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임금이 편전으로 사용하던 전각으로 광화문 흥례문 근정문 근정전과 함께 경복궁 남북 축 선상에 있으며 뒷문으로 나가면 임금의 침실 강녕전이다
▲ 경복궁 사정전 임금이 편전으로 사용하던 전각으로 광화문 흥례문 근정문 근정전과 함께 경복궁 남북 축 선상에 있으며 뒷문으로 나가면 임금의 침실 강녕전이다
ⓒ 이정근

관련사진보기


"삼정승과 좌찬성이 입궐하였습니다."
"들라 이르라."

영의정 수양대군, 좌의정 정인지, 우의정 한확, 좌찬성 이사철, 좌참찬 이계린이 입시하였다.

"전하께서 외롭고 적적하시므로 모두 왕비 맞아들이기를 원하오니 맞아들이소서."
"맞아들이소서!"
"맞아들이소서!!"

다함께 머리를 조아렸다.

"불가하다."
"태종께서 '국상 3년 내에는 장가를 들지 못한다'는 법을 세우셨으나 이것은 평상시에 한 한 것입니다."
"지키라고 만들어놓은 법을 지키지 않으면 무슨 법이라 하겠습니까? 과인은 법을 지킬 것입니다."
"지금 전하께서 처한 입장은 항상 있을 수 있는 상례(常例)가 아니오니 사사로운 법에 얽매여서는 아니 됩니다."
"사사로운 법이라 하셨습니까?"
"그렇습니다. 전하께서는 평화롭고 한가한 시대에 지키라고 만들어놓은 법은 좇지 않으셔도 됩니다. 지금은 역도가 날뛰는 국난의 와중입니다."
"태종의 말씀을 따르는 것은 법 이전에 부왕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입니다. 인간이 예를 벗어나면 축생과 다를 바 뭐가 있겠습니까? 과인은 법도 지키고 예도 따를 것 입니다."
"옛사람이 말하기를 '형수가 물에 빠지면 손으로 잡아 건진다'고 하였습니다. 형수의 손을 잡는 것은 예법에 어긋나나 물에 빠지면 손으로 끌어 잡아야 하니 이는 부득이하여 권도(權道)에 따른 것입니다."
"과인은 권도보다 정도(正道)를 따를 것입니다."

임금의 심중은 단호했다.

"청컨대 경중과 대소를 깊이 생각하셔서 옳은 길로 결단하소서."
"돌아들 가시오."

임금의 결심은 완강했다. 수양과 신료들이 물러나왔다. 오전에 물러나온 수양이 오후에 다시 찾아왔다. 이번에는 정인지와 한확 등 조정 대신 외에 양녕대군 이제, 효령대군 이보, 경녕군 이비, 부마 정종과 함께 입궐했다.

"오늘 아침에는 정부에서만 청하여 윤허를 얻지 못하였습니다만 이번에는 육조의 재상과 종친 부마와 일등공신들이 모두 다 함께 청합니다. 윤허하소서."

머리가 하얀 종친들이 고개를 숙였다.

"불가하다."

임금에게 가장 무서운 종친은 수양대군이고 가장 어려운 종친은 양녕대군이다. 왕위를 버린 그 위대함도 존경스러웠지만 나이 상으로도 참 어려운 존재였다. 임금 나이 12살. 양녕대군 59세. 직계 할아버지 세종의 형님이니 그럴 수밖에 없었다. 어린 임금이 잠깐 흔들렸으나 중심을 잡았다.

"신들의 청은 전하 일신을 위한 것이 아니오라 국가의 대사입니다. 왕비를 맞아들이는 일은 종사(宗社) 만세의 계책에 관계되는 것이오니 청컨대 경중을 생각하소서."
"불가하다 하지 않았습니까."
"윤허하지 않으시면 신 등은 물러갈 수 없사옵니다. 윤허를 얻은 뒤에야 물러가겠습니다."
"윤허는 없습니다."
"오늘의 청은 하루의 의논이 아니고 심사숙고한 뒤에 감히 말씀드리는 것이오니 어찌 옳지 않은 것을 말씀드리겠습니까? 모름지기 신 등의 청을 따르소서."
"윤허는 없다 하지 않았습니까."
임금의 단호함은 꺾을 수 없었다.

거목도 마지막 한 방에 쓰러진다

대군청에 돌아온 수양이 한명회를 불렀다.

"자네의 의견이 묘안인 줄 알았는데 졸책 이었나 보네."
"몇 번이나 했다고 그러십니까?"
"다섯 번 간택 후에 양녕대군을 모시고 들어갔는데도 어림없네."
"거목도 마지막 한 방에 쓰러집니다. 아직 마지막 한 방이 주효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 마지막 한 방이 언제 터지겠나?"
"찍다보면 터지게 돼 있습니다."

근정문
▲ 경복궁 근정문
ⓒ 이정근

관련사진보기


섣달 스무아흐레. 올해도 하루 남았다. 계유년을 넘기지 않고 임금의 혼례를 성사시키려던 수양의 계획은 빗나갔다. 마음이 급해진 수양이 좌의정 정인지, 우의정 한확과 여러 종친 부마 문무백관들과 더불어 근정문에 섰다. 백악에서 내려온 칼바람이 옷깃을 파고든다. 대전에서 나온 환관에게 봉장(封狀)을 전했다.

"종친·정부·육조·공신·부마가 왕비를 맞아들이시라고 여러 번 청을 드렸으나 윤허를 얻지 못하여 이렇게 봉장을 올립니다. 예로부터 제왕들이 국가를 다스림에 있어 그 예법에 네 가지가 있으니 이른바 관혼상제(冠婚喪祭)입니다. 그 중 상례는 사람으로 태어나서 자식 노릇하는 마지막 일로서 성심을 다해야 할 것이나 자신이 처한 형편을 간과해서 행하는 것은 오히려 불효가 됩니다.

상(喪)을 치르는 예(禮)에 있어 거친 음식과 맹물을 마시고 술과 고기를 먹지 아니함은 애통의 심정을 표하기 위함입니다. 그러나 존장(尊長)이 권하면 먹고 질병이 있으면 먹는 것은 조상이 물려주신 신체를 손상시키지 않고 가업을 이어 효도를 다하기 위함입니다. 지금 선왕의 유체(遺體)는 오직 전하 몸 하나뿐이시니 그 소중함이 상례로써 논할 것이 아니온데 전하께서 어찌 그 몸을 사사로이 할 수 있겠습니까?

혼례는 종묘(宗廟) 제사의 소중함을 받들고 자손만대를 이어가는 것이기 때문에 효 중의 으뜸입니다. 전하께서 열성(列聖)의 업(業)을 이어받아 종묘사직을 지키시니 백성이 의지하고 우러러 보나 아직 원자가 없습니다. 이는 선왕의 도(道)를 계승하는 소이가 아닙니다. 오늘날 종묘사직을 위한 대계(大計)는 오직 왕비를 택하여 후사를 이으시는 데 있습니다.

순 임금은 존경받는 임금으로 후세 사람들이 대효(大孝)라고 칭송하는데 그가 부모에게 고하지 않고 아내를 맞이하였습니다. 순 임금이 어찌 부모에게 고하는 것이 효도가 되고 예도(禮道)가 되는 것을 몰랐겠습니까? 이것이 이른바 권도(權道)입니다. 지금 온 나라 백성이 복이 없어 세종과 문종께서 모두 승하하시고 전하께서 어리신 몸으로 즉위하시어 위로는 모후의 보살핌이 없고 아래로는 어진 왕비의 도움이 없으시니 어찌 국사의 큰 변례가 아니겠습니까? 하루 빨리 왕비를 맞아들이소서."

아무런 답이 없자 도승지 최항, 좌승지 신숙주, 우승지 박팽년, 우부승지 권자신이 아뢰었다.

"종친과 백관들이 청하는데 어찌 옳지 않은 것을 청하겠습니까? 여러 고전을 상고하여 보았는데 이런 일이 왕왕 있었습니다. 오늘날 종사의 대계로 보아 그렇게 아니 할 수 없습니다. 백관의 청을 따르는 것이 옳은 줄로 아뢰옵니다."
"따를 수 없다."

이번에는 사간원이 나섰다.

"대상(大祥)이 겨우 수개월 남아 있사오니 혼처를 정해놓고 대상이 지난 뒤에 가례를 올리는 것도 또한 방법일 줄로 아뢰옵니다."
"상중에 혼담을 나누는 것 자체가 정도가 아니다."

갑술년 새해가 밝았다. 정월 초하루에는 의례 신년하례가 있는 날이다. 그러나 수양은 하례를 간소하게 처리한 후 좌의정 정인지, 우의정 한확과 양녕대군 이제, 효령대군 이보와 여러 종친·부마와 문무백관과 더불어 아뢰었다.

"비(妃)를 맞아들이도록 재삼 청하였으나 윤허를 받지 못하였습니다. 물러나서 생각하여 보니 신하된 본분으로 중지할 수 없습니다. 금일 백관들이 종사의 대계를 위하여 다시 아뢰니 모름지기 따르소서."
"할 수 없다."
"옛날에는 상(喪) 중에 술을 마시지 아니하고 고기를 먹지 않았으나 지금은 그렇지 않습니다. 옛날에는 임금이 상중 3년 동안 말을 하지 않았으나 지금은 3년 안에 온갖 사무를 재결합니다. 옛날에는 수레를 타고 싸웠으나 지금은 말을 타고 싸웁니다. 이것은 모두 때에 따라 권도(權道)에 따른 것입니다."
"아뢰는 뜻은 알겠으나 따를 수는 없다."

창덕궁에서 왕비를 간택했다.
▲ 돈화문 창덕궁에서 왕비를 간택했다.
ⓒ 이정근

관련사진보기


공방이 계속되었다. 임금의 혼담이 현안으로 떠오른 지 딱 두 달되는 정월 초여드레. 여덟 번째 간택이 창덕궁에서 거행되었다. 아직 새해 덕담을 나누는 정초지만 수양은 간택을 강행했다.

효령대군 이보, 임영대군 이구, 영응대군 이염, 화의군 이영, 계양군 이증, 한남군 이어 영의정 수양대군, 좌의정 정인지, 우의정 한확, 이조판서 정창손, 병조판서 이계전, 예조판서 김조, 좌승지 신숙주, 우승지 박팽년, 좌부승지 박원형, 우부승지 권자신, 동부승지 권남이 참석했다.

세종의 후궁 혜빈과 문종의 후궁 숙빈도 참석했다. 드디어 풍저창부사 송현수의 딸을 비(妃)로 간택했다. 조선 최초의 왕비가 간택되는 순간이다. 이전의 왕비는 장군의 아내로 결혼했거나 왕자의 부인, 또는 세자빈으로 간택되어 지아비의 신분변동과 함께 자연스럽게 왕비에 올랐으나 명실공히 왕비로 간택 된 것이다. 더불어 예원군사 김사우와 전 사정 권완의 딸을 잉(媵)으로 결정했다. 후궁도 함께 뽑은 것이다. 


태그:#간택, #왕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사실(事實)과 사실(史實)의 행간에서 진실(眞實)을 캐는 광원. 그동안 <이방원전> <수양대군> <신들의 정원 조선왕릉> <소현세자> <조선 건국지> <뜻밖의 조선역사> <간신의 민낯> <진령군> <하루> 대하역사소설<압록강>을 펴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