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민주노동당 대선 예비후보 심상정 노회찬 권영길 의원이 지난 7월 24일 오후 백범기념관 컨벤션홀에서 정치 민생 통일 분야에 대한 종합토론을 벌이고 있다.
ⓒ 오마이뉴스 남소연

"와이 낫(Why not) 민주노동당?"

한 시사주간지 편집장을 지낸 인사가 사석에선 던진 말이다. 잘 뽑은 카피다.

"이번 대선처럼 여권이 죽을 쑤고 있는 적도 없었다, 대통합? 명분 없다, 손학규? 사실 기회주의자 아닌가" 뭐 이런 진단과 함께 민주노동당이 치고 나올 절호의 기회라는 얘기였다. 냉소와 방관으로 대선에 흥미를 잃어버린 온건한 진보 성향의 유권자들에게 "민주노동당이 있잖아"라고 들이댈 수 있는 선거 마케팅이 가능한 환경이라는 것.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았다. 민주노동당의 경선 레이스는 국민의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다. 범여권에 실망한 반사이익의 수혜자는 왜 진보정당이 아닌 보수정당인가?

최근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소장 김헌태)의 내부 자료('대통합민주신당' 창당 직후인 7일 조사결과)에 따르면, 정당지지도가 한나라당(57.2%)-열린우리당(6.2%)-민주당(4.7%)-민주노동당(3.9%)-대통합민주신당(3.2%) 순으로 나타났다.

한나라당은 여전히 50%대의 놀라운 고공행진을 보이고 있고, 민주노동당은 범여권의 지지율과 함께 오르고 내리는 법칙이 그대로 반영된 결과다. 여권이 내준 공간을 왜 진보정당은 차지하지 못하는 걸까?

여권이 버린 표, 왜 민주노동당에 안 가나

“2002년 대선에서 3.9% 지지를 얻었다. 적지만 정치적 의미는 획득했다. 2004년 총선에서 13%를 얻었다. 국민들은 진보정당에 대한 '호의'와 '부채감'을 갖고 있었다. 하지만 이번 대선과 연이은 총선에선 민주노동당도 '검증' 대상이다. 무엇보다도 목표는 '신뢰 회복'이어야 한다.”

민주노동당의 싱크탱크인 진보정치연구소 연구기획실장을 지낸 김윤철씨의 말이다. 공감할 수 있는 지적이다. 이번 <대선진맥-민주노동당편>에 앞서 심상정·노회찬·권영길(기호순) 후보에 대한 연쇄 인터뷰를 진행했다. '민주노동당, 왜 안 뜨나? 뜨기 위해선 어떤 후보가 되어야 하나'라는 매우 원초적인 질문을 안고 만났다.

소수정당을 배제해온 '언론 탓'은 논외로 하자. 당의 경선 방식에도 문제가 있었다. '스타 정치인' 노회찬 후보는 "(언론에 나오는 빈도 수가) 내가 국회의원 되기 전 수준으로 후퇴해 버렸다, 참담하다"며 당의 대선 운용을 "아마추어리즘"이라고 혹평했다.

각 캠프 참모진들도 "합동토론회 준비하느라 다른 데는 눈 돌릴 수가 없다"며 원성을 쏟아냈다. '도돌이표 토론회'는 경선을 그들만의 잔치로 머물게 했다. 대국민 이슈에 대해서는 당도, 후보도 발언을 하지 못하고 결국 "민주노동당이라는 굴속으로 들어가 버렸다(노회찬)"는 진단이다.

3년 전 첫 등원... 2004년 5월 31일, 민주노동당 의원단과 보좌진은 17대 국회 개원을 맞아 국회 본청앞에서 `국민에게 드리는 감사와 다짐`을 발표했다. 단병호 의원이 등원소감을 말하던중 목이 메어 고개를 숙인채 말을 잇지 못하고 있다.
ⓒ 오마이뉴스 이종호
여기까지는 과거다. 앞으로의 일에 눈을 돌리자. 민주노동당 경선이 일주일 앞으로 다가왔다. 20일 제주도를 시작으로 전국 순회 투표가 실시된다. 9월 9일까지 투표 결과 1위자가 과반수를 얻지 못하면 다시 9월 10일부터 5일 동안 1·2위 간 결선투표가 진행된다.

이번 경선이 한번에 끝날 것이라 예상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조직세에서 앞서는 권영길 후보를 노회찬 후보가 앞선다는 조사 결과도 나왔다. 또 상승폭이 가장 큰 심상정 후보가 2위를 차지할 거라는 예상도 있다.

두 후보의 추격을 받고 있는 권영길 후보는 "1차에서 끝낼 것"이라는 의지를 보였지만 과반 승부로 한판에 끝낸다는 것은 쉽지 않아 보인다. 권 후보 입장에서는 1차로 끝내는 것이 유리하다. 결선으로 갈 경우 추격하는 후보의 '바람' 효과로 뒤집어질 공산이 크기 때문이다.

'부채' 받으러 다니던 시절은 이제 끝났다'

사실 민주노동당 경선의 유일한 구도라면 '인물' 요인이다. 지난 두 번의 대선에서 진보정당은 권영길을 단일 후보로 추대해 왔다. 하지만 이번엔 지난 원내진출의 성과로 무섭게 성장한 노회찬·심상정이 도전장을 냈다. 권영길이냐, 아니냐.

지난달 말, 당내 최대 정파인 '자주파(NL·자민통 그룹)'의 권영길 지지 선언이 나오면서 '반(反) 권영길' 구도가 형성되는 듯 했다. 민주노동당의 고질병인 '정파 담합' 구조에 대한 문제제기가 촉발된 것.

심상정 후보는 "조선시대 권문세가의 가문정치와 뭐가 다르냐"고 쏘아붙였고, 노회찬 후보는 "누구를 찍으라는 '오더'를 거부하는 평당원의 힘"을 강조했다. '정파 vs 평당원' 구도를 설정한 것이다.

노회찬과 심상정의 강점은 각각 '대중성'과 '콘텐츠'로 요약된다.

▲ 노회찬 민주노동당 대선예비후보.
ⓒ 오마이뉴스 이종호
우선 노회찬을 보자. 한국의 유권자라면 최소한 '노회찬'이라는 이름 석자는 알고 있다. 노 후보의 이번 대선에서의 목표는 '외연 확대'다. 더 이상 '10만 당원'의 틀에 갇혀서는 안된다는 주장이다. 자신이 대선 후보가 되는 순간 15% 지지율로 올려놓을 수 있다고 자신한다.

전혀 불가능한 주장은 아니다. 민주노동당의 지지율에 '노회찬'이라는 인지도를 더하면 가능할 수 있다. 각종 언론조사에서 노회찬은 보다 느슨하고 장기적인 차원에서 선호도, 다시 말해 '차세대 정치인'으로서 지지도는 더욱 올라간다.

여기에 더해 노회찬의 '촌철살인 어록'과 '전략적 유연성'은 "재밌다" "속 시원하다"는 평가와 함께 민주노동당의 경직성에 반감을 가지고 있는 대중에게 다가가고 있다.

심상정은 어떤가. '의정활동의 장학생'이라는 평가를 언론과 동료 의원들로부터 받아왔다. '경제정책통'이라는 점에서 누구도 이의를 달지 않는다.

심 후보의 이번 대선에서의 목표는 '민주노동당의 집권 전략과 비전 제시'이다. '경제 대통령 이명박'에 맞설 준비가 알차다.

화려한 정책자문단이 상징한다. 노 대통령의 경제 참모였던 정태인 전 비서관을 비롯, 재벌 저격수 김상조, 참여연대의 조희연, 전 진보정치연구소장 장상환 등 간판급 지식인들이 심상정 지지를 선언했다. 공개되지는 않았지만 <녹색평론>의 김종철 대표도 심상정 지지를 밝혔다.

권영길·노회찬에 비해 인지도는 떨어지지만 지지 이유가 분명한 결집력을 보이고 있다. 또한 한나라당의 후보로 박근혜가 결정될 경우, 맞수로서 경쟁력을 평가받고 있다.

장점은 동시에 약점이기도 하다. 노회찬에 대해선 "재밌고 순발력 있지만 가볍다", 심상정은 "똑똑하지만 어렵다"는 지적이 따라다닌다.

무섭게 성장한 노회찬·심상정 '대표선수 교체론'

▲ 심상정 민주노동당 대선 예비후보.
ⓒ 오마이뉴스 이종호
두 후보의 '대표선수 교체론'에는 명징한 이유가 있다. 이번 대선은 당의 과감한 변화의 과정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공히 내세운다. 권영길에 비해 비주류인 자신들이 되었을 때 '평당원의 승리' '탈정파의 승리'라는 평가를 얻을 수 있고, 이에 기반한 '새로운 리더십'으로 당의 혁신과 보수 정당과의 한판 승부를 벌여볼 수 있다는 낙관적 시나리오다.

그런 과정에서 당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신뢰 회복도 가능해 질 수 있다는 것. "또 권영길!"이라는 평가로는 대중적 흥행은 물론 당 혁신도 이뤄낼 수 없다는 주장이다.

<오마이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노회찬은 "역대 가장 좋은 조건이었던 지난 원내 진출 3년 권영길은 무엇을 했냐"고 공세적으로 따졌고, 심상정은 "또 권영길이 된다면 민주노동당의 후퇴"라고까지 말했다.

'친민주노동당' 성향의 손호철 교수(서강대 정치학)는 권영길의 후보를 향해 "2선 퇴진"을 주장하기도 했다. 손 교수는 "'나 아니면 안 된다'는 3김 식의 욕심을 버리고 당의 발전과 후진 양성을 위해 과감하게 2선으로 물러나기를 바란다(<한국일보> 7월 30일자)"고 썼다. 두 후배 정치인의 협공보다 더 뼈아픈 대목이다.

권영길이 대선 출마가 머뭇거린 이유는 이런 공격을 예상했기 때문이다. 1~2년 전부터 의지를 다져온 두 후보와 달리 권영길은 지난 2월 정월대보름께 마음을 정했다. 그리고 3월부터 사람을 모으기 시작했다.

이 때 '러브콜'을 받은 30대 차세대 그룹은 처음엔 만류했다고 한다. 권영길의 비서실장을 지낸 바 있는 김종철(전 서울시장 후보)과 당 대변인을 지낸 박용진이 그렇다.

최근 권영길 캠프에 결합해 대변인역을 맡고 있는 박용진은 "과거에는 추대·합의된 후보였지만 이번에는 거세게 밀어붙이는 후배들과 싸워야 한다, 강한 자기 확신 '왜 권영길이어야 하는지' 분명한 시대정신을 보여줘야 한다는 이유에서였다"고 말한다.

김종철은 현재 어느 캠프도 돕고 있지 않다. 권영길이 후보로 당선된다면 어떻게 대선운동을 하겠냐고 물었다. "당 선거해야죠"라고 말한다. 인물에 대한 강조가 아닌 민주노동당을 내세워 지지를 호소하는 방식이라는 얘기다.

권영길의 딜레마 "역시 권영길! 또 권영길?"

▲ 권영길 민주노동당 대선예비후보.
ⓒ 오마이뉴스 이종호
지난 두 번의 대선 과정에서 권영길의 경쟁력은 인물이 아닌 당이었다는 평가가 억울할 법하다.

노회찬의 "권영길의 역할은 다했다"는 평가에 대해 "민주노동당의 역사를 모두 부정하는 것"이라고 반발했다. 맞다. 아무도 나서려고 하지 않을 때, 결심했고 패배를 자처했다. 그의 말마따나 황무지를 손 갈퀴로 개간한 장본인이다.

다른 길도 있었다. 과거 YS와 DJ에게 장관직과 출마하기만 하면 당선되면 지역구 제안을 받기도 했다고 한다. 하지만 제도권의 따뜻한 밥상을 스스로 박찼다. "한번도 외도하지 않고 오직 진보정당 건설에 내 몸을 던지겠다는 생각으로 살아왔다"고 말한다.

좀체 얼굴을 붉히는 법이 없는 권영길이 "이제 집에 가서 쉬시라"는 농담에 "예의가 아니다"고 발끈한 건 그런 진정성 때문이다.

권영길은 여전히 '통합의 리더십'이 유효하다는 판단이다. 이번 대선의 목표로 '100만 민중대회'를 내걸고 있는 권영길은 민중진영의 진보대연합의 전제조건으로 당내 '소진보연합(초정파 단결)'을 얘기한다. 그 역할은 권영길만이 해낼 수 있다는 주장이다. 노동·농민·서민 등 100만 민주노동당 지지계층을 이끌어갈 대선단의 선장, 권영길!

조봉암의 200만표는 대체 어디로 간 것일까

아직 지지 후보를 결정하지 못한 당원들 사이에선 이런 얘기가 떠돈다.

"대통령은 권영길이 하고, 국무총리는 심상정, 국회의장은 노회찬이 했으면 딱 좋겠는데…."

권영길의 '통합력', 심상정의 '정책실무력', 노회찬의 '정치력'이 합쳐지면 완벽하지 않겠냐는 바람이다. 거꾸로 얘기하면 각 후보별 일장일단이 있다는 것인데….

▲ 2004년 총선이 끝나고 5월 1일 제114주년 세계노동절대회에서 노동자들의 선물 '전태일 평전'과 '불판'을 들고 있는 민주노동당 국회의원 당선자들.
ⓒ 권우성
나는 이번 대선에서 민주노동당의 목표는 '의미있는 패배'에 있다고 본다. 당선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점을 인정하자. 어떻게 질 것인가.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하나같이 민주노동당의 한계로 '비현실감'을 지적한다. 정책은 좋은데 현실 세력은 아니라는 얘기다. 입으론 민주노동당을 지지하면서 손으론 다른 정당의 후보를 찍는 역설적 현실이 되풀이되어왔다.

박동천 교수(전북대 정치외교)는 <2007 대통령 후보 리더십 청문회>라는 책에서 민주노동당이 한국 정치에서 대안세력으로 등장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고비를 넘어야 한다고 말한다. 첫째, 지지 세력의 외연 확대. 둘째, '척결'이 아닌 '수선'의 대상으로 자본주의 지향. 셋째, 민주주의 공론장으로 당내 의사소통 진행.

1956년 진보당의 조봉암은 제3대 대통령 선거에서 23.8%인 216만3808표를 얻었다. 그 표는 대체 어디로 간 걸까? 늘 민주노동당을 취재할 때마다 떠올랐던 질문이다.

덧붙이는 글 | 드디어 한나라당이 결판 납니다. 오는 19일 '경선'이 열리지요. 이명박, 박근혜 누가 승자가 될까요? 저는 경선 이후를 주목해 보려고 합니다. 어떤 관전포인트가 있을까요? 구체적인 아이템은 공개하지 않겠습니다. ^^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