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국보 제9호인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 정림사지 오층석탑 국보 제9호인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부여 정림사지. 벌써 네 번째인가 방문을 한다. 갈 때마다 주변 환경이 조금씩 바뀌는 것도 그렇거니와, 그동안 한 10여 년 가보지 못했기에 이번 답사 길에서는 일부러 여정을 그쪽으로 잡았다. 지금은 정림사지 박물관이 한편에 자리하고 있기도 하다. 정림사지 안에 문화재는 국보인 정림사지 삼층석탑과, 보물인 석불좌상 2기가 자리하고 있을 뿐이다.

정림사지는 백제가 부여로 왕도를 천도한 후(538~660) 백제의 중심사찰이었다. 정림사지의 발굴에서 찾아낸 기와의 명문 중에는 '太平八年戊辰定林寺大藏唐草'라는 글귀가 발견됐다. 고려 현종 19년인 1028년에는 이 절을 정림사라 불렀음을 알 수 있다. 발굴조사에서 나타난 정림사의 건물배치는 일탑식 가람배치로, 이러한 일탑식 가람배치는 일본에까지 영향을 끼쳤다.

지붕돌의 네 귀가 치켜올려져 날아갈 듯하다
▲ 지붕돌 지붕돌의 네 귀가 치켜올려져 날아갈 듯하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몸돌은 여러장의 돌을 이용해 조성하였다
▲ 몸돌 몸돌은 여러장의 돌을 이용해 조성하였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세련된 솜씨를 보이는 정림사지 오층석탑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254번지 정림사지 안 중앙에 자리를 잡고 있는 오층석탑. 국보 제9호인 이 오층석탑은 백제가 부여로 도읍을 옮긴 후, 6세기 말에 세워진 석탑이다. 이 탑의 특징은 탑의 모서리에 세운 배흘림기둥이나, 넓은 지붕돌 등을 따로 짠 것들이다. 이런 형태의 석탑은 목조건축의 구조를 모방한 것이다.

이 탑에는 당나라 장수인 소정방이 백제를 멸망시킨 후, 그 몸돌에 자신의 공적을 적어 놓았다고 한다. 아마도 전국에 이렇게 많은 탑들이 전란을 통해 얼마나 많은 훼손을 가져온 것일까? 나라를 지키지 못한 백성들이 갖는 슬픔이기도 하다. 이 정림사지 오층석탑 이후 충청남도 지역에는, 흡사한 형태의 탑이 많이 조성됐다. 그만큼 이 탑의 예술성이 뛰어나다는 것을 말하고 있는 듯하다. 

양편에 받침기둥인 우주를 표현하였다
▲ 석탑 양편에 받침기둥인 우주를 표현하였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기단부는 낮고 여러장의 돌을 이용했다
▲ 기단부 기단부는 낮고 여러장의 돌을 이용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탑을 돌아보다가 탄성을 지르다

장중하고 세련된 모습을 보이고 있는 정림사지 오층석탑. 마당에 가득 쌓인 눈이 땅을 질퍽이게 만들어 신에 가득 흙이 묻어 떨어지지를 않는다. 무겁다는 것도 잊은 채 탑 주위를 몇 번이고 돌아본다. 익산 미륵사지 석탑과 함께 백제탑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는 정림사지 오층석탑. 보면 볼수록 그 아름다움에 빠져든다.

좁고 낮게 만든 1단의 기단위에 오층의 탑신을 세운 정림사지 석탑. 소정방의 '백제를 정벌한 기념탑'이라는 글귀 때문에, 한 때는 '평제탑'이라고 부르기도 했단다. 우리 문화재에 대한 무지를 일깨우는 말이기도 하다. 이 탑의 기단은 각 면의 가운데와 모서리에 기둥 돌을 끼워 놓는 방법을 택했다.

탑의 상단부를 보면 선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가 있다
▲ 상단 탑의 상단부를 보면 선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가 있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지붕돌을 받치는 돌들은 경사지게 조성을 하여 딱딱함을 없앴다
▲ 받침 지붕돌을 받치는 돌들은 경사지게 조성을 하여 딱딱함을 없앴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석탑은 여러장의 돌을 이용해 조성을 하였으며, 그런 것이 이 백제탑의 특징이기도 하다
▲ 석탑 석탑은 여러장의 돌을 이용해 조성을 하였으며, 그런 것이 이 백제탑의 특징이기도 하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탑신부의 각층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을 세워놓았는데, 위와 아래는 좁고 가운데는 불룩한 것이 목조건물에서 보이는 배흘림기둥과 같은 형태이다. 몸돌의 덮개석인 지붕돌은 네 면의 귀가 날아오르듯 솟아올라, 그 귀퉁이 하나만으로도 아름다움의 절정이다. 이 정림사지 오층석탑은 익산 미륵사지 석탑과 함께, 현재 남아있는 단 두기의 백제시대의 석탑으로 알려져 귀중한 자료로 평가를 받는다.

절제된 조형미, 그리고 배흘림기둥을 모방한 석조 조형의 편안함. 지붕돌 밑을 받치고 있는 돌들의 한쪽 면을 비스듬히 경사지게 조성해, 석질의 딱딱함을 없앤 조형미. 이런 것들을 종합해보면, 정림사지 오층석탑이 얼마나 뛰어난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비록 돌로 쌓은 석탑이지만, 석탑에서 느끼는 차가움이 없다. 그리고 정림사지 오층석탑에는, 딴 시대의 석탑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절제된 아름다움이 있다.


태그:#정림사지, #오층석탑, #백제, #국보, #부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