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언제부턴가 우리 주변에 원래 있었던 것처럼 자연스럽게 외국인들이 보이고 있다. 몇몇 언론은 우리나라의 산업구조에서 외국인 노동자들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게 됨에 따라 이제는 그들 없이는 제조업 등을 유지하기 힘든 지경에 이르렀다고 보도한다. 또, 일각에서는 외국인들이 한국에 정착에 그의 2세가 사회에 등장하면서 이주민 2세에 대한 편견을 버리고 받아들여야한다는 견해도 있다. 

 

우리는 '다문화'라는 단어의 등장에서 이를 알 수 있다. 또한, 오늘날의 많은 문학 작품과 영화, 드라마 등에서 외국인 인물이 흔히 등장하는 것으로도 알 수 있다. 나는 '다문화'의 흐름을 읽기 위해 지난 2009년에 개봉한 영화 <반두비>를 봤다. 당시 영화는 뜨거운 감자가 되기도 했다.

 

이 영화는 스스로의 가정이 불우하다고 생각하는 한 소녀와 방글라데시 출신의 외국인 노동자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영화의 여주인공인 민서는 그저 자신의 마음을 열어둘 수 있는 단 하나의 친구로 방글라데시에서 온 카림과 사귀게 된다. 민서는 외국인 노동자를 향한 편견에서 조금씩 벗어나 카림을 순수하게 소통할 수 있는 대상으로 인식하게 되며 둘의 관계는 깊어진다.

 

하지만 카림은 자신과 결혼해 한국에 남으라는 민서의 부탁을 거절하고 본국으로 송환되고 만다. 또 민서는 새아빠가 취업을 하면서 가정이 안정되면서 평온한 일상을 누리게 된다. 영화는 나중에 민서가 방글라데시 요리를 먹으며 카림을 추억하는 것으로 막을 내린다.

 

소통할 수 있는 친구의 관계에서 머물고 더 이상의 인연을 보여주지 않은 것은 이 영화의 순수함을 강조하기 위해서 였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런 노력에도 개봉 당시 이 영화에 대한 온갖 루머가 있었다. 또한 이 영화를 불쾌하게 바라보는 시선들도 많았다. 

 

영화나 드라마 속의 외국인 노동자들은 항상 착한 이미지를 갖고 있다. 게다가 정직하고, 한국인들로부터 차별을 받고 힘들게 살아가는 인물로 그려진다. 그들 중에도 범죄를 저지르고 나쁜 마음을 갖고 있는 사람도 있을 법한데 말이다. 

 

그러던 중 길을 걷다 동남아사람을 보게 됐다. 그저 바라본 것만으로도, 그 순간 내 머릿속에 떠오르는 생각이 있었다. '아! 우리에게는 편견의 뿌리가 너무나 깊다. 그 뿌리가 너무 깊어서 그것을 파내기 위해 역차별의 편향적인 작품들이 쏟아져 나오지만 아직도 다 없애지 못했구나'라고.

 

그랬다. 나는 외국인노동자에 대한 일방적인 묘사는 우리 의식 내부에 있는 편견에 비하면 일방적이라고 하기에도 민망한 수준임을 깨달았다. 만약 당신의 딸이 동남아 출신의 남자와 어울려 다니는 모습을 본다면 어떤 기분이 들겠는가. 바로 그것이다. 우리는 그들을 미지의 생물로 인식하고 있지 않을까. 현실이 이렇다. 무조건적으로 부정적 인식을 갖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디에서부터 손을 대야 이런 매듭을 풀어갈 수 있을까.

 

아마도 이런 편견을 깨려는 의도로 작품을 창작해오던 사람들도 많은 고민을 했을 것이다. 많은 제작자들이 우선은 착한 이미지의 외국인노동자의 인물을 작품에 등장시켜 그들에 대한 편견을 없애보겠다는 결론에 도달한 듯 보인다. 하지만 이런 방식으로는 편견의 뿌리를 제거할 수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 

 

우리는 그들을 모른다. 그들이 어떤 생활을 해왔고 어떤 가치관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믿음을 가지고 있는지 우리는 알지 못한다. 이런 상황에서 그들에 대한 편견을 깨기 위해 그저 '착하고 정직한' 이미지만을 강조하는 것은 우리의 편견을 더 깊게 만들 위험성이 있다.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 앞으로의 작품에서는 적어도 외국인들의 모습 그 자체로 비춰줘야 하지 않을까. 한국인의 눈으로 바라본 외부인이 아니라 그들의 문화를 있는 그대로 보여줘야 할 것이다. 그렇게 서로 이해하며 그들의 문화를 받아들인다면 우리의 막연한 편견과 두려움이 사라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태그:#다문화, #반두비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5,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