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네이버 뉴스가 또 다시 변신을 준비하고 있다. 지난 4월 뉴스스탠드 도입 이후 언론사 트래픽 급감과 선정성, 갑을 논란 등을 의식한 것이다. 언론사와 포털은 인터넷 뉴스 유통 주도권을 놓고 기싸움을 벌여왔다. 네이버도 뉴스캐스트, 뉴스스탠드 등을 통해 뉴스 트래픽을 언론사에 일부 넘겨주긴 했지만 균형추는 더 기울고 있다. 이 시점에서 포털이 장악한 언론 생태계 문제점을 살펴보고 언론사와 독자 모두에게 바람직한 상생 방안을 고민해본다. [편집자말]
15일 오후 3시 현재 네이버 뉴스에서 '알스톰 "한국형 EMS 표절 소명하라"... 지재권 분쟁 우려'를 비롯해 지난 13일 전송된 <오마이뉴스> 기사 30여 건이 검색되지 않고 있다. 이에 네이버는 특정 코드가 포함된 뉴스를 인식하지 못 하는 뉴스 전송 시스템 오류 때문이라고 밝혔다.
 15일 오후 3시 현재 네이버 뉴스에서 '알스톰 "한국형 EMS 표절 소명하라"... 지재권 분쟁 우려'를 비롯해 지난 13일 전송된 <오마이뉴스> 기사 30여 건이 검색되지 않고 있다. 이에 네이버는 특정 코드가 포함된 뉴스를 인식하지 못 하는 뉴스 전송 시스템 오류 때문이라고 밝혔다.
ⓒ 김시연

관련사진보기


"<오마이뉴스>도 기사 나왔나요? 네이버에선 안 뜨던데."

첫 보도 후 이틀 뒤 취재원들이 보인 '황당한' 반응이다. <오마이뉴스>는 지난 13일 프랑스 알스톰사가 전력거래소를 상대로 자사 전력시스템 표절 의혹 해명을 요구했다는 내용을 '최초' 보도했다. 국제적인 지식재산권 마찰까지 우려되는 심각한 사안이었지만 공교롭게 이날 네이버에선 이 기사를 찾아볼 수 없었다. 당사자인 전력거래소도 이튿날 보도한 한 일간지 기사에 대해서만 해명 자료를 냈다. 적어도 이들에게 '네이버에 없는 기사'는 안중에도 없었던 것이다.

'최초 보도'의 굴욕... 네이버에서 사라진 기사들

네이버에서 실종된 기사는 이뿐만이 아니었다. 그날 네이버 뉴스 전송 시스템 오류 탓에  미디어다음에 <오마이뉴스> 기사 90여 건이 실리는 동안 네이버에는 60건만 걸렸다. 30여 건이 전송 과정에서 누락된 셈인데 더 심각한 건 이전에서 비슷한 일이 반복돼 왔다는 점이다. 적어도 국내 인터넷 검색 점유율 70%를 차지하는 네이버에서 수많은 기사들이 존재하지 않는 셈이다.

이렇듯 국내 언론사들이 포털, 특히 네이버 때문에 일희일비하는 게 어제 오늘 일은 아니다. 그나마 네이버와 뉴스 제휴를 맺고 있는 <오마이뉴스>는 사정이 나은 편이다. 종합일간지인 <아시아투데이>는 지난 3월 1일 뉴스 검색 제휴 중단 이후 네이버에 '선전 포고'를 했다. 그동안 '네이버 특별취재팀'을 만들어 수많은 네이버 비판 기사들을 양산했지만 네이버 뉴스에선 찾아볼 방법이 없다.

네이버는 지난해 3월에도 <오마이뉴스> <한겨레> <경향신문> 등 8개 매체 뉴스캐스트를 차단해 구설수에 올랐다. 해당 뉴스 사이트에서 '악성코드'가 발견된다는 이유였지만 4월 총선과 대선을 앞둔 시점에 공교롭게 진보 매체들이 주로 포함돼 온갖 정치적 해석을 낳았다.

네이버는 지난해 3월 12일 한겨레, 경향신문, 오마이뉴스, 아이뉴스24, 중앙데일리, 코리아헤럴드, 스포츠서울, 데일리안 등 8개 매체 뉴스캐스트 노출을 차단했다.
 네이버는 지난해 3월 12일 한겨레, 경향신문, 오마이뉴스, 아이뉴스24, 중앙데일리, 코리아헤럴드, 스포츠서울, 데일리안 등 8개 매체 뉴스캐스트 노출을 차단했다.

이처럼 네이버 뉴스의 행보가 주목 받는 건 그만큼 미디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현재 국내 언론 매체는 3000~4000개로 추정되지만 네이버와 제휴를 맺은 매체는 300~400개(네이버 기준)에 불과하다. 그나마 이 가운데 기사 제공료를 받는 매체는 100여 개뿐이고 나머지 매체는 네이버에서 검색만 돼도 '감지덕지'해야 한다. 하지만 <베이비뉴스>처럼 네이버에서 검색조차 안 되는 작은 매체들이 훨씬 더 많은 상황이다.(관련기사: 넘을 수 없는 벽 네이버, 작은 언론은 착잡하다 )

이미 많은 독자들이 '포털 뉴스'에 길들여진 탓에 언론사 홈페이지 방문자는 갈수록 줄고 있다. 포털이 사실상 언론사 '생사여탈권'을 쥐다 보니 언론사들도 포털 뉴스를 경계하는 한편, 그 '가두리 양식장' 안에 들어가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는 것이다.

최청선 랭키닷컴 웹애널리스트는 지난 10월 뉴스스탠드 이후 언론사 트래픽 급감과 포털 뉴스 상승을 언급하면서, "이미 많은 온라인 뉴스 독자들은 포털에서 1차로 정제된 뉴스에 길들여져 있다"면서 "이 정제 작업을 온전히 독자들에게 넘기고 그 뉴스 소비 습관을 바꾸는 일은 어쩌면 더욱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거나, 현재의 온라인 뉴스 유통 구조가 변화되지 않는다면 영원히 변하지 못할 수도 있을 것"라고 지적했다.

이에 네이버와 조중동은 뉴스 유료화를 놓고 '고래 싸움'을 벌이고 있지만 대다수 '새우' 언론사들에겐 근본적인 해법이 될 수 없다. '포털 뉴스 소비'에 누구보다 익숙한 언론사 신참 기자들의 시각도 크게 엇갈렸다.

"네이버 무임승차... 뉴스 유료화가 대안"

종합일간지 A신문 기자는 "대부분 뉴스 소비자들이 네이버 뉴스를 통해 개별 뉴스를 접하는데, 뉴스 제공자가 봤을 때는 아무래도 무임승차처럼 느끼는 정서가 있다"면서 "(조중동이) 바라는 건 우리 기사 돈 내고 너희 사용자들에게 제공하라는 것으로, 적절한 수익 분배가 핵심 아니겠나"라고 밝혔다.

이 기자는 "장기적으로 <뉴욕타임즈>처럼 유료화로 가야 하고 제도적으로 강제하는 것도 필요하다"면서 "무료 뉴스에 익숙해진 독자들이 반발하겠지만 그렇다고 언론사가 망하면 안 되지 않나"라고 '뉴스 유료화'를 해법으로 제시했다.

B신문 기자 역시 "뉴스의 중요도를 가리는 건 전통적인 데스크의 권한"이라면서 "구글이나 야후는 뉴스 검색 서비스에 집중하는데 네이버는 일종의 편집국 역할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기자는 "우리가 다 만들고 기자들이 생산한 뉴스를 플랫폼 제공업자라는 이유만으로 가만히 앉아서 입맛대로 대문에 걸고 그걸로 수익까지 얻고 있다"면서 "그래서 조선이나 매경도 이럴 바엔 그냥 포털에서 빠지고 스스로 유료화하겠다며 떠나려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포털은 대세... 고래싸움에 새우 덕 볼까"

반면 C신문 기자는 최근 <조선일보> 유료화를 언급하며, "어떻게 국민을 대리해서 세상사를 전하는 뉴스가 유료 콘텐츠일 수 있는지 정말 이해할 수 없다"면서 유료화에 반감을 드러냈다.

이 기자는 "사람들은 포털로 뉴스를 보는 게 더 좋다는데 '조중동'은 자꾸 옛날로 가려는 듯하다"면서 "네이버같이 뉴스 플랫폼이 따로 있고 그 안에서 자기 뉴스를 팔려고 경쟁하는 게 옛날에 선풍기 주면서 신문 팔던 것보다 훨씬 공정한 시장인 것 같다"고 꼬집었다.

D신문 기자 역시 "요즘 누가 종이 신문 읽나"라면서 "지금 독자들이 온라인으로 옮겨가니까 역행하려고 발악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한편 신참 기자들은 '네이버 뉴스 천하'에 대한 나름 고충도 털어놨다. E방송 기자는 "우리는 네이버 뉴스스탠드에 진입하지 못해 하루 기사 다섯 개가 기본"이라면서 "기사를 많이 써야 뉴스스탠드에 진입할 수 있어 이런 지시가 떨어진 것"이라고 하소연했다.

F신문 기자는 "고래 싸움에 새우 덕 볼까"라면서 "둘 다 모순을 갖고 있는 '언론'이니까, 차라리 그렇게 자기들끼리 싸우다 보면 뭔가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 같다"고 나름 기대감을 나타내기도 했다. '고래 싸움'을 지켜볼 수밖에 없는 대다수 언론의 현주소인 셈이다.


태그:#네이버, #조중동
댓글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