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0여년간 의병을 찾아 다니며 여러 권의 저술활동을 하고 있는 이태룡 김해건설공고 교사(국어)가 4월 7일 '신문의 날'을 맞아 보내온 글이다. 이 교사는 의병 등 구한말 항일운동 등을 연구해 오고 있다. 그는 그동안 <의병찾아 가는 길>과 <한국근대사와 의병투쟁> 등을 펴냈다. 이 교사가 보내온 글을 싣는다. [편집자말]
독립문과 독립관.
 독립문과 독립관.
ⓒ 자료사진

관련사진보기


4월 7일을 '신문의 날'로 제정한 지 올해로 52돌이다. 이날은 독립신문(獨立新聞) 창간일이란 사실을 누구나 알고 있다.

독립신문은 일반적으로 서재필이 사재를 털어 만든 순수 민간인 신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는 너무나 왜곡된 것이다.

그 뿌리를 찾아보면, 이병도, 신석호 등의 진단학회에서 발간한 <한국사>(1959)에서 갑신왜란(갑신정변)을 일으켰던 김옥균, 박영효, 홍영식, 서광범, 서재필이 갑신오적(고종실록 용어)임에도 불구하고 개혁적인 인물로 호평했고, 서재필을 독립신문을 창간한 자로 조작하는 만행을 저질렀던 것이다.

그 후 이기백의 <한국사신론>(1967)을 비롯한 개설서가 이 견해를 따랐고, 신용하의 <독립협회연구>는 한술 더 떠서 '독립협회' 마저 애국단체인 양 호도했던 것이 그대로 <국사> 교과서까지 전철을 밟았기 때문이었다.

이에 대하여 많은 학자들이 갑론을박을 해 왔는데, 아직까지 뚜렷한 결론이 나지 않고 있는데, 대표적인 학자 두 분의 견해를 살펴보기로 한다.

신용하 서울대 명예교수에 따르면 갑신정변이 민중의 지지가 결여되었기에 실패했던 교훈을 되새긴 유길준은 민중을 계몽하는 사업으로 신문 창간이 절박했다. 갑오경장이 개화파 내각의 주도로 제도 개혁을 하면서 일본측의 한성신보에 대항할 신문을 만들 한국인을 물색했는데, 그가 서재필이었다.

서재필은 일본으로 망명 후 일본 정부가 박해를 가하자 박영효, 서광범 등과 함께 미국으로 망명했으며, 이어 필립 제이슨(Philip Jaisohn)으로 귀화한 그는 의학 공부를 하여 의사가 되었는데, 갑오경장으로 갑신정변 때 대역부도 죄인에 대한 사면령이 내리고 국내 개화파가 그의 귀국을 요청하자, 1895년 12월 하순에 돌아와 자유,민권, 자강의 민족 운동에 투신했다.

일제와 그들 앞잡이를 칭찬하는 <독립신문>

중추원 고문관 서재필(필립 제이슨)을 농상공부 임시고문으로 임명하는 지령.
 중추원 고문관 서재필(필립 제이슨)을 농상공부 임시고문으로 임명하는 지령.
ⓒ 자료사진

관련사진보기


려증동 경상대 명예교수는 유길준이 일본 케이오의숙(慶應義塾)(케이오대학 전신)에 유학, 복택유길(福澤諭吉)의 제자로 있을 때 호산학교(하사관학교)에 들어왔던 서재필과 친분이 두터웠다고 밝히고 있다.

유길준이 부왜내각(附倭內閣)의 내부대신이 되었을 때 필립 제이슨에게 외부참판을 맡기려고 했으나 그는  미국인이기 때문에 수락할 수 없다고 하여 중추원 고문관 자리를 주었으며, 신문 창간을 할 수 있도록 국비를 지원했다.

서재필(1866~1884)은 한국인이요, 필립 제이슨(1885~1951)은 미국인이다. 그는 미국으로 건너가서 미국인으로 귀화하여 미국여자와 결혼했으며, 갑오억변으로 한국에 와서 부왜역적 신문이었던 독립신문을 내다가 결국 본국으로 추방되어 영원히 미국인으로 살았다.

이와 같은 주장은 서재필(필립 제이슨)의 행적에 대하여 서로 다른 시각으로 본 사관의 차이에서 기인된 것이다. 즉 갑신년의 사건을 신용하는 기존의 주장대로 ‘개화파들이 정치 변혁을 추구했던 사건’으로, 갑오년에는 개혁이 이뤄졌다고 보고 독립신문도 그에 따른 것으로 그 의미를 부여했던 것인데 반해, 려증동은 민족사의 맥락에서 두 사건 모두 ‘일제 앞잡이들을 내세운 일제의 침략’으로 보았고, 독립신문은 그 내용을 살펴 일제와 그들 앞잡이를 칭찬하는 신문이었기에 부왜역적지라고 규정했다.

그렇다면 독립신문이 나오게 된 배경은 무엇일까?

1895년 10월 8일 명성황후(당시 민비)가 일본 자객의 손에 무참히 살해되고 난 뒤에는 궁중에서조차 일제를 등에 업은 부왜인들이 날뛰었기 때문에 고종도 언제 살해나 시해를 당할지 모르는 절박한 시점이었다.

1895년 12월, 일본 외무대신과 주한일본공사가 주고받은 전보의 내용이 수록된 <주한일본공사관기록.3>의 내용을 정리, 독립신문이 나오게 된 배경을 살펴보기로 한다.

"신문 발간을 위해 말씀해 오신..."

독립신문.
 독립신문.
ⓒ 자료사진

관련사진보기


1895년 12월 3일, 일본 외무대신 육오종광(陸奧宗光)은 주한일본공사 정상각오랑(井上角五郞)에게 전보를 보낸다.

“신문 발간을 위해 말씀해 오신 그렇게 많은 돈을 지출하는 일은 도저히 불가능하므로 이에 다시 한 번 절약․검소한 방법을 고려해 주기 바람. 또 신문기자는 첫째로 그 신문을 지배할 만한 인물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바, 나는 직전일랑(織田一郞)에게 그 임무를 맡겼으면 한다. 의의가 없는지 알고 싶다.”

1895년 12월 4일, 주한일본공사는 일본 외무대신에게 신문기자로 활동할 인물은 선정해 두었다는 중요한 전보를 보낸다.

"신문사 창립비는 최초의 설계는 조선의 기계류를 차용할 계획이었으나 그 가망이 없기 때문에 모두 다 새로 조달할 필요로 하기에 1200원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지금 물가가 4배나 올랐기 때문에 아무리 절검하여도 1천원은 필요하므로 꼭 1천원만은 지출해주기 바란다.

또 보조비는 전(前) 설계로는 160여 원을 요하겠지만 이것은 조선 정부 기타에 파는 것을 예상하여 130원으로 감액한 것이다. 이런 것까지의 전액은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되지만 앞서 진술한 대로 물가가 매우 비싼 때인지라 만일의 부족을 염려하여 130원만은 꼭 청구해 주기 바란다. 또 신문기자의 건은 이쪽에서 이미 적당한 자를 선택해 놓았다. 이것은 제가 사용하는 자이므로 그 인선은 꼭 저에게 맡겨주시기 바람."

1895년 12월 5일, 일본 외무대신은 주한일본공사에게 한글 신문기자로 적합한 인물이 있는지 묻는 전보가 온다.

"오전의인(奧田義人)을 출장시키기는 어려운 일인지라, 그 대신 내각의 화방직삼랑(花房直三郞)․시전가문(柴田家門) 중 1명을 출장시키는 쪽으로 하고 싶으며, 그 사무는 오로지 내각의 조직과 각 성의 장정을 정하는 일에 사용할 계획이다. 또 오늘의 경우 민간인을 넣는 일은 사실 곤란하다. 지금 조선 정부는 빈곤하기 짝이 없어서 군대의 급료조차 4개월간이나 지불하지 못하는 형편이다. 그러므로 민간에서 사람을 넣을 때는 즉시 급료 지불에 차질이 생길 것이다. 조선문(朝鮮文: 한글-필자 주)의 신문 발행의 일은 어떠한가? 기자로서 그 곳에 적당한 사람이 있으면 속히 답전하기 바란다."

일본 외무대신은 주한일본공사에게 전보

1895년 12월 5일, 주한일본공사는 일본 외무대신에게 '한글 신문' 제작은 자신에게 맡겨 달라는 요청서를 전보로 보낸다.

"안광(安廣) 비서관은 오늘 아침 9시 인천을 출발하였다. 동 관이 도착할 때까지 체재하시기 바란다. 또 한글 신문의 일은 지급(至急)을 요하므로 저에게 일임시켜 주기 바람."

1895년 12월 6일, 주한일본공사는 일본 외무대신에게 한글 신문 창립비로 기밀비를 지불하고 싶다는 전보를 보낸다.

"화방(花房)․시전(柴田) 가운데서 출장을 전의(詮議)하기가 어려우면 전 농상무성 특허국장으로서 지금 제2군을 수행중인 유하장웅(有賀長雄)을 파견하도록 조치하시기 바란다. 특히 동인의 봉급 지출의 길이 없음에 있어서 조선 정부의 재정 형편이 조정될 때까지는 별도 기밀금 65,000원내에서 지불할 것을 승낙하여 주시기 바람. 또 조선 신문의 창립 보조도 지출할 길이 없음에 있어서는 위 별도 기밀금 안에서 지불하고 싶다. 여하튼 지급 답전을 기다리겠음."

1895년 12월 6일, 일본 외무대신은 주한일본공사에게 신문사 창립비를 보낸다는 전보를 보낸다.

"신문 창립비 1200원은 지불하겠지만 그것은 돈으로 보내고, 기계 등은 그 곳에서 정비할 작정인지 답전하기 바람."

1895년 12월 7일, 주한일본공사는 일본 외무대신에게 신문 발행을 위한 기계를 구입하겠다는 전보를 보낸다.

"신문 발행에 있어 기계 등은 새로 조달할 작정이지만 신호(神戶)에는 고물로서 상당한 것이 있을 것이므로 대금을 혹 실감할지도 모른다. 더욱이 이를 위하여 이곳에서 사람을 차출할 작정임."

1895년 12월 7일, 일본 외무대신은 주한일본공사에게 신문사 창립비와 신문 제작을 위해 관리를 파견한다는 전보를 보낸다.

"신문 창립비 1200원을 전신환으로 보냈음. 화방․시전 가운데 한 사람을 광도(廣島)에 체재시킬 용무가 있다. 의회 개회 중 특히 분망할 것이므로 양인이 함께 귀하의 명에 응하기 어렵다. 따라서 종종 협의한 결과 법제국 참사관인 석총영장(石塚英藏)이라면 즉시 귀하의 명에 응할 것이다. 동인은 오랫동안 법제국에 있었다. 영문학에 능하고 일본 법률에도 정통하다. 그가 마땅하다면 전보하시는 대로 본인을 도한(渡韓)시키겠음."

애국지사를 헐뜯고, 일제 앞잡이를 두둔

일본공사는 본국의 훈령에 따라 조선 정부에 지시를 한다. 이에 내부대신 유길준은 미국인으로 귀화하여 의사 생활을 하던 필립 제이슨을 초빙하기에 이르렀고, 필립은 일본을 거쳐 그해 12월 말경 우리나라에 오게 된다. 그는 이미 그해 3월 1일자로 부왜내각으로부터 갑신왜란의 죄에 대하여 사면을 받았기 때문이었고, 신문 창립 비용으로 국고에서 3천원과 정착 자금으로 1400원 등 4400원을 받았고, 월 300원씩 10년간 중추원 고문직을 맡기로 한 것이었다.

그 계약에 따라 아관파천 후에도 신문을 발행하는 일은 계속되었는데, 1896년 3월 14일, 그가 중추원 고문과 당시 신문 당당 부서였던 농상공부 임시고문을 겸하게 됨으로써 또다시 일제 앞잡이로서 맹활약을 하게 되었다.

그는 일제의 사주를 받아 한글로 된 신문을 통하여 조선 정부를 흔들고, 나아가 정부 전복을 꾀했던 것이었다. 일제는 이미 '한성순보'와 '한성신보'를 통하여 반청친일을 도모했지만 실패했기 때문이었다.

독립협회가 정부 대신들을 겁박할 정도로 위세를 부릴 때 필립은 고종황제에게 자신을 "외신"이라 칭했고, 고종 앞에서도 담배를 피우는 등, 완전히 미국인 행세를 하다가 중추원 고문직에서 해임, 본국으로의 추방령을 받고 1898년 5월 27일 인천항을 떠났지만 독립신문은 1899년 12월 4일에야 폐간된다.

독립신문은 창간 당시에는 정부에 협조적이었고 국민에게 정부 시책을 계몽하는 입장을 취하는 척하다가 독립협회가 생기고 난 뒤부터는 본색을 드러내 반정부적인 태도로 바뀌어 갔으며, 애국지사를 헐뜯고, 일제 앞잡이를 두둔하며, 반청친일적인 태도를 취하였다.

기사 내용을 보면, 의병을 '비도'(匪徒), 의병장을 '비도수괴'(匪徒首魁)라 칭하고 의병토벌을 강력히 촉구했으며, 조병식, 신기선, 이건창 등 애국지사나 민용호, 노응규, 허위 등의 의병장을 조롱하고 비방했지만, 이완용과 이토 히로부미를 각각 우리나라와 동양 최고 정치인으로 칭찬했다.

이태룡 교사.
 이태룡 교사.
ⓒ 윤성효

관련사진보기


우리 군대의 증강에 반대하면서 일본군이 우리나라에 주둔하기를 원하고, 일본 화폐의 사용을 주장했다. 일본 국왕 어미의 죽음에 대해서는 32일간 애도를 표시하면서도 명성황후 국장(이장)에는 "죽은 뒤라도 황후의 존칭을 받았으니 사기에 빛나는 일"이라고 빈정거리기까지 했다.

독립협회 기관지로 충실했던 독립신문, 독립협회 초대 회장은 안경수였다. 그는 일제가 명성황후를 참살할 때 이를 도왔고, 고종을 시해하려다가 발각되어 죽임을 당했으나, 경술국치 때 일제로부터 그 유족이 은사금을 받았던 부왜인이었고, 독립협회 초대 이사장은 이완용이었다.

과연 신문의 날을 독립신문 창간일로 삼아야 하는가?


태그:#독립신문
댓글3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모든 시민은 기자다!" 오마이뉴스 편집부의 뉴스 아이디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