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서울시 산하 SH공사가 청계천 상인들의 이주를 목적으로 서울 송파구 문정동에 조성중인 아시아 최대 규모의 복합문화유통단지 '가든파이브'
 서울시 산하 SH공사가 청계천 상인들의 이주를 목적으로 서울 송파구 문정동에 조성중인 아시아 최대 규모의 복합문화유통단지 '가든파이브'
ⓒ 최경준

관련사진보기


청계천 상인들의 이주를 목적으로 건설된 서울 동남권 유통단지('가든파이브')에 재정착한 청계천 상인은 100명당 약 17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박상은(인천 중구·동구·옹진군)·조정식(경기 시흥을) 의원은 13일 서울시 국정감사에서 "9월 15일 현재까지 가든파이브에 재정착하게 된 청계천 상인은 1028명으로 16.8%에 그쳤다"고 말했다.

당초 가든파이브로 이주할 청계천 상인, 즉 특별분양 대상자는 총 6097명이었다. 하지만 최초 분양시 포기한 1340명과 이후 계약 포기자 3729명을 합쳐 총 5069명이 계약을 포기했다. 이에 따라 예상보다 훨씬 저조한 재정착율을 나타낸 것.

박 의원은 "2003년 청계천복원추진본부가 사업설명회를 개최할 당시 주민이 3만9907명이었던 것에 비하면 약 2.6% 정도의 주민만이 가든파이브에 재정착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렇게 재정착율이 예상보다 낮은 이유는 애초 서울시가 약속했던 것보다 높은 특별분양가, 유통단지 개념을 '초대형 쇼핑몰'로 바꾼 것 등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조정식 의원에 따르면, 평균 특별분양가는 1억6500만 원을 상회한다. 당초 특별분양가는 평균 1억 원 미만으로 예상됐다.

조 의원은 "말로만 청계천 상인 이주단지이지 실제 청계천 상인은 이주단지사업에서 철저하게 배제되어 있다"며 "동남권 이주단지 사업의 당초 목적은 사라지고 시가 나서서 부동산 장사를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박 의원도 "가든파이브 건설의 주목적은 청계천 상인의 이주였음에도 불구하고 특별분양계약 포기자들이 늘어나고 지금은 일반분양 호수가 더 많다"며 "서울시는 조성원가에 제공하는 특별분양가를 제시했지만 시장에서 장사하던 사람들에게는 적지 않은 부담이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세 차례 개장 연기... "수백억 원 금융손실 불가피"

강창일 민주당 의원.
 강창일 민주당 의원.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또한 가든파이브의 전체 계약율도 38.3%에 그쳐 개장도 연기된 상태다. 이미 가든파이브 개장은 계약율 저조로 인해 지난 4월, 7월, 9월 등 세 차례나 연기한 바 있다. 현재 내년 2월 개장할 예정이지만 불투명하다. 이에 따라 SH공사의 부채 증가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강창일(제주시갑) 민주당 의원은 "SH공사가 가든파이브 조성 비용으로 1조3000억 원을 차입했다"며 "저조한 분양으로 개장이 지연되면서 부채 증가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강 의원에 따르면, 8월 현재까지 납입된 분양대금은 1283억 원에 그쳤다. '미분양 부실자산'이 약 1조2000억 원에 이르는 셈이다. 이러한 사업비 차입으로 인해 들어가는 연간 금융비용은 724억 원으로 이는 월 60억 원에 해당하는 금액이다.

강 의원은 "SH공사는 서울시가 시민의 주거복지를 위한다는 목적으로 출자한 지방공기업인데 청계천 상인들에게는 절망감을 주고 막대한 금융비용으로 손실을 입게 되었다"며 "현재의 분양율로 볼 때 수백억 원에 달하는 금융비용 손실이 예상된다"고 우려했다.

강 의원은 "지방공기업인 SH공사의 적자는 결국 서울시 재정으로 메우거나 시민들에게 돌아가야 할 개발 혜택이 가든파이브 손실을 막는 데 들어갈 수밖에 없다"며 해결책 마련을 촉구했다.  


태그:#국정감사, #서울시, #가든파이브, #청계천 상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1970년 전남 강진 출생. 조대부고-고려대 국문과. 월간 <사회평론 길>과 <말>거쳐 현재 <오마이뉴스> 기자. 한국인터넷기자상과 한국기자협회 이달의 기자상(2회) 수상. 저서 : <검사와 스폰서><시민을 고소하는 나라><한 조각의 진실><표창원, 보수의 품격><대한민국 진보 어디로 가는가><국세청은 정의로운가><나의 MB 재산 답사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