사를 둔 200여곳의 업체 대부분이 어려움에 처했다고 보도했다
 26일 지역 언론에 보도된 기사. 현대차가 울산공장내에서 철수를 요청해 사내 부품사를 둔 200여곳의 업체 대부분이 어려움에 처했다고 보도했다
ⓒ 지역일간지 갈무리

관련사진보기


지난 25일부터 일부 언론에 "현대자동차가 최근 울산공장내에 있는 부품업체 200여 곳에 업체 사무실과 조립작업장 등을 공장 외부로 이전해달라고 요청했다"는 보도가 나간 후 현재 경제지와 보수언론 등에서는 '부품업체들이 어려움에 처했다' '줄도산이 우려된다'는 요지의 기사들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기사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결국 이같은 부품업체의 위기가 지난 9월 18~19일 서울중앙지법이 내린 비정규직의 정규직 인정 판결에서 비롯됐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최근 현대차 울산공장 내에서 일어난 집단적인 판결 비난 대자보와 이를 기사화하면서 마치 법원의 판결이 잘못된 것인양 여론이 조성된 것과 맥을 같이 한다.

앞서 현대차 정규직노조 내 일부 현장 조직과 반장들이 지난 9월 18일~19일 내려진 법원의 '현대차 불법파견 인정' 판결을 부정하는 유인물을 내자 일부 언론이 이를 대서특필했고, 소송 당사자인 현대차 비정규직노조는 "경제지와 지역일간지들이 현대차 자본의 불법파견 틀어막기를 지원사격하면서 법원 판결마저 조롱하는 현대차의 속마음을 그대로 쓰고 있다"고 비난한 바 있다. (관련기사: <"일부 언론, 법원판결 조롱 현대차 속마음 그대로 써">)

200여개 부품업체가 줄도산? "현대차 내에서 조립하는 부품업체 거의 없어" 

26일 한 중앙일간지는 "현대차가 울산공장 내에 입주한 부품업체 200여 곳에 대해 공장안에서 나가달라고 해 업체들이 어려움에 봉착했다. 현대차는 '사내 부품업체 직원까지 현대차 정규직이라고 본 법원 판결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라고 밝혔지만 영세 부품업체들은 공장 밖으로 내몰릴 경우 연쇄 도산까지 우려되는 실정이어서 대책 마련을 호소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어 "사내 부품사는 인근 울산 북구나 경주에 위치한 본 공장에서 각종 부품을 만들어 현대차 울산공장으로 옮겨와 조립한 뒤 납품하는 구조로 운영된다. 컨베이어 벨트 생산방식인 현대차가 필요한 부품을 실시간 납품받을 수 있는 시스템으로 이들 부품업체의 총 종사자는 2천여 명. 이 중 900여 명이 현대차 울산공장에 상주하며 부품 조립과 공급 일을 맡고 있다"고 보도했다.

그러면서 "원인은 현대차 불법파견 판결이다. 서울중앙지법이 근로자지위확인소송 1심에서 '사내하도급업체와 사내부품업체 근로자를 모두 현대차 정규직으로 인정해야 한다'고 판결한 것이다"고 보도했다.

이외 여러 경제지나 중앙언론 등의 보도도 이와 별반 다르지 않다. 하지만 확인 결과 이같은 보도는 다소 의아한 점이 있다. 부품업체가 현대차 울산공장 내에서 부품을 조립하는 경우는 겅의 없다는 것이 현장 정규직 직원들의 증언이다.

현대차의 한 정규직은 "현대차 울산공장 안에는 부품업체의 QC(품질관리)가 상주하면서 자기 업체에서 들어온 부품을 점검하지만 울산공장 안에서 조립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했다. 또 한 정규직은 "부품업체 조립장은 불법파견 논란이 일자 3년전 대부분 밖으로 나갔다"고 말했다.

현대차 비정규직노조 이진환 수석부지회장은 "현대차 울산공장에서 부품업체가 조립을 하고 있는 경우는 드물고 품질관리 정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결국 이처럼 과장된 보도는 불법파견을 인정하고 정규직임을 인정한 법원의 판결을 흠집내면서 2심에 영향을 주려는 것으로 읽힌다"고 밝혔다.


태그:#현대차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울산지역 일간지 노조위원장을 지냄. 2005년 인터넷신문 <시사울산> 창간과 동시에 <오마이뉴스> 시민기자 활동 시작.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