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주원규는 <망루>에서 용산참사를 소재로 현실과 신앙의 문제를 짚어본다.
 주원규는 <망루>에서 용산참사를 소재로 현실과 신앙의 문제를 짚어본다.
ⓒ 문학의문학

관련사진보기

<망루>. 제목부터 용산참사를 떠올리게 한다. 지난 2009년 <열외인종 잔혹사>로 14회 한겨레문학상을 수상한 주원규(35)의 새 장편소설이다.

주원규는 총회신학 연구원으로서 신학을 공부하고 현재 "권력과 자본으로부터 자유로운 종교 공동체를 지향"하는 대안 교회를 운영하고 있는 목사다.

<망루>는 용산참사의 사실을 뼈대로 허구의 살을 붙이고 신학적 고민의 옷을 입혔다. 용산참사는 재개발 문제의 상징적 사건이다. 소재가 무거운 만큼이나 이야기를 끌어가는 강력한 뚝심이 필요하다.

주원규는 고대의 열심당원 '벤 야살'과 현대의 전도사 '정민우'를 비교하며 이 땅에서의 '예수'의 실존을 따지고 있다. 신학적 고민을 현실 문제에 녹여낸 것이다.

이야기는 '세명교회'라는 가상의 거대 종교집단에서 시작한다. 세명교회는 경제권력, 정치권력과 결탁해 재래시장을 철거하고 대형 레저타운을 건설하려 한다. 이에 앞장선 인물은 미국에서 펀드 놀음을 하다 쫄딱 망하고, 한국으로 돌아와서는 신학교 학위를 급조해 담임목사 자리에 오른 사이비 목사 '조정인'이다.

주인공 정민우는 바로 이 조정인의 설교문을 몰래 대필해 주는 세명교회의 전도사다. 그는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만 오직 아들이 목사가 되기를 바라며 한평생 헌신한 어머니 때문에 묵묵히 대필 작업을 수행한다. 그런데 목사 안수일이 얼마 남지 않은 어느 날, 신학대학 동기이자 절친한 친구였던 김윤서가 철거민들을 이끌고 투쟁을 벌이면서 정민우의 현실적, 신학적 갈등이 극심해진다.

재개발을 앞둔 재래시장의 거리 풍경이나, 철거민들의 남루한 생활 모습, 용역 깡패들의 우악스런 폭력, 이를 방관하는 공권력의 무관심까지 사실적으로 묘사하려는 노력이 상당하다.

그러나 소설의 주요 내용이 거의 정민우의 내적 갈등임에도 불구하고 그 내면 속으로 좀체 침잠하지 못하고 설명만 성실하다. 그래서 주원규의 문장은 독자가 정민우와 거리를 두고 소설 상황을 지켜보게 만든다. 그리하여 <망루>는 철저하게 철거민의 입장을 지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애써 독자에게 분노나 비탄을 요구하지 않는다.

용산참사 발생 6개월째를 맞는 2009년 7월 20일 저녁 서울 용산구 한강로 남일당빌딩 참사 현장 앞에서 열린 '용산참사 해결 촉구를 위한 추모미사'에서 희생자 영장 앞에 고인의 넋을 위로하는 수많은 촛불들이 놓여져 있다.
 용산참사 발생 6개월째를 맞는 2009년 7월 20일 저녁 서울 용산구 한강로 남일당빌딩 참사 현장 앞에서 열린 '용산참사 해결 촉구를 위한 추모미사'에서 희생자 영장 앞에 고인의 넋을 위로하는 수많은 촛불들이 놓여져 있다.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독자가 화내거나 슬퍼하거나 판단할 대상은 따로 있다. 바로 '예수'다. 주원규는 현직 목사임에도 예수를 인간의 재판정 위에 세웠다. 이것이 신앙과 현실이 맞닿은 지점이며 <망루>의 대담하고 위험한 주제의식이다. 세명교회는 무수한 신자들이 따르지만 사실 예수를 팔아 자본을 증식하는 기업체에 가깝다.

정민우는 이에 저항하려 하지만 조정인은 그를 비웃으며 "이 머저리들은 모두 신의 노예들이기 때문"에 세명교회는 절대 무너지지 않으리라 선언한다. 세명교회에서 신자들은 '아멘' 소리를 내며 자신들의 의식을 지불하고 마음의 평화를 산다. 세상의 옳고 그름을 판단할 부담을 신에게 떠넘기는 비겁한 평화다. 세명교회의 예수는 매우 강력하지만 이미 물화(物化)된 신이며 진정한 의미에서의 악(惡)일 것이다.

그렇다면 철거민들과 함께하는 "재림 예수"야말로 진짜 신일까? 김윤서는 보일러 수리공 한경태를 세상에 재림한 예수라고 확신한다. 일명 '한씨'라고 불리는 사나이 한경태는 병자들의 상처를 만지는 것만으로 치료하는 기적을 선보인다. 김윤서는 재림 예수의 권능으로 불의를 심판해 주길 바라지만 한씨는 폭력 투쟁에 반대한다. 한씨는 모든 인간을 똑같이 사랑한다.

재림 예수의 사랑은 아군과 적군을 구별하지 않는다. 망루가 불타고 특공대가 철거민들을 마구잡이로 진압할 때조차 한씨는 다친 특공대원의 다리를 치료해 주었다. 인간 모두에게 똑같은 재림 예수의 사랑이란 실상 무관심과 다르지 않았다. 무능하고 무력한 재림 예수에게 주원규는 벤 야살의 입을 빌려 "비겁한 신"이라는 판결을 내린다.

인간의 현실과 신의 구원이 유리된 대한민국에서 주원규의 '재림 예수 찾기'는 유의미한 작업이다. 예수는 분명 교회에만 있지 않을 것이다. 철거민들이 오르는 망루에도 예수는 실존해야만 예수일 것이다. 유신론자이든 무신론자이든 그런 것은 상관없다. 용산을 생각하며 정민우의 방황을 따라 고민해볼 만하다. 박해받는 이의 편이라면 아마도 정민우와 같은 방향으로 길을 떠날 것이다.


망루

주원규 지음, 문학의문학(2010)


태그:#망루, #주원규, #용산참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