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구한말의 친일 매국노 송병준의 집
▲ 용인집 구한말의 친일 매국노 송병준의 집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강창일(배재대 교수·한국사)은 '송병준'을 친일매국노 제1호로 꼽았다.

송병준은 한말에 현감, 군수 등을 역임하였고, 통감부가 설치된 후에는 통감부 권력을 등에 업고 농상공부대신, 내무대신 자리에 올랐다. 또한 합병 후에는 일본의 백작까지 지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출생과 성장 배경 등은 베일에 가려져 있어 전모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사전류에는 그의 행각과는 걸맞지 않게 단편적이고 소략하게 기술되어 있다.

그는 1857년(1858년이라고도 하나 실제는 1857년이다) 8월 20일 함경남도 장진에서 태어났다(태어난 곳도 장진이 아니라 서울의 기생집에서 태어난 뒤 아버지가 장진으로 데려갔다 한다). 아버지는 장진군의 속사인 송문수이고, 생모는 기생으로 덕산 홍씨라고 한다.

부친 송문수와 본처(제주 고씨) 사이에는 자식이 없었으나, 너댓명의 첩을 두었기 때문에 송병준에게는 배다른 동생이 셋이나 있었다. 송병준이 어렸을 때, 아버지 송문수는 일가를 이끌고 경상도 추풍령 부근에 내려와 정착했다. 서자로 태어난 송병준은 적모 밑에서 심하게 구박을 받으면서 자랐는데, 여덟 살 때 어머니로부터 도둑질 혐의를 받고 쫓겨나게 되었다.

사랑채와 행랑채를 잇는 중문
▲ 중문 사랑채와 행랑채를 잇는 중문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매국노 송병준의 집 사랑
▲ 사랑채 매국노 송병준의 집 사랑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이때부터 그에게는 새로운 삶이 펼쳐진다. 집에서 쫓겨난 송병준은 동학교도(송병준은 동학 2대 교주인 최시형을 만났다고 술회하고 있으나 믿어지지 않는다)라 칭하는 일단의 도적떼에게 구출되어 3개월 가량 쫓아다니다 헤어진 후, 도둑질과 문전걸식으로 연명하였다. 하루는 참외를 훔치러 갔다가 참외밭 주인에게 들키게 되었는데, 도리어 주인이 불쌍하게 여겨 함께 살게 되었다.

얼마 후 주인이 참외를 팔러 서울로 올라갈 때 함께 가게 된 송병준은 우연히 민씨 세도가인 민태호(고종의 외숙, 민영환의 양부)의 눈에 띄어, 그의 애첩 홍씨 집에서 일하게 되었다. 후일 송병준은 이 홍씨를 자기의 생모라고 말하고 있지만 이는 그가 자기 출신을 미화하기 위해 꾸며 낸 거짓말이었다. (인터넷 검색자료)

사랑채 끝에 한 칸을 돌출시켜 조성한 누정
▲ 누정 사랑채 끝에 한 칸을 돌출시켜 조성한 누정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강 교수의 글 <송병준>에서 첫 단락 '배신과 사기의 배후'에 소개한 글이다. 1884년 갑신정변을 일으킨 김옥균을 살해하려고 일본에 건너갔으나, 도리어 설득당하여 그의 동지가 되었다. 1886년 귀국하여서는 김옥균과 통모한 혐의로 투옥되었으나 민영환의 주선으로 출옥, 흥해군수와 양지현감 등을 역임하다가 정부가 체포령을 내리자 다시 일본으로 피신했다.

하늘과 역사는 용서하지 않는다

그 뒤의 그의 행적은 일일이 소개를 하지 않기로 한다. 다만 그 송병준이 용인 양지에 살 던 집이 현재는 남양주시 평내동 궁집 옆에 자리를 하고 있다. 원래 용인에 있었던 집을 후손들의 몰락으로 매각한 것이다. 이 집을 그대로 옮겨와 복원하였다 하여 이곳에서는 이 집을 '용인집'이라고 부른다.

중문에 붙여 길게 지은 행랑채와 광
▲ 행랑채 중문에 붙여 길게 지은 행랑채와 광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안채에서 바라다 본 사랑채의 안
▲ 사랑채 안 안채에서 바라다 본 사랑채의 안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안마당에서 본 행랑채. 광과 방 부엌의 순으로 조성하였다
▲ 행랑채 안마당에서 본 행랑채. 광과 방 부엌의 순으로 조성하였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용인에 이 집이 있었을 때는 그 세도가 나는 새도 떨어트릴 수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역사는 그렇게 녹록치가 않다. 그 세도가의 몰락은 결국 집까지 남의 손에 넘어가고, 몰락한 세도가의 상징으로 전혀 관계가 없는 남양주로 이건하었다. 참으로 세상을 살면서, 왜 인간이 올곧게 살아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집이다.

좋은 집이다, 하지만 이 집에서 살고 싶지는 않다

용인집은 구한말의 가옥이다. ㄴ자로 꾸며진 사랑채와 행랑채, 그리고 ㄱ자로 꾸민 안채가 합해 튼 ㅁ자형으로 조성하였다. 집 앞에 놓인 석물들도 모두 용인에 있던 것을 그대로 옮겨왔다는 것을 보면, 당시 이 집의 세도를 알 만하다. 이 집은 아마도 송병준이 용인 양지현감을 지낼 때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구한말 대가집의 형태로 꾸며진 안채
▲ 안채 구한말 대가집의 형태로 꾸며진 안채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한편에 중문을 바라보고 좌측으로 꺾인 행랑채와 우측의 사랑채가 ㄴ자 형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사랑채 우측 끝에는 한 칸을 앞으로 덧달아 누정을 만들었다. 창문이 모두 유리로 되어있는 것을 보아, 당시 세도가들의 집 꾸밈을 알 수 있다. 구한말에 지은 집들에서 이런 유리문이 자주 보이기 때문이다.

안채는 안마당을 지나 ㄱ자 집이다. 8칸 팔작지붕으로 지은 안채는 잘 조형된 장대석으로 기단을 쌓고 그 위에 집을 올렸다. 방과 대청, 부엌 등을 고르게 배치한 것이나, 치목과 석재 등을 사용한 것으로 보아서 당대의 재능이 뛰어난 장인들이 지은 집이란 것을 알 수가 있다.

용인에 있는 송병준의 집에서 옮겨왔다는 석조물
▲ 석물 용인에 있는 송병준의 집에서 옮겨왔다는 석조물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전국을 돌아다니면서 그 동안 만난 200여 채의 고택. 그 중에서 용인집은 집 그 자체로는 정말로 좋은 집이다. 하지만 이 집에서는 절대로 살고 싶지가 않다. 이 집에서는 나라를 팔아넘기려고 한 매국의 냄새가 짙기 때문이다. 또한 수많은 사람들의 피냄새가 난다. 그래도 이 집을 돌아보는 것은, 역사는 준엄하다는 것을 세상 사람들에게 알려주고 싶기 때문이다. 그것도 제헌절인 7월17일에 돌아보았다는 것이 더욱 의미가 갚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경기리포트와 다음 뷰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이 집은 7월 17일에 다녀왔습니다



태그:#용인집, #송병준, #매국노, #친일파, #남양주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