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젊은이들 스펙 쌓을 생각 말고, 데모해야 한다."

 

김수행(68) 성공회대 석좌교수의 말이다. 그는 "정부가 부자들 때문에 나타난 공황(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뜻함)을 맞아, 고용증대 등의 의무를 망각한 채 가난한 민중들에게 희생을 요구하고 있다"며 "젊은 사람들이 정신을 차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10일 저녁 서울 상암동 <오마이뉴스> 대회의실에서 열린 김수행 교수의 '10만인 클럽' 특강은 열띤 분위기 속에서 진행됐다. 김 교수는 굵은 땀방울을 흘리며 공황에 대한 정부의 대응을 강하게 비판했고, 참석자 100여명도 노(老)교수의 열정적인 강의에 귀를 기울였다.

 

1989년 우리나라 최초로 칼 마르크스의 <자본론>을 완역하는 등 마르크스 경제학의 권위자인 김 교수는 최근 <청소년을 위한 자본론>, <청소년을 위한 국부론>을 펴내며 왕성한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구제금융으로 인한 빚을 서민 주머니에서? 말도 안 된다"

 

이날 김수행 교수가 가장 크게 비판한 것은 '구제금융→ 국가부채 증가→ 긴축 재정' 등 공황을 맞아 정부가 행한 일련의 대응이다. 그는 이를 두고 "정부가 부자들을 지원해 줘 적자가 났는데, 이 돈을 민중들의 주머니에서 가져가겠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각국 정부는 구제금융으로 인한 부채를 줄이기 위해 공무원 일자리와 임금, 연금, 실업수당을 줄이고 담배세를 인상하는 등 세금을 더 많이 걷고 있다"며 "이런 상황 때문에 그리스에서 데모를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시선을 우리나라로 돌렸다. 그는 "이명박 대통령과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런 본질을 알지 못하고 '우리나라는 그리스 재정적자와 관련 없다'고 하는데, 하반기가 되면 재정적자가 문제가 나타날 것"이라며 "그때 사람들이 들고 일어날 것"이라고 전했다.

 

김 교수는 "빨리 부자들한테 세금을 많이 거둬 준비를 해야 하지만, (이명박 정부는) 세금을 거둘 생각을 안 한다"며 "1997년 'IMF 사태'처럼 재벌계열 종합금융회사 때문에 난 위기로 나라가 부도나고 민중들이 죽을 지경이 되는 사태가 재연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22조 원의 예산이 드는 4대강 사업을 "쓸데없이 땅만 파는 것"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김 교수는 "4대강 사업에 많은 돈을 투입하는 지방 공기업을 중심으로 부채가 크게 늘어나고 있지만, 국가 부채 통계에는 안 잡히고 있다"며 "이명박 대통령은 경제가 잘되고 있다고 하는데, 경제를 잘 몰라서 하는 소리"라고 말했다.

 

"실업을 막는 것은 국가의 의무, 그러기 위해 좋은 대통령 뽑아야"

 

그렇다면, 김 교수가 생각하는 대안은 무엇일까? 그는 신자유주의 같은 시장근본주의와는 다른 새로운 사상과 정책이 나와야 한다고 밝혔다. 바로 복지정책과 완전고용 정책이다.

 

김 교수는 "자유방임주의 시대의 1929~1938년 대공황 이후 케인스 경제학을 바탕으로한 복지정책과 완전고용을 통해 세계는 호황을 구가했다"며 "최근 신자유주의에 나타난 공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당시와 마찬가지로 새로운 세상이 나타나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실업은 경기의 호황과 불황을 나타나는 가장 중요한 지표로서, 불황을 끝내려면 실업을 줄여야 한다, 실업을 막는 것은 국가의 의무"라며 "정부는 기술 발달로 노동자를 필요로 하지 않는 민간 기업에 고용을 맡기지 말고, 학교나 병원을 짓는 등 복지정책을 늘려 고용을 증대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마지막으로 "6·2 지방선거 결과가 좋다, 다음 선거 때는 서민을 위하는 좋은 대통령을 뽑아야 한다"고 말했다.

 

"대처 전 영국 총리와 레이건 전 미국 대통령은 부자를 자신의 정치적 기반으로 놓고 부자들을 잘 봐주면 많은 표를 얻는다고 생각했다. 잘못된 생각이다. 이 사회에는 부자보다 서민이 훨씬 더 많다. 서민을 위하는 완전고용과 복지정책이 이뤄져야 경제가 부흥이 되고 회복된다."


태그:#김수행, #마르크스 경제학, #10만인클럽 특강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3,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법조팀 기자입니다. 제가 쓰는 한 문장 한 문장이 우리 사회를 행복하게 만드는 데에 필요한 소중한 밑거름이 되기를 바랍니다. 댓글이나 페이스북 등으로 소통하고자 합니다. 언제든지 연락주세요.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