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다큐 프라임> 가족쇼크 3부 '마석, 집으로 가는 길'의 한 장면.

EBS <다큐 프라임> 가족쇼크 3부 '마석, 집으로 가는 길'의 한 장면. ⓒ EBS


EBS <다큐 프라임>은 9부작 '가족 쇼크' 1·2부에서 세월호 부모님들의 이야기를 다룬 데 이어, 3부에서 이주 노동자들의 가족 이야기를 다뤘다.

흔히 우리가 '가족'이라는 단어를 떠올리며 연상되는 '행복' 혹은 '화목'의 정반대편에서, 현재 대한민국에서 가장 가족으로 인해 고통 받고 있는 두 부류의 사람들의 이야기로 '가족 쇼크'를 시작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들의 고통은 가족이라는 내부적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사회가 가하고 있는 구조적 고통에서 비롯되고 있다는 것이 <다큐 프라임>의 시각이다. 우리 사회가 가진 구조적 모순으로 인해 고통 받고 있는 가족들의 두 번째 이야기, 바로 마석 가구 공단에서 일하는 이주 노동자들의 사연이다.

가족과의 생이별...마석이 제 2의 고향이 된 사람들

남양주군 화도읍 마석 가구공단, 빼곡하게 들어서 있는 공장들, 그리고 그 공장안에서 가구를 만들기 위해 톱밥이 날리는 환경에서 일하고 있는 이주 노동자들이 있다. 그들은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등 아시아 각국으로부터 돈을 벌기 위해 이곳 마석으로 온 사람들이다. 건강을 해치는 작업 공정으로 인해 우리나라 사람들이 피하는 3D 직종에 속하는 가구 공정 과정에서 묵묵히 일하고 있는 이주 노동자들, 그들에게도 가족이 있다.

3부 '마석, 집으로 가는 길'의 서두는 공항에서 하염없이 울고 있는 여인의 모습으로 시작된다. 그녀는 새 신부 간치히이다. 홍콩에서 가사 도우미로 일을 하고 있는 그녀는 모처럼 휴가를 맞이하여 한국으로 와, 결혼식을 올린다. 일주일 전 동료들의 축하를 받으며 전통적 방식에 따라 치른 결혼식, 그리고 꿈같은 신혼여행. 하지만 남편 차마르는 아내 간치히를 다시 홍콩으로 떠나보내야만 한다.

네팔에서 한국으로 와 마석에서 일하고 있는 그는 팔남매 중 맏이이다. 가족의 생계를 위해 한국에서 일하던 그는 어렵게 간치히를 소개받아 결혼을 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각자 여전히 부양해야 할 가족이 있는 두 사람은 꿈같은 결혼식과 신혼여행도 잠시, 눈물을 흘리며 이별을 해야 한다.

그나마 만나서 결혼식을 올리는 차마르의 경우는 나은 편이다. 고국에 결혼을 약속한 신부를 둔 다른 이주 노동자는 서른 중반을 넘어서야 핸드폰 영상 화면을 통해 고국의 신부와 결혼 서약을 한다. 온 가족이 축하해주어야 할 결혼식, 한국의 동료들은 그의 곁에서 덕담을 하지만, 고국의 가족들은 결혼식조차 화상 통화를 통해 해야 하는 처지의 아들과 손자를 생각하며 눈물바다다.

그래도 화상 통화를 통한 결혼이든, 견우직녀 같은 결혼이든 결혼을 할 수 있다면 그건 나은 형편에 속한다. 33살 핫산은 결혼은 꿈도 꿀 수 없다. 대학을 가고 싶던 핫산에게, 부모님은 가정 형편이 어려우니 한국에 나가 돈을 벌기를 부탁했다. 가족을 생각한 핫산은 두 말하지 않고, 그 길로 마석으로 왔다.

이제 마석이 집 같은 핫산. 하지만 마석이 제 2의 고향이 되는 동안, 그는 아버지의 부음을 전화로 전해 들었다. 아직 고향에는 위암으로 투병하는 어머니가 계시다. 하지만 전 직장에서 체불 임금이 남아있는 핫산은 아직도 어머니의 치료비를 넉넉하게 부쳐드리지 못해 전전긍긍한다. 결혼은 언감생심이다.

가족을 남기고 온 가장도 있다. 역 기러기 아빠다. 아이들이 크는 모습을 핸드폰 화상으로 확인한다. 하지만 아내는 그에게 돌아오지 말라고 한다. 갑상선 암을 앓은 그가 그나마 치료받을 수 있는 곳이 한국이기에, 또한 고국에 돌아가면 그나마 먹고 살 길조차 막막하기에, 아내는 눈물을 머금고, 이별을 택한다. 가족과의 생이별을 택한 그는, 대신 월급날 부쳐 준 아이의 학용품과 고향에는 없는 온갖 가전제품으로 아버지의 몫을 대신한다.

가족이 함께 있는 경우도 형편이 낫지는 않다. 출산을 앞둔 이주 노동자 부부의 고민은 출산이 다가올수록 깊어진다. 한국 시민으로서 정상적인 신분을 확보하지 못한 그들은 언제 쫓겨날지 모르는 처지이다. 당연히 그들의 아이 역시 마찬가지다. 그래서 아이를 낳는다 해도, 한국에서 법률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처지에서 학교조차 가지 못하는 아이로 키울지, 아니면 고향 필리핀으로 생이별을 해야 할지 선택의 기로에 놓여 있다.

이주 노동자의 자녀들을 받아주는 곳은 종교 기관이 유일하다. 그 마저도 마치 비밀 조직처럼 은밀하게 아이들을 보살펴 주어야 한다. 그러나 아이들의 친구는 어느 날 말도 없이 사라진다. 당국의 갑작스런 검거 과정에서 잡히면, 살림살이 하나 챙기지도 못하고 고국으로 송환되기 때문이다.

60년대 파독광부 닮은 그들에게 가혹한 우리들

'마석, 집으로 가는 길'의 이주 노동자들은 1960년대부터 독일로 돈을 벌러 간 우리나라의 광부와 간호사들을 연상케 한다. 어려운 집안 형편을 위해 두 말 하지 않고 돈을 벌기 위해 이역만리 타국으로 갔던 그들. 핸드폰 '화상 결혼식'을 올리는 이주 노동자들의 눈물겨운 결혼식에, '사진 결혼'을 했다던 하와이 이주 노동자의 사연이 오버랩 된다. 하지만 독일의 경우, 이민자들도 사회 복지의 혜택을 받는다. 건강 보험은 물론, 자녀들은 의무 교육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그렇게 우리 역시 다른 나라에서 돈을 벌어와 고국의 가족들을 먹여 살렸던 역사를 가졌건만, 2014년 현재의 우리는 이곳을 또 하나의 고향으로 여기며 사회의 한 편에 엄연히 존재하는 그들에게 가혹하다. 그들의 임금은 종종 체불되어 고향의 아픈 가족들의 약값을 걱정해야 하고, 그들의 신분은 불안정하여 아이조차 마음 놓고 키울 수 없다.

그들의 노동력이 없이는 더 이상 유지할 수 없는 사회이면서도, 여전히 그들의 존재는 불법적이다. 그들도, 그들의 가족도, 우리의 배려 대상이 아니다. 고국보다 낫다는 의료 환경은 가끔 오는 의료 봉사 회원들이 아니면 누리기 힘들고, 아이들의 교육은 종교 기관의 호혜적 활동에 의존해야 한다.

'가족 쇼크'는 말한다. 우리가 '가족' 하면 떠올리는 그런 이상적인 가족만 있는 것이 아니라고, 우리가 가족의 행복을 떠올리고 꿈꿀 때 그늘에서 우리의 행복을 위해 짓눌려지고, 상처받고, 외면 받는 또 하나의 가족이 있다고, 그리고 그들 역시 우리 사회의 가족이라고. 그렇게, <다큐 프라임>은 이 시대 가족 이야기의 말문을 연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게재를 허용합니다
다큐 프라임 가족쇼크 이주노동자 마석 가구단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