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인드라바르만1세가 자신의 부모와 조부모, 아내를 시바신으로 형상화한 프레아코 사원
▲ 프레아코사원 전경 인드라바르만1세가 자신의 부모와 조부모, 아내를 시바신으로 형상화한 프레아코 사원
ⓒ 김대호

관련사진보기


초등학교 수학여행 때 박물관이라는 곳을 처음 보았다. 광주박물관이었는데 유리관 안에 전시된 국보급 청자들을 보고는 시골아이들은 ‘머 이런 게 보물이야?’하며 술렁거렸다. 내가 사는 마을 논과 밭, 들과 산 어디에나 굴러다니는 것들이었기 때문이다.

고향마을 강진군 용운리 18만여 평은 내가 세상에 태어나기 전부터 문화재보호구역이었다. 우리나라 최초로 청자를 구워내기 시작한 곳이었기 때문인지 가마터만도 수십여 곳에 이른다. 곳곳에 도굴된 석관묘들과 가마터는 훌륭한 숨바꼭질 장소였으며 농부들에게 밭에서 나오는 청자파편은 사람과 소의 발을 다치게 하는 귀찮은 존재였다.

크메르제국 야소바르만1세가 수도천도를 합법화하기 위해 옛 수도에 지은 힌두사원
▲ 롤레이사원 크메르제국 야소바르만1세가 수도천도를 합법화하기 위해 옛 수도에 지은 힌두사원
ⓒ 김대호

관련사진보기


마땅한 장난감이 없는 우리에게 청자 그릇은 훌륭한 소꿉장난 도구였다. 어린 나이에 그것들을 사러 다니는 골동품상들이 참 한심하기 짝이 없었다. 그들이 쥐여주고 가는 몇천 원은 한 달에 한두 번 들르는 엿장수들의 주머니로 고스란히 들어갔다.

훗날 도굴된 석관묘들에서 나온 유물들의 상당수가 일본으로 흘러 들어갔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골동품상들이 아이들이 엿 사 먹으라고 몇 푼 쥐여주고, 가난한 마을 사람들에게 헐값에 가져간 것들이 엄청난 가치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무지가 부끄러웠다.

야소바르만1세가 사원건축의 배경 및 참여기술자, 구체적인 기술, 헌정한 조상의 이름 등 구체적인 건축의 내용을 기록한 내용
▲ 롤레이의 기록 야소바르만1세가 사원건축의 배경 및 참여기술자, 구체적인 기술, 헌정한 조상의 이름 등 구체적인 건축의 내용을 기록한 내용
ⓒ 김대호

관련사진보기


앙코르도 마찬가지다. 우리는 프랑스를 똘레랑스의 나라, 인권과 문화예술의 천국으로 일컫는다. 그러나 정치·경제적 수탈의 상징인 미국과 함께 문화․역사적 강탈의 역사에 프랑스는 빠지지 않는다. 프랑스의 문화부장관부터 문화재 절도범 출신이니 말이다.

앙코르유적에서 가장 아름다운 반디아이쓰리의 부조는 1923년 프랑스인 앙드레 말로가 이끄는 유적탐사대에 의해 도굴당한다. 반띠아이쓰리 조각품들을 자세히 살펴보면 복원된 자욱이 선명한 것도 이때의 흔적이다. 아이러니하게도 앙드레 말로는 8년 후인 1931년 프랑스 문화부장관이 된다. 수탈이 제국주의의 본성임을 인정하는 꼴이다.

요니위의 링가가가 십자수로 위에 서있는데 이곳에 성수를 부으면 당시 백성들이 농업용수와 식수로 사용했던 인공호수인드라타타카로 스며들었다고 한다.
▲ 요니위의 링가 요니위의 링가가가 십자수로 위에 서있는데 이곳에 성수를 부으면 당시 백성들이 농업용수와 식수로 사용했던 인공호수인드라타타카로 스며들었다고 한다.
ⓒ 김대호

관련사진보기


앙코르유적에서는 곳곳에 머리 잘린 불상과 파내간 부조, 보석을 파내기 위해 파헤쳐진 건물 등을 쉽게 볼 수 있다. 강대국들은 자신들의 수탈 행각을 숨기기 위해 내전 과정에서 크메르루주가 파손했다고 사람들을 속인다. 현지인들은 내전 과정에서도 서로 문화재는 파괴하지 않는다는 암묵적 합의가 있었다고 말한다.

열강의 식민지시절 필리핀은 문화재 70%를 강탈당했다고 하고 캄보디아는 30%가량이 외국에 있다고 한다. 해외에 있는 우리 문화재도 10만 점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프랑스는 아직도 외규장각도서를 반환하지 않고 임대해주겠다는 망발을 일삼는다. 그런데도 국립박물관은 최근 10년간 외국문화재를 구입하는 데 136억원을 쓰고 우리 문화재를 환수하는 데 36억원을 썼다고 하니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지금은 메워진 인공호수 인드라타타카 위에 세워진 롤레이사원으로 배를 대던 선착장(지금은 차로 갈 수 있다)
▲ 롤레이사원의 선착장 지금은 메워진 인공호수 인드라타타카 위에 세워진 롤레이사원으로 배를 대던 선착장(지금은 차로 갈 수 있다)
ⓒ 김대호

관련사진보기


우리가 아는 앙코르와트나 앙코르톰은 크메르제국의 후대에 지어진 건축물이다. 초기건축물은 씨엔립에서 초기수도인 하레하랄레이 방향으로 13Km 지점에 위치한 롤레이, 프레아코, 바꽁사원에서 잘 관찰할 수 있는데 이를 통틀어 롤로우스 유적군이라고 부른다.

롤레이사원은 893년 야소바르만1세가 부왕에게 헌정한 사원으로 반경 800m×380m의 인공호수인 인드라타타카 위에 인공 섬에 있다. 롤레이사원은 하레하라와 알라이라는 두 단어의 합성어인데 9세기 앙코르 최초의 수도인 하레하랄레이가 어원인 것으로 보인다.

초기 크메르건축은 벽돌을 사용하였고 후기에 들어 석재를 사용하였다.
▲ 붉은 벽돌로 지은 롤레이사원 초기 크메르건축은 벽돌을 사용하였고 후기에 들어 석재를 사용하였다.
ⓒ 김대호

관련사진보기


이곳에 새겨진 기록에 의하면 호수의 물은 수도였던 하리하랄라야 백성들의 식수이자 주변 농경지에 농업용수로 공급되었다고 한다. 현재 호수는 메워져 사원 앞의 석재 선착장을 제외하고는 흔적조차 남아 있지 않아 앞까지 차량으로 방문할 수 있다.

사원은 애초 6기로 계획되었는데 동서남북 각 방위에 앙코르 초기탑 양식의 4개 탑이 정사각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문에는 부조를 새긴 린텔을 설치했으며 문 벽면은 신전을 지키는 남신상과 여신상이 새겨져 있다. 4개의 탑 중앙에는 십자형의 관수통과 요니(여성의 성기를 상징)위에 링가(시바신의 남근 상징)가 서 있는데 성수를 부어 인트라타타카로 흘러들게 했다고 한다.

프레아코는 힌두어로 '성스러운 소'라는 말이다. 사원앞을 지키는 하얀 소의 상
▲ 프레아코의 '성스러운 소' 프레아코는 힌두어로 '성스러운 소'라는 말이다. 사원앞을 지키는 하얀 소의 상
ⓒ 김대호

관련사진보기


이 사원의 기단은 라테라이트석으로 쌓았으며 탑은 벽돌로 쌓았는데 후기에 이르러서는 탑의 건축양식은 점차 돌로 바뀌어 가게 된다. 계단 밑으로는 사원을 지키는 2개의 사자상이 있는데 전투적이고 용맹한 모습의 후기 사자상과 달리 의젓하고 다소곳한 양식이 특징이다.

기둥에 새겨진 산스크리트어에 의하면 앞의 남성적인 탑은 야소바르만1세의 아버지와 외할아버지에게, 그리고 뒤쪽의 여성적인 탑은 그의 어머니와 할아버지에게 봉헌 된 것이라고 한다. 또한 문설주에는 고대 크메르어로 신전의 제작배경, 봉헌 된 선조의 이름, 사원 건축에 참여한 기술자 수백 명의 이름, 구체적인 작업내용이 기록돼 있어 당시 역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사료로 평가 받고 있다.

왕이 지은 건물임을 상징하는 사자상. 다소곳한 초기 사자상과 달리 전쟁시기엔 전투적이고 용맹한 형상으로 바뀌게 된다.
▲ 프레아코의 사자상 왕이 지은 건물임을 상징하는 사자상. 다소곳한 초기 사자상과 달리 전쟁시기엔 전투적이고 용맹한 형상으로 바뀌게 된다.
ⓒ 김대호

관련사진보기


야소바르만 1세는 사원 건축 후 북서쪽 프놈바켕산으로 수도를 이전하고 예아싸오테라아 도성을 쌓게 된다. 우리도 조선의 한양천도 과정에서의 기득권의 반발과 정조의 수원 천도 무산의 경험, 가까이는 행정수도 이전 논란이 있었듯이 아마도 수도이전에 따른 세력들의 불만을 잠재우기 위한 방법으로 사원을 건축하지 않았나 하는 추측도 가능하게 한다.

프레아 코(Preah Ko) 사원은 힌두교의 ‘성스러운 소’라는 말에서 근원을 찾을 수 있으며 500×400m로 대규모였다고 한다. 사원은 879년 인드라바르만 1세에 의해 축조되었는데 왕비와 조상들을 위한 사원으로 헌정되었다고 한다. 직사각형 기단에 6개의 탑이 2줄로 건축 되었는데 예전에는 조상들의 조각상이 세워져 있었다고 한다.

반디아이쓰리와 함께 크메르 초기건축조각의 백미로 일컫는다.
▲ 화려한 프레아코 조각상 반디아이쓰리와 함께 크메르 초기건축조각의 백미로 일컫는다.
ⓒ 김대호

관련사진보기


왕은 자신과 왕비, 부모와 외조부모를 시바신의 형상으로 신격화시켰다고 한다. 현재 대부분의 건물은 사라지고 석조건축물의 흔적과 6개의 탑만 남아 있는데 새하얀 벽돌을 일일이 쌓아 치장했으며 군데군데 남아 있는 섬세한 조각이 볼거리다.

앙코르는 대부분 흔적으로 남아 있다. 계승보다는 단절의 역사다. 목조건물들은 흔적조차 남아 있지 않으며 대부분의 건축물은 무성한 열대밀림이 잡아먹어 버렸다. 아직도 60%의 유적이 밀림 어딘가에 묻혀 있다고 한다. 죽은 앙코르가 산 캄보디아를 먹여 살리게 될 것이라는 이야기는 이제 빈말이 아니다.

앙코르여행에서 역사란 만드는 것보다 지키고 계승하는 것이 더 어려운 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내 강토에서 자라는 풀 한 포기 돌 한 무더기에도 애정을 가져야 앙코르의 비극, 식민지 시대의 수탈의 역사가 반복되지 않을 것이다.

겨우 가느다란 목재에 의지해 지탱하고 있는 프레아코 유적이 안타깝다.
▲ 무너져 내리는 프레아코 겨우 가느다란 목재에 의지해 지탱하고 있는 프레아코 유적이 안타깝다.
ⓒ 김대호

관련사진보기



태그:#프레아코사원, #롤로우스 유적군, #롤레이사원, #앙코르, #캄보디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마음 놓을 자리 보지 않고, 마음 길 따라가니 어찌 즐겁지 아니한가?

이 기자의 최신기사"마음도 수납이 가능할까요?"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