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13일 오전 이명박 대통령이 이상우 국가안보총괄점검회의 의장(왼쪽)과 이야기를 나누며 걷고 있다.
 13일 오전 이명박 대통령이 이상우 국가안보총괄점검회의 의장(왼쪽)과 이야기를 나누며 걷고 있다.
ⓒ 청와대

관련사진보기

20일 군 당국의 천안함 사건 발표가 있은 후 이명박 대통령의 발걸음이 빨라지고 있다.

이 대통령 자신이 사건 발표 이전부터 북한에 대한 단호한 대처를 시사하는 발언을 여러 차례 한 만큼 정부의 대북 제재가 어느 수위까지 이뤄질 지가 관심사다. 

청와대는 21일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소집에 이어 24일 대통령의 대국민담화를 예고했다. NSC에서 대북 응징책을 충분히 논의한 뒤 대통령이 직접 발표하는 모양새다. 내달 2일 지방선거를 의식한 행보라는 비판도 있지만, 국방부가 북한의 소행으로 결론을 내린 만큼 안보와 직결되는 국가적 중대사태를 묵과할 수 없다는 게 청와대의 기류다.

이 대통령이 20일 오전 공식보고를 받으면서 "무엇보다 국민적 단합이 필요한 상황이다. 개별적 이해관계와 정치적 견해 차이를 떠나서 모두 마음을 모아야 할 때"라고 한 것도 정부가 이번 사건을 '선거용 이벤트' 이상의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는 뜻이다. 선거가 끝난 후에도 천안함 사건의 파장이 남북한을 흔들 정도로 사태가 심각하게 전개될 수 있다.

3월 26일 천안함 침몰 직후만 해도 신중론에 섰던 대통령은 4월로 넘어오면서 북한배후론으로 생각이 바뀐 것이 분명하다.

사건 초기 이 대통령의 속내는 4월 1일 한나라당 의원들과 한 오찬 간담회 발언에서 잘 드러나는데, 대통령은 "(천안함 침몰 사고 직후 북한이) 사고 내용을 전혀 모르고 있는 것 같았다", "만약 우리가 북한 쪽이라고 (얘기)한다면 증거를 내놓아야 하는데 자칫 국제적인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나 대통령은 지난달 7일부터 강공모드를 예고하는 발언들을 내놓았다. 이날 오전 미국 <워싱턴포스트> 논설주간과 한 인터뷰에서 "어떠한 상황에서도 우리는 단호하게 대처할 생각을 갖고 있다"고 말한 데 이어 같은 날 대한노인회 오찬 간담회에서는 "우리가 적당히 조사해서 발표하면, 죄 지은 사람들이 인정하지 않을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청와대 관계자들은 "북한을 지목한 발언이 아니다"고 해명에 진땀을 흘렸지만, 대통령의 '단호한 대처' 발언은 기회가 있을 때마다 이어졌다.

대통령은 4일 전군 주요지휘관회의에서 "현재까지 분명한 사실은 천안함이 단순한 사고로 침몰하지 않았다는 것"이라고 잘라 말했는데, 이후 국방부는 "어뢰 제조용 화약성분 RDX를 검출했다"는 발표를 흘리기 시작했다.

일부에서는 대통령이 "북한군이 천안함을 침몰시켰다"는 심증을 굳힌 상황에서 대통령의 기대에 부응하는 자료가 나온 정황에 의아해하는 반응도 있다.

청와대는 "상황에 맞지 않는 표현"이라고 일축했지만, 20일자 <동아일보>에 어뢰의 화약성분 검출에 이어 한글 숫자 조합 표시가 있는 어뢰 프로펠러와 어뢰 축(샤프트)이 발견되자 대통령이 "운이 따르는구나"라고 안도했다는 기사가 실리기도 했다. 대통령이 북한책임론을 밝혀내는 문제에 얼마나 노심초사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박선규 대변인은 "15일 어뢰추진체가 발견됐을 때,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이 대통령에게 이를 바로 보고했다"고 전했다.

정부가 "북한이 천안함을 격침시켰다"고 대내외에 공포한 마당에 대통령이 어떠한 방법으로 북한을 응징하려고 하는지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박 대변인은 "(대북 대응 관련) 대부분의 내용은 대통령 담화에 담길 것"이라며 "이 대통령은 국정최고책임자 및 군통수권자로서 결연한 각오로 임하고 있고, 응분의 책임을 묻기 위한 단호한 조치를 곧 결심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변인은 "(국제사회의 협력 없이도)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당연히 한다. 그런 것까지 허락받아야 하냐"고 말했지만,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청와대 내부에서는 "정부가 쓸 수 있는 최대 카드는 개성공단 철수"라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태그:#이명박, #천안함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