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강정보 인근 죽산취수장에서 발견된 큰빗이끼벌레
▲ 낙동강 큰빗이끼벌레 강정보 인근 죽산취수장에서 발견된 큰빗이끼벌레
ⓒ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페이스북

관련사진보기


금강·영산강에 이어 낙동강 본류에서도 큰빗이끼벌레 서식이 확인됐다.

5일 낙동강 현장 조사를 벌였던 대구환경운동연합과 환경재단 관계자들에 따르면, 강정 고령보 인근 죽곡취수장 등지에서 큰빗이끼벌레가 발견됐다.

현장 조사에 참가했던 정수근 대구환경운동연합 생태보존국장은 <오마이뉴스>와의 통화에서 "죽곡취수장에서 지름이 성인 손 한 뼘 정도 되는 큰빗이끼벌레를 발견했다"라면서 "낙동강 하류 쪽에서 상당량의 큰빗이끼벌레가 서식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라고 설명했다.

"성인 손 한 뼘 정도 크기의 큰빗이끼벌레 발견"

하지만 환경부는 큰빗이끼벌레에 대해 별다른 대책을 내놓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환경부는 지난 4일 환경부 공식블로그를 통해 "큰빗이끼벌레는 맑은 지역과 다소 오염된 곳 모두 발견되므로 수질지표생물이 아니다"라면서 "독성이 없기 때문에 자연생태에 피해를 주지 않는다"라고 밝혔다(관련기사 : 큰빗이끼벌레, 문제 없다?... 대책 없는 환경부).

환경부는 큰빗이끼벌레의 갑작스러운 창궐이 4대강 사업에 따른 영향이라는 지적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으면서 큰 문제가 아니라고 보고 있다.

큰빗이끼벌레 창궐은 독성 논란을 떠나 흐르는 하천이 고인물이 됐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다.
▲ 저수지로 전락한 4대강 큰빗이끼벌레 창궐은 독성 논란을 떠나 흐르는 하천이 고인물이 됐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다.
ⓒ 대구환경운동연합 정수근 페이스북

관련사진보기


4일 금강에서 채집한 큰빗이끼벌레가 만 하루도 안 돼 심한 악취를 풍기며 문드러지고 있다.
▲ 문드러진 큰빗이끼벌레 4일 금강에서 채집한 큰빗이끼벌레가 만 하루도 안 돼 심한 악취를 풍기며 문드러지고 있다.
ⓒ 환경재단 최열 대표 페이스북

관련사진보기


이에 대해 이지현 환경재단 국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환경부는 독성여부 논쟁이 아니라 왜 갑자기 (큰빗이끼벌레가) 급증하고 있는지 그 이유에 대해 해명해야 한다"라고 꼬집었다. 환경재단 관계자들은 지난 4일 금강에서 큰빗이끼벌레 서식을 조사하고, 큰빗이끼벌레의 유해성에 관한 실험을 진행했다. 이들은 큰빗이끼벌레를 플라스틱 통에 담았는데, 만 하루도 되지 않아 썩어버렸다고 전했다(관련기사 : 큰빗이끼벌레 든 통에 물고기 넣었더니...).

최열 환경재단 대표는 "금강에서 잡아온 큰빗이끼벌레가 만 하루밖에 안 됐는데 모두 썩었다, 악취가 코를 찌른다"라면서 "이렇게 자란 벌레들은 섭씨 16도 이하가 되면 죽는데, 심한 악취와 부영양화를 일으킨다. 강의 수질이 더 나빠질 것이 틀림없다"라고 주장했다.

4대강 범대위·조사위 등은 오는 6일부터는 4대강 현장조사에 나설 계획이다. 큰빗이끼벌레 논란은 앞으로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덧붙이는 글 | 개인 블로그(blog.naver.com/ecocinema)에도 올립니다.



태그:#큰빗이끼벌레, #낙동강
댓글20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강/유/미' 세상을 꿈꿉니다. 강(江)은 흘러야(流) 아름답기(美) 때문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