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둥지에서 모이를 주는 어미 새와 입을 벌리는 새끼 새들을 잘 찍기 위해 주변 나무의 가지들을 모두 쳐버리기, 예쁜 야생화 한 송이를 찍은 후 남들은 못 찍게 하기 위해 촬영한 꽃을 뽑아버리기, 날아오르는 새떼들을 찍고자 철새 도래지에서 경보기 울리기... 모두 사진 욕심에 눈 먼 아마추어 사진가들의 이야기로만 알았는데, 오랜 시간 사진 예술에 인생을 바친 프로의 세계도 이런 일이 일어나 SNS가 시끌시끌하다.

소나무 특히 금강송 사진작가로 유명한 한 프로 사진가가 2011년 7월과 2012년 봄, 2013년 봄까지 세 차례에 걸쳐 금강송 군락지인 경북 울진군 서면 소광리 산림보호구역에 들어가 수령이 220년 된 것을 포함한 금강송 11그루, 활엽수 14그루를 무단 벌채한 혐의로 벌금 500만 원으로 약식 기소되었다. 울진 소광리 솔숲에 사는 금강송 소나무는 옛 모습을 간직한 '한반도 제일송(松)'이라 알려져 있다. 소광리 솔숲은 학계에서도 '우리 소나무 숲의 원형'이라며 특히 중시하고 있는 국유림이다.

나무를 찍기 위해 나무를 찍어내다니...

암석처럼 단단한 소나무를 이르는 강송(剛松)은 금강송, 황장목 등으로 불리며 강원도와 경북 울진 등지에서 살고 있다.
 암석처럼 단단한 소나무를 이르는 강송(剛松)은 금강송, 황장목 등으로 불리며 강원도와 경북 울진 등지에서 살고 있다.
ⓒ 김종성

관련사진보기


소나무 가운데 암석처럼 단단한 나무를 따로 강송(굳셀 剛, 소나무 松)이라 부르는데 강원도의 소나무, 그 중에서도 강릉, 울진을 위시한 영동지역의 소나무를 지칭한다. 나이테가 조밀하고 심재(心材 : 나무의 제일 깊고 딱딱한 속살)에 송진이 가득 차 쉽게 썩지 않으며 잘 갈라지지도 않는다. 금강석처럼 단단하다하여 요즘은 주로 이들 나무를 금강송이라 부른다. 예로부터 임금의 관이나 궁궐 사찰의 대들보 기둥 등으로 사용하였으며 얼마 전 불타버린 숭례문(崇禮門)의 복원공사도 바로 이 금강소나무가 쓰였다.

문제의 사진가가 무단으로 국유림에 들어가 나무들을 베어버린 이유는 대왕송이라 불리는 금강송 나무를 카메라로 찍는 데 방해가 돼서다. (산림보호구역인 국유림에서는 벌목뿐 아니라 무단출입 자체가 불법으로 미리 허가를 받고 담당자와 동행 방문해야 한다)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74조 제1항 제5호는 정당한 사유없이 산림 안에서 입목을 손상하게 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산림보호법에서도 '입목의 벌채'에 대하여 같은 법정형을 정한 형벌규정이 존재한다.

그는 이처럼 무단 벌목을 한 뒤 찍은 '대왕(금강)송' 사진을 2012년 프랑스 파리, 2014년 서울 예술의전당, 대구문화예술회관 등에서 전시했다. 이 대왕송 사진은 한 장에 400만~500만 원에 거래된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지난 3월 이 소나무 사진들을 담은 책자까지 펴냈다.

노거수(老巨樹) 소나무가 좋아 고송(古松)이라는 호까지 있는 사진가는 놀랍게도 칠순의 나이. 사회 속에서 사람들과 부대끼며 사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하고 싶은 것과 되고 싶은 것이 있다. 후자인 '되고 싶은 것'에 너무 천착하면 다시 말해, 성공을 향한 탐욕에 빠져 버리면 오랜 세월 고행한 고송 같은 예술가도 한낱 노욕(老慾)에 눈먼 늙은이가 되고 만다. 작가가 한국방송에 출현한 동영상에서 보이는, 그가 찍은 멋진 풍경의 산과 멋들어진 자태의 나무들 사진이 착잡하게 다가온다.


태그:#금강송, #소나무 , #장국현
댓글3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