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마이스타>는 스타는 물론 예능, 드라마 등 각종 프로그램에 대한 시민기자들의 리뷰나 주장을 폭넓게 싣고 있습니다. 물론 그 어떤 반론도 환영합니다. 언제든지 '노크'하세요. <오마이스타>는 시민기자들에게 항상 활짝 열려 있습니다. 편집자 말

우리나라의 예능은 언뜻 보기에 다양한 형식을 지녔다. <힐링캠프>, <라디오 스타> 등 소수의 게스트만 초대하는 형식과 <안녕하세요>, <강심장>, <자기야> 등의 집단예능, <무한도전>, <정글의 법칙>, <런닝맨> 등의 리얼 버라이어티, 여기에 케이블TV의 각종 예능까지 훑어보면 종류도 엄청날 것이다.

그러나 그 안을 들여다보면 그 차이는 크지 않다. '리얼 버라이어티' 등 극히 일부를 제외하면 게스트의 숫자와 상관없이 거개가 '신변잡기'로 흐르고 있기 때문이다. 한정된 연예인들의 겹치기 출연에 따라 신선함을 찾기란 쉽지 않다. 이에 대한 해결책은 물론이거니와 진지한 고민도 발견하기 어렵다.

게다가 정통 코미디 분야는 이제 <개그콘서트> 정도만 그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어떤 이유에서인지는 누구도 확실한 대답을 하기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배꼽 잡게 하는' 프로그램이 점점 사라지고 있다는 것은 누구도 부인하기 어렵다. 연기자들의 측면에서 그 이유를 살펴보기로 하자.

<힐링캠프>의 한 장면 지난 '조혜련 편'에서 과거 '골룸' 연기에 관한 이야기가 나왔다. 이경규는 그를 우연히 마주치자 슬퍼졌다며 ''저렇게까지' 해야 하나'라고 생각했단다. 여기에서 과연 '저렇게까지'의 경계는 어디까지일까? 그 누가 거기에 답을 할 수 있을까.

▲ <힐링캠프>의 한 장면 지난 '조혜련 편'에서 과거 '골룸' 연기에 관한 이야기가 나왔다. 이경규는 그를 우연히 마주치자 슬퍼졌다며 ''저렇게까지' 해야 하나'라고 생각했단다. 여기에서 과연 '저렇게까지'의 경계는 어디까지일까? 그 누가 거기에 답을 할 수 있을까. ⓒ SBS


<힐링캠프>의 한장면 MC 이경규가 조혜련의 '골룸' 연기에 대한 생각을 말하고 있다.

▲ <힐링캠프>의 한장면 MC 이경규가 조혜련의 '골룸' 연기에 대한 생각을 말하고 있다. ⓒ SBS


'코미디', 과연 부끄러운 일일까, 자괴감을 떨쳐야

최근의 예능은 '코미디언', '개그맨' 등의 전유물이 아니다. 가수, 배우 등 다양한 예능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 너나 할 것 없이 뛰어드는 분야가 됐다. 그들 중에는 자신의 본업에 대한 자부심을 지나칠 정도로 드러내는 이들도 있다. 그것이 '코미디'의 영역에 대한 은근한 비하의 의미는 아닌가, 혹은 그것을 주업으로 하는 사람들의 사기를 떨어뜨리는 것이 아닌가 하는 아쉬움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얼마 전, <힐링캠프>의 조혜련 편'에서는 그의 예전 '골룸' 연기에 관한 이야기가 나왔다.  조혜련은 "나는 여자이기 이전에 개그맨이다"는 생각으로 그 배역에 임했다고 한다. 반면 MC 이경규는 그 당시 우연히 그 모습을 발견하고 슬픈 생각이 들어 '꼭 저렇게까지 해야 하나'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며칠 전에는 영국의 코미디배우 '로완 앳킨슨'이 "더는 '미스터 빈'을 연기하지 않겠다"고 했다는 소식이 있었다. 지난 1989년 시작된 '미스터 빈' 시리즈는 우리나라에서도 엄청난 히트를 기록했다. 그런 그가 "50대의 나이에 이런 유치한 연기는 싫다. 앞으로는 진지한 연기를 하고 싶다"고 밝혔단다.

'미스터 빈'은 당시 전 세계적으로 충격적인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제2의 찰리 채플린'이라 칭하는 언론도 있었을 정도. '조혜련 표' '골룸' 또한 당시 대단하다는 칭송을 받았다. 몸을 사리지 않은 그 연기는 '어떻게 해야 웃길 수 있는가'의 정석을 보여주었다는 평을 들었다.

웃음을 유발하기 위한 우스꽝스러운 몸짓과 목소리 등은 그 연기를 하는 사람들에게는 부끄러운 일일 수 있다. 그러나 그것에 열광했던 사람들은 그 '자괴감'을 눈치채는 순간 당혹스러워진다. 단지 그들이 그런 방식으로 '재능'을 드러낼 뿐이라고 여겨왔기 때문이다.

열정과 자부심, '찰리 채플린'에서 배워라

역사상 가장 위대한 희극인으로 추앙받고 있는 찰리 채플린은 정신분열 증세가 있는 어머니와 알코올 중독으로 생을 마감한 아버지 밑에서 어려운 어린 시절을 보냈다. 인쇄소, 제지공장, 유리공장의 직공, 이발사 조수, 잡화상, 병원의 심부름꾼 등 그가 겪었던 직업의 종류도 다양했다.

그는 연기뿐 아니라 감독, 시나리오 작가, 작곡 등에 있어서도 탁월한 실력을 드러냈다. 팬터마임으로 무성영화시대를 풍성하게 만들고, 진한 사회의식과 풍자를 희극에 접목시킨 그는 단순한 희극배우가 아닌 진정한 철학자라고 일컬어진다. 그가 평생을 연기한 '떠돌이 찰리'는 기계문명, 경제공황, 전쟁 등을 풍자하며 발전해나갔다.

또한 희극에 비극적 요소를 집어넣어 장엄한 분위기를 연출하기도 했다. 그는 자신의 웃음 비결로 '인간 본성의 이해'와 '그 속성을 이용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단순히 웃기는 것을 넘어 철학적 연구자세가 돋보이는 대목. 그저 '바보의 재현'으로 그쳤다면 오늘날 그에 대한 평가는 달라졌을 것이다. 

현재 우리의 예능에 부족한 것은 무엇일까. 예능프로그램들의 시청률이 점차 낮아지는 것에는 그저 ''파이'가 점점 작아질 뿐이다'며 자위하는 것에 그치지는 않는가. 연기자들이 '웃기는 행위'를 스스로 비하하며 몸을 사려 왔던 것은 아닌가. 외부의 시선에 지레 주눅들어 있는 것은 아닌가.

다른 사람을 웃기는 것은 아무나 흉내 내기 힘든 타고난 '재능'이다. 문화적, 예술적 재능의 영역에서 우열을 가리는 것은 넌센스. '음악인, 배우, 코미디언 중 누가 더 우월한가' 등의 질문처럼 어리석은 것이 있을까. '혼신의 힘을 다해 재능을 뽐내는 것'은 어느 분야를 막론하고 충분히 존경받을 자격이 있다.

상영에 필요한 2000피트를 위해 6만 피트의 필름을 사용하고, 20분의 상영을 위해 몇 달을 촬영했던 '찰리 채플린', 그러나 무엇보다 망가짐을 두려워하지 않고 자신의 희극적 캐릭터의 완성을 위해 평생을 노력했던 그의 열정을 배워야 할 때다.

예능 코미디언 조혜련 힐링캠프 희극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