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고 장준하 선생의 사망 원인에 대해 설명하는 이숭덕 교수.
 고 장준하 선생의 사망 원인에 대해 설명하는 이숭덕 교수.
ⓒ 성낙선

관련사진보기


고 장준하 선생의 사망 원인이 '타살'이 아닌 것에 무게를 둘 수도 있는 의견이 제시돼 또 다른 논란이 예상된다. 이 의견은 지난 3월 26일 이정빈 교수가 "타살 후 추락"을 주장한 것과 정면으로 배치된다.

대한법의학회는 26일 한림대에서 열린 한 학술대회에서 "장준하 선생의 두개골 골절은 추락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라며 "(두개골 골절이 추락에 의한 것이 아니라 하더라도) 두개골 골절의 원인으로 망치 등 원형의 물체를 생각할 수 없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두개골 골절은 장준하 선생의 직접적인 사망 원인으로 지목받고 있다.

대한법의학회는 이날 장준하 선생의 추락이 사고인지 아닌지, 그 외 '어떤 상황'에서 일어난 것인지는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았다. 그러나 대한법의학회의 의견은 지난 3월에 서울대 이정빈 명예교수가 장준하 선생의 유골을 정밀 감식한 결과 "장준하 선생은 (두개골에 가해진) 외부 가격에 의해 사망한 뒤 추락한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한 것과는 상당히 다른 것이다.

이정빈 교수는 당시 "장준하 선생의 몸에 상처가 거의 없는 걸로 봐서 약사봉에서 실족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 "미끄러져서 죽었다면 당시 계곡 지면에 의해 찰과상 등의 상처가 있어야 하지만 장 선생의 몸에는 그런 흔적이 거의 없었다"고 주장했다. 또 두개골을 가격한 물건으로는 "아령이나 큰 돌로 머리를 가격했을 것"이라는 견해를 제시하기도 했다.

양측 모두 장준하 선생의 직접적인 사망 원인이 두개골 골절에 있다는 사실에는 의견을 같이 하고 있다. 그러나 두개골 골절이 일어난 원인에는 큰 이견을 보이고 있다. 이정빈 교수는 장준하 선생의 두개골 골절을 '타살 후 추락'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했지만, 대한법의학회는 '추락 후 사망'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했다.

"추락에 의한 두개골 골절이라 보는 게 합리적"

이숭덕 서울대 의과대학 교수는 이날 대한법의학회 감정위원회 이름으로 '장준하 선생 사건에 대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교수는 이 자리에서 장준하 선생의 두개골 사진을 보여주며, "이 두개골에 나타난 것과 같은 골절은 외부의 큰 충격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사람의) 직접적인 가격이 아니라 추락에 의한 것으로 보는 게 합리적"이라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두개골 골절이 둥근 모양을 하고 있는 것에도 다른 의견을 제시했다. 그는 "장준하 선생 두개골의 둥근 골절 역시 가격에 의한 것으로 보기 어려운 점들이 있다"고 말하며, 그 증거로 다른 사고로 인해 발생한 두개골 함몰 사진들을 제시하면서 "(이러한 골절은 망치나 아령이 아닌) 추락으로도 나타나는 것으로 유사 사례를 많이 볼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장준하 선생의 시신 사진을 보여주며 "피하출혈이 명백하고 신체 여러 부위에서 표피 박탈이 뚜렷이 나타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그는 이 사진들을 보면 "(이정빈 교수가 한) 외부적으로 손상이 없다는 이야기는 못할 것"이라는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유족, "추락 때문? 왜 추가 골절 없느냐" 반박

논란의 쟁점이 되고 있는 고 장준하 선생의 두개골 사진.
 논란의 쟁점이 되고 있는 고 장준하 선생의 두개골 사진.
ⓒ 성낙선

관련사진보기


이 교수의 발표가 끝난 뒤 질의 및 토의 시간이 주어졌다. 그러자 곧 바로 그 자리에 참석했던 장준하 선생 유족 등이 반론을 펼쳤다. 그들은 "장준하 선생이 추락한 지점은 날카로운 암석 지대인데 그런 곳으로 추락하고도 선생의 의복과 시신이 너무 깨끗하다"며 "의식이 있는 상태에서 미끄러졌다면, 그런 상태에서 방어흔조차 나오지 않는 게 가능하냐"고 되물었다.

유족 등은 또 "선생이 추락과 동시에 강한 힘에 의해서 충격을 받았다면, 두개골과 골반 골절 외 목뼈·갈비뼈·견갑골·척추 등에서 추가 골절이 발견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이냐"고 물었다. 그리고 "추락으로 인한 두개골 골절을 전제로 해서 모든 상황을 다 꿰맞춘 것 아니냐"는 지적도 있었다.

이런 질문에 이숭덕 교수는 명확하게 답하지 않았다. 다만 "더 이상의 논의를 위해서는 더 많은 근거를 찾아야 하는데, (그 같은 질문에 모두 답하기에는) 지금은 퍼즐(사건을 규명할 수 있는 자료)이 부족한 상태"라고 말했다. 그럼에도 그는 "지금으로서 두개골 골절은 추락에 의한 것으로 보는 게 더 합리적"이라는 사실을 다시 강조했다.

대한법의학회는 이날 장준하 선생 사망 원인을 설명하기에 앞서, 선생의 사망과 같이 사회적으로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고, 또 많은 부분이 의문으로 남아 있는 사안을 다룰 때는 신중하게 접근할 것을 요구했다. 대한법의학회는 장준하 선생의 사망 원인에 "사람들이 일부 오해하는 부분이 있다"며 "논란은 사실에 근거해서 진행돼야" 한다고 언급했다.

장준하 선생은 1975년 8월 17일 경기도 포천시 약사봉에서 사망했다. 당시 중앙정보부는 장준하 선생이 "실족사했다"고 발표하고, 그의 사망 원인을 실족에 의한 사고사로 규정했다. 그러나 장준하 선생의 유족을 비롯해 수많은 사람들이 그의 사망에 의문을 제기했다. 장준하 선생의 사망 원인은 지금도 명쾌하게 풀리지 않은 숙제로 남아 있다.


태그:#장준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