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전국문화예술인행동 '세월호, 연장전(延長戰)'이 15일 오후 광화문광장에서 세월호문화예술인대책모임, 세월호참사국민대책위, 세월호희생자·실종자·생존자가족대책위 공동주최로 열렸다. 설치미술 '304개의 빈자리'에 사용했던 책상을 쌓아 올린 뒤 유가족과 시민들이 올라가 있다.
▲ 문화예술인행동 '세월호, 연장전' 전국문화예술인행동 '세월호, 연장전(延長戰)'이 15일 오후 광화문광장에서 세월호문화예술인대책모임, 세월호참사국민대책위, 세월호희생자·실종자·생존자가족대책위 공동주최로 열렸다. 설치미술 '304개의 빈자리'에 사용했던 책상을 쌓아 올린 뒤 유가족과 시민들이 올라가 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세월호, 연장전'에 참여한 시민들이 '기다림의 책상'에 헌화하고 있다.
 '세월호, 연장전'에 참여한 시민들이 '기다림의 책상'에 헌화하고 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2014년 4월 16일의 세월호와 304명의 희생자를 잊지 않겠다는 글쟁이, 붓쟁이, 사진쟁이, 영화쟁이, 노래꾼, 연기꾼, 춤꾼 등 전국의 문화예술인이 서울 광화문광장에 모였다. '304개의 빈자리'를 모아 탑으로 쌓아 올리며 '세월호 연장전'을 다짐했다.

15일 오후 7시 광장에 줄지어 놓인 304개의 책걸상 사이로 진혼군무가 펼쳐쳤다. 북소리가 울리자 책걸상들은 쿵쿵쿵 소리와 함게 조금씩 옮겨지기 시작했다. 책상들이 쌓였다. 차곡차곡 쌓여 '6층 책상탑'이 됐다. 탑 위엔 거대한 비닐 깃발이 올려졌다.

단원고 유가족 영석 엄마가 흰 국화를 들고 탑 위에 올랐다. 영석 엄마는 "누구나 안전하게 살 수 있고 모두의 생명이 존중받는 대한민국으로 만들기 위해 저희 유가족은 밑바닥에서 싸우겠다, 우리 가족들과 함께 대한민국을 한번 바꿔보자"고 호소했다. 영석 엄마는 "자식앞에 먼저 하얀 국화를 놓는 부모들이 되지 않도록, 후세엔 이런 아픔을 주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하며 울먹였다.

탑을 둘러싼 사람들은 "힘내세요!", "잊지 않겠습니다!"를 외쳤고, 함께 <아침이슬>을 노래했다. 문화예술인들은 "밝혀줄게!" "밝혀줄게!"라고 외치며 진상규명 의지를 나타냈다. 사람들이 내려온 탑 위엔 흰 국화가 놓였다.

문화예술인들이 세월호를 기억하고 진상규명을 위해 각자의 연장을 들고 나서겠다는 의미를 선언하는 '304개의 빈자리 밝혀줄께!' 퍼포먼스였다.

촛불 켜진 빈 책상.
 촛불 켜진 빈 책상.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촛불 든 시민들이 둘러싼 가운데 세월호참사 희생자 추모 공연이 펼쳐지고 있다.
 촛불 든 시민들이 둘러싼 가운데 세월호참사 희생자 추모 공연이 펼쳐지고 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책상위에 올라 선 배우들이 청와대를 향해 함성을 외치고 있다.
 책상위에 올라 선 배우들이 청와대를 향해 함성을 외치고 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시·노래·춤·영화·사진·만화·그림... 세월호를 기억하는 문화 난장

이날 오후 2시부터 광화문광장은 열린 전시장이자 공연장이었다. 전국의 문인들은 4시간 16분 동안 시와 산문을 읊었다. 각자 갖고 온 글과 노래는 적나라하게 혹은 날카로운 은유로 세월호 참사와 그 수습과정에서 드러난 한국 사회의 치부와 모순을 드러냈고, 허망하게 사라져간 희생자들을 추모했다.

그야말로 난장이어서 다 쓸 수도 없을 정도다. 광장 한편에는 석고상부터 컴퓨터 키보드, 레모나 상자, 전기스탠드 등 온갖 노란색 물건 수백 개가 놓였다. 세월호 희생자에 대한 추모와 희망을 모은 상징이다.

만화가들은 광장 바닥에 노란 캔버스를 깔고 세월호 만화를 그렸고, 사진가들은 추모사진 슬라이드전을 열었다. 대학생들은 '평화나비'를 접었다. 영화인들은 <이 선을 넘어가시오> 영화를 틀었다. 연극인들은 '가만히 있으라', '울지 말아라'는 호통에 비닐막 안에서 고통스럽게 몸부림치는 퍼포먼스를 펼쳤다.

수학여행 중 참변을 당한 단원고 학생들과 같은 또래인 대안학교(간디학교, 간디 마을학교, 성미산학교) 청소년들은 노래 등 각종 공연으로, 쓰러져간 친구들을 잊지 않겠다는 다짐을 표현했다. 래퍼는 랩을 했고, 기타리스트는 기타를 쳤고, 플루트 소리도 울려퍼졌다.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행사도 있었다. '천 개의 그림타일로 만드는 세월호 기억의 벽'을 위한 타일 그림 그리기는 이날 시작해 올해 말까지 매주 토요일 광화문 세월호 농성장에서 계속된다.

이 난장을 기획한 양기환 문화다양성포럼 공동대표는 "단순히 세월호를 잊지 말자는 의미보다는 더 실천적인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양 대표는 "정치권에서 세월호특별법이 합의되고 진상조사위에 누가 들어가고 하는 문제가 논의되면서 끝까지 함께하겠다고 했던 정치인들조차도 '이제는 됐다'는 분위기로, 어떻게 보면 '침몰'하고 있다"며 "그러나 예술인들은 침몰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길이 없으면 길을 낸다, 각자의 연장을 갖고 이 세월호 문제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라는 걸 다시 한번 각인시키자고 모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양 대표는 "이렇게 다양한 분야의 많은 문화예술인들이 한곳에 모여 퍼포먼스를 펼치는 것도 매우 드문 일"이라며 "일회성의 볼거리가 아니라, 모두가 세월호 이후의 예술은 무엇인가, 이 사회의 엄청난 모순 앞에서 각 장르가 세월호를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자리"라고 말했다.

연극배우들이 세월호에 갇힌 승객들을 연기하고 있다.
 연극배우들이 세월호에 갇힌 승객들을 연기하고 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박근혜 대통령 가면을 쓴 배우들이 풍자연극을 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 가면을 쓴 배우들이 풍자연극을 하고 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광화문광장에 설치된 '304개의 빈자리'.
 광화문광장에 설치된 '304개의 빈자리'.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나 니들 시러' 말풍선 퍼포먼스.
 '나 니들 시러' 말풍선 퍼포먼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박근혜 대통령 풍자 포스터 이하 작가 사인회.
 박근혜 대통령 풍자 포스터 이하 작가 사인회.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사람의 왕이 된 '닭'.
 사람의 왕이 된 '닭'.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세월호참사 희생자 304명 숫자에 맞춘 '304개의 빈자리' 설치미술을 위해 이우학교 등에서 학생들이 실제 사용하는 책상이 동원되었다.
 세월호참사 희생자 304명 숫자에 맞춘 '304개의 빈자리' 설치미술을 위해 이우학교 등에서 학생들이 실제 사용하는 책상이 동원되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태그:#세월호, #광화문광장, #문화예술, #밝혀줄께
댓글12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7,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상근기자. 평화를 만들어 갑시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