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한 심리학자의 통계에 따르면, 보통 사람의 생활에는 '말을 듣는 일'이 45퍼센트, '말을 하는 일'이 30퍼센트, '읽는 일'이 16퍼센트, '쓰는 일'이 18퍼센트라고 합니다. 통계 수치가 말해 주듯이 가급적 말을 듣는 쪽에 서서, 먼저 생각하고, 그런 다음에 말을 신중히 해야 합니다. 말과 생각과 일은 서로 연계되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생각이 없는 말이 있을 수 없고, 말없이 어떤 일이 이루어질 수 없습니다. 더구나 일은 시시각각으로 생각을 불러일으키고, 생각은 나름대로의 갖가지 말을 만들어내기 마련입니다.

그런데 아이들이 사용하는 말을 듣다 보면 정말 안타까울 때가 한두 번이 아닙니다. 연방 상스런 말투가 불거집니다. 스펜서는 어린이야말로 부모의 행위를 비치는 거울이라고 했습니다. 분명 어린이는 어른의 씨앗이자 거울입니다. 어린이 눈에 비친 어른들의 모습 하나하나가 아이의 평생을 두고 또렷이 각인됩니다. 바쁘다고, 힘들다고, 귀찮다고 무심코 내뱉는 말 한 마디가 아이에게 커다란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물오리가 날 때부터 헤엄을 치듯이 어린이들은 태어나면서부터 좋은 말을 할 수 있는 천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근데도 아이들에게 좋은 품성을 가지게 한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성급하게 가르치려 들면 되레 아이를 망칩니다. 어린이들이 하는 일을 일일이 간섭하는 것은 물오리가 헤엄치지 못하게 하는 것과 다름없습니다. 단지 결과만을 바라는 조급함으로 내몰아세우는 것은 교육이 아닙니다.

아이의 눈에 비친 어른들의 모습은 평생을 두고 또렷이 각인돼

그것은 엄청난 혹삽니다. 아이의 교육을 고집하는 부모의 말씨가 고울 까닭이 없습니다.  아이의 눈높이에 맞추지 않은 교육은 어린이가 천성으로 지닌 모든 정서를 도외시하게 됩니다. 어린이는 어른들로부터 가장 아름답게 보호받을 수 있는 권리를 안고 태어났습니다. 또한 어린이는 생명을 비롯한 모든 것에서 가장 자유로울 수 있는 권리를 이미 부여받았음을 인정해야합니다.

말은 곧 자신의 속마음을 꺼내서 다른 사람에게 보이는 것입니다. 말은 일단 입을 떠나면 그때부터 그 말을 다스릴 수가 없습니다. 어떤 말은 평생을 두고 따라다니면서 괴롭히기도 합니다. 그러니 말빚을 만들어서는 안 됩니다.

명심보감에 군평(君平)이 말하기를, "입과 혀라는 것은 화(禍)와 근심의 근본이요, 몸을 망하게 하는 도끼와 같은 것이니 말을 삼가야 할지니라"고 했습니다. 이처럼 말의 중요성은 새삼 강조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어떤 말을 하고자 할 때는 먼저 이 말을 해도 괜찮을 것인가를 충분히 생각한 다음 신중히 해야 합니다. 특히 어린아이들에게는 한 치라도 상처를 안겨줄 수 있는 말을 해서는 안 됩니다.

평소 수업을 하면서 말빚을 많이 남겼습니다. 그저 무턱대고 불쑥 내뱉는 말 한 마디로 아이들은 무척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집에서도 마찬가지겠지요. 오늘 아이들에게 지금까지 겪었던 일 중에서 즐거웠던 일과 나빴던 일을 각각 세 가지씩 밝혀 보았습니다. 그랬더니 '함부로 하는 말로 속상한 일이 많았다'고 합니다. 그 중에서도 다른 친구와 비교하거나 차별하며 핀잔을 하고, 자신을 무시하는 말을 들었을 때 가장 속이 상했나 봅니다.

아이들은 남과 비교되는 것을 가장 싫어해

이유는 다른 게 아니었습니다. 아이들은 그냥 컴퓨터에 매여 있습니다. 그들의 생활 일부분이기 때문이지요. 그렇지만 엄마아빠는 생각이 다릅니다. 인터넷이나 오락은 공부와 담을 쌓는 존재지요. 보다 못한 엄마아빠가 불쑥 몇 마디 던집니다. 그리고 친구들과 비교해서 꾸중을 합니다. 그래서 그 말은 당장에 가시가 되어 아이한테 상처를 줍니다. 아이를 키우는 부모라면 누구나 겪었을 겁니다.

아이들도 자신이 남과 비교되거나 차별받기는 것을 싫어합니다. 아무리 사소한 일이라도 그것은 아이들을 속상하게 합니다. 지나친 비교는 결국 차별이나 편견으로 치우칩니다. 그런 까닭에 스스로 부당한 대접을 받는다고 생각되면 아이는 반항적으로 말대꾸하거나, 퇴행적인 행동을 보이며 일탈하려듭니다. 부모의 입장에서 보면 사랑하기 때문에 그런다고 하겠지만, 아이를 하나의 인격체라고 인정하면 생각이 달라집니다.

아이는 부모의 소유물이 아닙니다.


태그:#천성, #품성, #아이, #소유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박종국기자는 2000년 <경남작가>로 작품활동을 시작하여 한국작가회의회원, 수필가, 칼럼니스트로, 수필집 <제 빛깔 제 모습으로>과 <하심>을 펴냈으며, 다음블로그 '박종국의 일상이야기'를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김해 진영중앙초등학교 교감으로, 아이들과 함께하고 생활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