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미래세계의 희망은 모든 활동이 자발적인 협력으로 이뤄지는 작고 평화롭고 협력적인 마을에 있다.' '인도 독립의 아버지' 마하트마 간디의 책 <마을이 세계를 구한다>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2012년, '콘크리트 디스토피아' 서울 곳곳에서는 '마을공동체 만들기'가 한창입니다. 함께 '집밥'을 먹고 책을 읽고 텃밭을 가꾸는 것부터, 아이를 같이 키우고 일자리를 나누고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것까지. 반세기 전 간디의 정신은 아직도 유효합니다. <오마이뉴스>는 다양한 마을만들기 사례를 통해 마을이 왜 희망인지 살펴봅니다. [편집자말]
김낙준 서울시 마을공동체 담당관 과장이 11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시 신청사에서 <오마이뉴스> 기자와 만나 마을공동체 사업의 성공요건으로 '민(民)주도'와 '지속가능성'을 강조했다.
 김낙준 서울시 마을공동체 담당관 과장이 11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시 신청사에서 <오마이뉴스> 기자와 만나 마을공동체 사업의 성공요건으로 '민(民)주도'와 '지속가능성'을 강조했다.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무리하지 마라. 끌고 나가거나 주도하려고 하지 마라."

마을공동체 사업을 시작하면서, 박원순 서울시장은 김낙준 서울시 마을공동체담당관 과장(46)에게 준 '특명'이다. 도봉구에서 10여 년간 '마을살이'를 해 온 '마을 전문가'인 그가 혹시나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업을 '서울시 주도'로 끌고까지 않을까 하는 우려 때문이었다.

서울시 공무원을 거쳐 도봉구의원, 도봉구 시민사회단체 네트워크인 '도봉사람들' 대표 등을 지낸 김낙준 과장은 지역사회에서 잔뼈가 굵었다.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공동체 활동을 소개하는 그의 목소리에 애정이 묻어난다. 김 과장은 지난 5월 개방직 공무원으로 시청에 들어왔다.

"도봉구가 고향이죠. 어렸을 때부터 살았어요. 지역 네트워킹을 통해 지역복지 체계를 만들고자 했던 도시넷 사업을 총괄했고, 그것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도봉사람들'이라는 단체가 만들어졌어요. 그러면서 커뮤니티가 하나, 둘 생겼죠. 마을합창단도 있고, 한 달에 한 번씩 마을을 걷는 행사도 있고, 기타동아리도 있고, '그리고 만들고 놀자'라는 '그만놀자'라는 활동도 있고. 텃밭도 공동체 텃밭으로 10가구면, 10가구 같이 키우고 수확을 할 때 같이 음악회도 열어요. 마을 카페도 있고, 마을 디자인 기업도 하나 있고, '도봉N'이라는 마을 신문도 있어요. 지금은 주민들이 돈 모아서 마을 숲속 놀이터를 만들고 있어요."  

서울시 마을만들기 종합지원센터 개소식과 '마을공동체 5개년 기본계획' 발표 기자설명회가 함께 열린 지난 11일 오후, 서울시 신청사에서 김 과장을 만났다. 이날 서울시는 2017년까지 5년간 975개의 마을계획 수립을 돕고, 마을활동가 3180명을 양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돌봄공동체 70개 소에 56억 원을 지원하는가 하면, 1080개의 아파트 공동체 활성화 사업을 추진한다. 또한 718개 공공시설 유휴공간을 개방해 '10분 거리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할 계획이다. 

그는 마을공동체 사업의 성공요건으로 '민(民)주도'와 '지속가능성'을 거듭 강조했다. 김 과장은 "'민이 나서야 성공한다'가 이 사업의 시작점이자, 서울시가 항상 견지하고 있는 자세"라면서 "마을공동체 사업은 민의 욕구에서 출발해서 민의 노력과 땀이 녹아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중간지원체인 마을만들기 종합지원센터와 협업해서 주민들의 자치역량을 키워주는 등 '지원'만 한다는 것이 김 과장의 설명이다.

다음은 김 과장과 나눈 일문일답을 정리한 것이다.

"관이 나서면 실패한다... 서울시는 지원만"

박원순 서울시장을 비롯한 김형주 서울시 정무부시장, 조한혜정 서울시 마을공동체 위원회 위원장, 김우영 은평구청장, 성백진 서울시의회 부의장 등 내빈들이 11일 오전 서울 은평구 녹번동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 개소식에 참석해 현판 제막을 마친 뒤 박수를 치고 있다.
 박원순 서울시장을 비롯한 김형주 서울시 정무부시장, 조한혜정 서울시 마을공동체 위원회 위원장, 김우영 은평구청장, 성백진 서울시의회 부의장 등 내빈들이 11일 오전 서울 은평구 녹번동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 개소식에 참석해 현판 제막을 마친 뒤 박수를 치고 있다.
ⓒ 서울시

관련사진보기


- 당초 예정보다 기본계획 수립이 늦어졌다. 이유는?
"우리 안에서도 우려를 갖고 있었다. 이 사업이 성공하려면 '민(民)주도'라는 부분이 굉장히 중요하다. (서울시에서) 지나치게 목표점을 높게 갖는 것도 문제일 수 있고, 지원 금액 등 숫자에 대한 조정이 필요했다. 기자설명회에서도 그런 표현을 했는데 (2017년까지) '1000개의 마을을 만들겠다'는 게 아니고, '1000개의 마을 계획, 의제를 수립하는 것을 지원하겠다'는 의미다. 그 중에서 몇 개의 마을이 만들어질지는 모른다."

- 처음 박원순 서울시장이 '마을공동체 만들기'를 한다고 했을 때, 주민이 주도가 되어야 할 마을만들기를 '관'이 추진한다는 게 말이 안 된다는 비판이 많았다. 이번 시정질문에서도 비슷한 지적이 나왔다. 
"가령 시에서 유휴 공간을 열어주고, 그 공간을 가지고 뭔가를 해볼 사람을 찾는다. 관 주도일까, 민 주도일까? 민관이 같이 하는 거다. 인프라는 민관이 함께 구축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운영방식이다. 시에서 예산을 지원하고 예산이 떨어지면 (마을공동체가) 없어지는 이런 방식이 되는 것은 관주도다. 민이 주도한다는 것은 민의 욕구에서 출발해서 민의 노력과 땀이 녹아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사업의 성공 요건은 관이 나서면 실패한다는 것이다. '민이 나서야 성공한다'가 이 사업의 시작점이자, 서울시가 항상 견지하고 있는 자세다. 기본계획 세우면서 가장 주안점을 둔 부분이 '민주도' 그리고 '지속가능성'이었다."

- 사단법인 마을에 마을만들기 종합지원센터를 위탁했다. 이유는?
"이러한 센터는 대부분 갑과 을의 관계에서 운영된다. 그런데 마을만들기 종합지원센터는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한다. 센터는 센터장(유창복 사단법인 마을, 성미산 마을극장 대표) 1명과 5개의 실국, 총 26명으로 이루어졌다. 위탁을 받은 사단법인 마을은 마을활동가들이 모인 새로운 조직체다. 성미산 마을을 비롯해 다양한 곳에서 다양한 활동을 했던 중견활동가들이 결합했다. 이들이 연구활동도 하고, 중간지원체로서 마을 사업에서 리더십을 발휘하는 위치에서 역할도 하고, 가장 밑바닥에서 주민들을 도와주는 역할도 할 것이다. 다만 서울시에서 처음 하는 사업이기 때문에 방향성을 같이 고민하고 체킹하는 작업들을 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마을사업은 변화 발전할 것이다."

- 이미 광주, 대구, 부산 등 대도시에서도 마을만들기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서울시 마을만들기 사업이 다른 지역과 다른 점은 뭔가.
"서울시는 마을만들기 지원을 한다. 서울시가 마을을 주도적으로 만드는 것이 아니다. 다른 지역에서도 마을만들기 방식으로 추진되어 왔던 것들이 서울시처럼 주민이 행정주체로 성장하는 방향으로 옮겨가지 않겠나 생각한다." 

- 2017년까지 5년 간 마을활동가 3180명 양성하고, 975개의 마을계획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 마을만들기 지원센터 26명, 서울시 마을공동체 담당관 10여 명으로 가능한가. 인력이 부족하지 않나.
"센터 26명, 공동체 담당관 14명 이외에도 마을활동가들이 연결되어 있다. 서울 20개 지역에 마을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다. 이 분들이 마을사업에 참여를 할 것이다. 마을에서 축제를 하는데 기획팀은 십여 명이 하지만, 실제로 축제를 하는 과정에는 백여 명이 같이 참여해서 하는 것처럼. 몇 개월 동안 센터를 어떻게 여느냐, 기본계획도 어떻게 하느냐도 중요했지만 밑바탕에서는 계속 그 작업을 하고 있었다."

- 기본계획을 발표하면서 서울시내 85개 마을공동체 지도를 공개했다. 선정 기준이 뭔가.
"'마을공동체'는 '마을'과 '공동체'를 합친 말이다. 공동체는 규모가 어느 정도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지속가능하게 운영할 정도의 규모가 되면 된다. 이러한 단위 공동체 씨앗들 여러 개가 엮이면서 서로 관심을 갖고 자원을 공유하고 서로의 문제들을 함께 해결할 수 있는 관계로 성장한다면 그건 마을이다. 성미산 마을, 재미난 마을에 수십 개의 커뮤니티가 있는 것처럼. 이런 식으로 보면 마을은 그렇게 많지 않다. 85개 마을공동체 지도에서는 마을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는 것을 추려봤다. 서울시, 지원센터, 서울연구원 세 주체가 동의한 것만 정리했다. 이제 시작이기 때문에 올해 연말이 되면 그때쯤에 보여줄 수 있는 마을은 30개가 될 수도 있다. '진짜 이게 마을이야'. 거기에 공동체가 수백여 개가 될 수도 있다. 진화 할 것이다." 

- 기본계획의 내용을 보면, '부모커뮤니티 사업을 시작으로 단계별로 공동체 문화를 전파·확산시켜 간다'고 되어 있다. 가장 쉽기 때문인가.
"가장 욕구가 크다. 아이들을 키우는 과정 속에서, 아이들이 성장하는 단계 속에서 (부모들의) 욕구가 변한다. 어린 애들일 때는 돌봄 커뮤니티. 초등학교 가면 방과 후가 걱정이다. 이후에도 대안이 뭐가 있을까 찾게 된다. 작은 단위의 부모 커뮤니티를 토대로, 그것이 성장해서 마을을 형성해갈 수 있다."

"돈 많이 드는 사업? 기존의 예산을 잘 쓰게 하는 방법"

김낙준 서울시 마을공동체 담당관 과장.
 김낙준 서울시 마을공동체 담당관 과장.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 청년이 마을활동가로 팀을 이뤄 사업을 하는 경우 사업비를 지원한다는 점도 눈에 띈다.
"청년들에 대한 일자리 지원 사업이 원래 따로 있다. 이런 것을 단기간 하다가 그만두는 방식이 좋을까. 마을이라는 단위에서 청년들이 좋은 아이템을 가지고 기업을 하거나 마을의 활동가가 돼서 역할을 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고민했다. 마을 때문에 별도의 예산을 확보하는 것보다는 기존의 예산에서 마을로 눈을 돌려서 가능성을 찾아보는 것이다. '마을 지향 행정'으로 변화시키는 거다. 경력단절 여성도, 시니어도 마찬가지다. 각각에 대해서 이미 사업들이 있다. 이 사업들이 단편적으로 가는 게 아니라 마을이라는 공간에서 주민과 커뮤니티를 형성하면서 함께 참여하는 방식으로 가면 성공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마을 사업은 돈이 많이 드는 사업이 아니다. 기존의 것들을 변화시켜서 잘 쓰게 하는 방법이다."  

- 서울시민들은 정주율이 낮은 편이다. 공동체 형성에 어려움이 있지 않을까.
"저는 도봉에서 10년 넘게 마을살이를 하고 있는데 같이 함께 살았던 동네 사람들 중에 이사 가신 분들도 있고 새롭게 이사 오신 분들도 있다. 그런데 크게 바뀌지 않는 게 집값이나 전셋값이나 월세 값들이 지역별로 차이가 커서 여기 살다가 바로 옆으로 이사 가는 경우도 많다. 이사를 자주 하시는 분들, 어떻게 마을살이를 토대로 그 지역에서 즐겁게 살도록 할 것이냐. 그것도 하나 목표지점이다. 실제로 마을살이를 하는 사람들은 이사를 잘 안 간다. 이사 가면 이 친구들이 없어지니까. 가더라도 바로 옆으로 가기 때문에 그 관계가 끊어지지는 않는다." 

- 마을살이를 하려면 시간적으로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어야 하는 것 아닌가.
"사실 회사원들은 마을살이를 할 만한 형편이 안 된다. 그래서 일주일에 한 번 정도, 한 달에 한 번 정도도 괜찮다. 기자들의 경우, 한 달에 한 번 정도 동네에서 기자학교를 열 수도 있다. 애들한테 기사작성법을 가르쳐서 애들이 청소년 마을신문을 만들 수도 있고. 그런 청소년 마을신문을 만들고자 하는 부모들이 있다. '우리 애들이 만드는 신문 한 번 제작해보자. 우리 옆집에 <오마이뉴스> 기자 누구 있는데 한 번 부탁해보자'. 그때부터 연결이 되고 활동하게 되면, 나중에 애를 낳았을 때 또 애 함께 키우게 된다. 마을살이는 내가 시간을 내는 것, 재능을 내는 것부터 시작된다."

- 복지차원에서도 의미가 있을 것 같다.
"결국 마을은 복지다. 어떤 사람이 살다가 힘든 문제에 빠졌다. '마을살이'하는 사람들은 그 마을에 있는 자원들과 연계돼서 그 안에서 고민을 이야기하고 다양한 해결책을 찾게 된다. 누구네 아빠가 어떤 어려움을 겪고 있다. 동네 아줌마들끼리 이야기해서 '누구네 아빠가 이런 일 하던데 그 일 상담해보면 좋겠다' 이런 게 나올 수 있다. 누구네 애가 다치면 돈도 모을 수 있고. 지역복지의 모델이 마을이다."

- 주민이 마을사업 제안서를 작성하면, 센터는 심사를 거쳐 1개 마을당 100만 원~600만 원을 지원해 계획 수립을 돕게 된다. 재정지원뿐만 아니라, 이 돈이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관리 감독하는 것도 중요할 것 같다. 그런데 이러한 관리 감독이 자칫 자율성을 침해할 수도 있지 않을까.
"기존의 방식은 프로젝트 내서 작업하고 보고하면 예산을 잘 썼는지 회계상의 부정은 없었는지 그것만 본다. 그런데 마을사업은 지원센터, 마을 활동가가 협업을 통해서 함께 한다. 제안서가 접수가 되면 마을 활동가들이 가서 조사도 하고 선정이 되면 센터는 마을활동가들과 함께 컨설팅을 한다. 이러한 관계를 가지고 예산을 지원을 하기 때문에 기존의 방식과 프로세스가 완전히 다르다."  

"박원순 이후에도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어야"

박원순 서울시장이 11일 오전 서울 은평구 녹번동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 개소식에 참석해 성미산 마을, 재미난 마을 등 85개의 마을공동체가 형성된 서울시 마을지도를 보고 있다.
 박원순 서울시장이 11일 오전 서울 은평구 녹번동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 개소식에 참석해 성미산 마을, 재미난 마을 등 85개의 마을공동체가 형성된 서울시 마을지도를 보고 있다.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 마을공동체가 만들어지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리는데, 박원순 시장 임기는 2년도 채 안 남았다. 2년 안에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시장님이 걱정하지 말고 하라고 하셨다(웃음). '마을(만들기), 오래 걸리는 거 압니다. 무리하지 마십시오. 끌고나가거나 주도하려고 하지 마십시오'. 저한테 '특명입니다' 그러시더라."

- 시장이 누가 되느냐, 대통령이 누가 되느냐에 따라 행정이 180도로 확 바뀌다 보니 이러한 우려가 나오는 것 같다. 
"박원순 이후에도 지속가능한 마을공동체 사업이 될 수 있도록 해야한다. 커뮤니티 공간을 만들고 인프라를 만들고 사람을 성장시키고. 저는 모든 사업의 기본이 마을지향 행정 방식으로 갔으면 좋겠다. 자꾸 인프라 만들면 경상적 경비가 늘어나는 방식으로만 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예산 부족하다. 그런데 마을행정의 방식에서는 경상적 경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식으로, 주변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그(커뮤니티) 공간을 자신들의 공간으로 이용하고 활용하고 그 안에서 삶을 영위하고 그런 일련의 과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 짧지만 2년 이내에 하나하나 이루어질 거라고 보고 있다. 

부모커뮤니티만 해도 지금도 행복한 사례들이 나오고 있다. 마을미디어도 마찬가지고. 마을예술창작소도 재미난 활동들 하게 될 거고, 작은 도서관들도 책만 대출하는 것에서 벗어나서 배움과 돌봄과 다양한 삶들이 녹아낼 수 있는 공간으로 변화될 것이다. 기존에 잘 활동하고 있는 마을을 토대로 모델을 만들고 확산하는 것도 중요하다. 기존의 것을 변화시키고 기존의 것을 잘 활용해서 새로운 것을 만들어가는 것. 이게 마을공동체 사업의 '패러다임의 변화'라고 할 수 있다."

- 25개 자치구와의 연계는 어떻게 되고 있나.
"자치구마다 관심을 갖고 있고 고민을 하고 있다. 문의도 들어오고 있다. 서울시 입장에서는 인위적으로 지원을 하지는 않을 거다. 자치구의 의지가 확고해야 하는 거고, 각 자치구에 들어설 지원센터가 종합지원 센터와 어떻게 협업을 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지금 현재 고민하는 단계다."

- 성북구에는 이미 지난해 말 마을만들기 지원센터가 개소했다. 
"굉장히 잘 하고 있다. '구 단위의 지역 센터가 저렇게 하면 잘 될 것 같다'는 모델이다. 좋은 모델이 이미 발생을 했기 때문에 다른 데서도 서울시와의 협업이 잘 진행될 수 있을 거라고 본다."


태그:#김낙준, #마을, #마을공동체, #박원순, #마을의 귀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사진기자. 진심의 무게처럼 묵직한 카메라로 담는 한 컷 한 컷이 외로운 섬처럼 떠 있는 사람들 사이에 징검다리가 되길 바라며 오늘도 묵묵히 셔터를 누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