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사적 제231호 홍주성 안에 있는 옛 동헌인 안회당. 안회당은 윗 사람을 공경하고 아랫사람을 사랑하라는 뜻이 배어있다고 한다.
▲ 안회당 사적 제231호 홍주성 안에 있는 옛 동헌인 안회당. 안회당은 윗 사람을 공경하고 아랫사람을 사랑하라는 뜻이 배어있다고 한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안회당은 고을의 수령이 업무를 보던 동한인데도 유일하게 동헌이라는 이름을 붙이지 않고 당이라는 명칭으로 불리고 있는 곳이다. 사적 제231호는 홍주성과 홍주아문, 그리고 안회당 등이 일괄 지정이 되어 있다. 그 중 안회당은 홍무목사가 집무를 보던 동헌으로 '안회(安懷)'란 '노인을 평안하게 모시고, 벗을 믿음으로 하여 아랫사람을 사랑으로 대해야 한다'는 뜻이 담겨 있다고 한다.  

일반 동헌과는 전혀 다른 안회당

안회당은 동헌이라고 하지만, 일반적으로 우리가 보아왔던 동헌과는 그 형태가 전혀 다르다. 동헌과 달리 위엄이 있어 보이는 높은 지붕에 넓은 대청이 보이지 않는다. 그저 어느 부유한 집의 사랑채 정도로 꾸며져 있다. 안회당이 처음부터 동헌은 아니었다. 안회당 뒤편서남쪽에 '근민당'이라는 동헌이 있었다. 근민당은 천주교 박해를 한 동헌으로 유명하다.

근민당이 어떻게 해서 유실되고 대신 안회당이 동헌이 되었는가는 정확지가 않다. 다만 안회당이 1977년 해체 복원시에 발견된 상량문에 의해 조선조 숙종 4년인 1678년에 처음으로 지어졌다고 하니, 그 이전에는 근민당이 동헌이었을 것이다. 홍주성은 처음 축조한 년대는 정확지가 않다. 그러나 고려시대 백월산 중턱에 위치했던 해풍현이 현재의 위치로 옮겨왔다는 기록으로 보아 이 때 성을 축조한 것으로 보인다.  

동헌에 걸려있는 안회당 편액. 처음에는 대원군이 친필로 써 하사했다고 한다.
▲ 편액 동헌에 걸려있는 안회당 편액. 처음에는 대원군이 친필로 써 하사했다고 한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ㄱ 자형으로 된 안회당은 한편에 장초석을 주추로 쓴 누마루 방이 있어 누각의 형태로 꾸몄다.
▲ 누마루 ㄱ 자형으로 된 안회당은 한편에 장초석을 주추로 쓴 누마루 방이 있어 누각의 형태로 꾸몄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안회당은 모두 22칸으로 조성된 목조 팔작집이다. 숙종 4년에 처음으로 지어진 후에, 고종 7년인 1780년 목사 한응필이 개축하였다고 한다. 처음 안회당을 지었을 때, 안회당이라 쓴 편액을 대원군이 하사했다고 하나 전해지지 않는다.

뛰어난 목조건축의 미가 돋보여

안회당을 돌아보면 이런 아름다운 집에서 집무를 하는 목사는 절로 사람들을 위하는 위민정치를 할 것만 같은 느낌이 든다. 그만큼 이름답게 꾸며진 동헌이다. ㄱ자 형으로 된 안회당은 정면 7.5칸에 측면 2.5칸 정도로 되어있으며, 건물을 바라보고 좌측 끝에는 꺾이어 나온 누마루 방이 달려있다. 누마루 방은 모두 두 칸의 마루방으로 장초석 위에 기둥을 세워 정자처럼 꾸몄다.

누마루 방 뒤편에는 개방마루를 놓아 뒤편에 있는 여하정 등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 측면 누마루 방 뒤편에는 개방마루를 놓아 뒤편에 있는 여하정 등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안회당의 뒤편에는 연도를 놓고 높이 솟은 굴뚝을 올려 위엄을 보인다.
▲ 굴뚝 안회당의 뒤편에는 연도를 놓고 높이 솟은 굴뚝을 올려 위엄을 보인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측면 반 칸의 앞은 누마루를 깔았으며, 뒤편으로는 높다랗게 연도를 뺀 굴뚝을 올렸다. 누마루 방 뒤로는 개방마루를 놓아 뒤편 여하정을 바라볼 수 있도록 하였다. 아무리 둘러보아도 동헌이라는 느낌이 들지를 않는다. 거기다가 날렵하게 위로 솟은 처마는 한옥미의 극치를 보여주고 있다.

날렵하게 위로 솟은 처마 등. 안회당은 목조건축물의 아름다움을 갖추고 있는 건물이다.
▲ 처마 날렵하게 위로 솟은 처마 등. 안회당은 목조건축물의 아름다움을 갖추고 있는 건물이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네모나게 주초석을 다듬고 그 위를 원으로 깎아 기둥을 세웠다. 하나하나가 모두 아름다움을 추구한 건축물이다.
▲ 주초 네모나게 주초석을 다듬고 그 위를 원으로 깎아 기둥을 세웠다. 하나하나가 모두 아름다움을 추구한 건축물이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사적 안에 주차를 하고 있는 사람들

홍주성과 안회당 등을 돌아보다가 이해가 가질 않는 부분이 있다. 차들이 여기저기 주차를 하고 있는데, 처음에는 그저 무심코 사진을 찍고 있었다. 그런데 가만히 생각을 해보니 이곳은 사적 안이 아닌가. 더구나 안회당과 건물 앞에 있는 홍주아문 등은 모두 사적이다. 일반적으로 문화재를 보존하기 위해서는 문화재 바로 곁에 주차를 할 수가 없다. 그런데 이곳은 많은 차들이 문화재 안에 주차를 하고 있는 모습이 보인다. 아무리 주차장이 부족하다고 해도 어떻게 이럴 수가 있는 것인지 이해가 가질 않는다.

홍주성은 1978년 10월 7일 강도 5의 지진이 발생하여 성곽의 일부가 붕괴된 것을 계기로 성곽주변 가옥들을 매입하여 주변 정리를 하고, 홍주성곽의 옛 모습을 찾기 위해 지속적인 사업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그 무엇보다도 먼저 홍주아문과 안회당 주변에 있는 건물부터 먼저 철거해야만 하지 않을까?

오랜 세월을 지나면서 썪은 기둥을 이어붙이기를 하였다. 역사를 짐작케 한다.
▲ 기둥 오랜 세월을 지나면서 썪은 기둥을 이어붙이기를 하였다. 역사를 짐작케 한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사적인 안회당 옆에 주차를 해 놓은 사람들. 주차장을 방불케하는 이런 모습을 보면서 우리문화재 보존의 현재가 암담하기만 하다.
▲ 주차장? 사적인 안회당 옆에 주차를 해 놓은 사람들. 주차장을 방불케하는 이런 모습을 보면서 우리문화재 보존의 현재가 암담하기만 하다.
ⓒ 하주성

관련사진보기


그것이 우선이란 생각이다. 그것이 많은 예산이 들어 불가능하다면, 그전에 주차문제라도 해결해야 할 것이다. 사적지 안에 버젓이 들어가 주차를 하고 있는 볼썽사나운 모습은, 아무리 생각해도 납득이 가질 않는 부분이다.


태그:#안회당, #사적, #동헌, #홍성, #홍주성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