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99년 전, 대한제국의 군악대는 군대 해산으로 사라졌다. 러일전쟁 당시 일본에서 발행된 <러일전쟁사진화보(1904년 6월 8일 발간)>에 게재된 한말 군악대의 사진(기사의 첫번째 사진과 가장 아래에 있는 사진)을 찾아내 국내에 처음으로 소개한다. <기자 주>

▲ 대한제국 군악대가 1904년 5월 6일 창덕궁에서 열린 '러일전쟁 승전 기념식'(공식 행사명은 '황군 전승 축하회')에서 연주하는 모습. 고종을 비롯해 내각 대신들까지 참석했다. 행사 직전, 일본군은 만주에서 러시아군을 격파하고 압록강 너머에 있는 구연성을 점령했다(1904.5.1). <러일전쟁사진화보>에 게재된 사진으로 국내에 소개되는 건 처음이다.
ⓒ <러일전쟁사진화보>
1904년 5월 6일 오전, 창덕궁 주합루 앞마당에서 트럼펫과 바순 등 서양 악기 소리가 울려퍼졌다. 또한 주합루 중앙에 대한제국기와 일장기가 걸린 가운데 고종과 이완용을 비롯한 내각대신들, 그리고 수백명의 일본군 장교들까지 모여 '러일전쟁 전승 기념식(공식 행사명 '황군 전승 축하회')'을 거행했다.

이날 음악을 연주한 사람들은 군복 차림의 대한제국 군인들로 구성된 군악대였다. 당시 영국 언론에서는 대한제국의 군악대를 두고 "조선인은 음악천재"라고 불렀다.
그러나 이날의 음악은 일본의 제국주의 침략전쟁 승리를 축하하는 자리에서 울려퍼진, 자랑스럽지 못한 연주였다.

여기서 조선군악대의 역사를 더듬어보자.

1900년, 조선 군악대 탄생

@BRI@1896년 5월 20일 민영환 당시 조선국 전권대사는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2세의 대관식에 참석했다. 이 때 러시아 군악대를 본 민영환은 조선에도 이를 만들어야겠다고 다짐했다고 한다. 러시아에서 돌아온 민영환은 고종에게 "러시아 군악대와 같은 것을 조선에도 만들어야 한다"고 간청해 허락을 받았다. 군악대는 1900년 12월 19일 칙령 제59호로 설치됐다.

당시 군악대는 시위연대와 시위기병대에 각각 2개대로 편성됐다. 1902년 편성된 군악대는 1등 군악장(대장) 1명, 2등 군악장(부장·하사급) 1명, 1등 군악수(악사·부하사관) 3명, 2등 군악수(상등병) 6명, 악사 27명, 악공(연주자) 12명, 서기 1명 등 총 51명으로 구성됐다.

1901년 2월 1일, 고종은 군악대 발전을 위해 독일인 에케르트(Franz Von Eckert)를 시위 군악대 교사로 3년간 고용했다. 에케르트는 1902년 대한제국의 애국가를 작곡하기도 했는데, 일제는 1910년 이 노래를 금지했지만, 상해임시정부에서도 이를 애국가로 불렀다.

초기 군악대를 이끈 사람은 김학수와 백우용이었다.

김학수는 대한제국 군대 창설시 시위연대 참위(위관급)였으며, 1902년 5월 16일 군악대 1등 군악장으로 임명됐다. 또한 1906년 군악대 경비 문제에서 잘못을 범해 15일 동안 근신할 때까지 군악대를 이끌었다. 반면 백우용은 1902년 육군 보병 참위로 군악대 3등 군악장으로 임명됐다. 김학수가 물러나면서 백우용은 1907년 3월 10일 군악대 1등 군악대장으로 승진했다. 특히 1905년 10월 14일 두 사람은 일본에게 훈5등서보장을 받았다.

'동양의 제일'로 영국·미국에 뒤지지 않았던 군악대

▲ 현재 독립기념관에 전시되어 있는 대한제국 애국가 원본. 군악대 교사로 활동한 독일인 에케르트가 작곡했다.
ⓒ 독립기념관
군악대는 창설된 후 황실의 각종 행사에 불려다녔다. 당시 서양 악기로 연주하는 것을 보는 건 쉬운 일이 아니었다. 군악대는 조약을 체결할 때나 나라의 큰 행사가 열릴 때 연주했다. 1902년 7월 15일 저녁 7시쯤 한국과 러시아 사이에 맺은 정말수호통상조약 체결 때 군악대는 기념 연주를 했다.

또한 국가행사인 계천기원절(대한제국 창건 기념일, 양력 10월 12일), 만수성절(고종 황제 생일, 음력 7월 25일), 황태자 천추경절(생일기념일, 음력 2월 8일) 등에서 축하 음악을 연주하기도 했다.

군악대는 1903년 5월 신임 일본공사 초청 공연, 1905년 5월 26일 비원에서 외국인들을 접대하기 위한 원유회 때 연주했으며, 1907년 10월 러시아인과 미국 육군 장교 등이 방문했을 때 양국의 국가를 연주하기도 했다.

군악대의 당시 연주에 대한 평가는 <동아일보(1924년 3월 4일)>에 게재된 내용을 보면 알 수 있다. 이 신문은 <런던타임스>에서 "조선의 군악대는 설립한 지 불과 몇 해 되지 아니하였으나 그 기술은 영국의 빅토리아 악대나 미국의 수사악대보다 못하지 아니하다"고 호평한 내용을 소개했다.

또한 러일전쟁 직전의 어느 날 궁중에서 연회가 열렸을 때, 일본대리공사 하야시는 러시아의 바울 공사에게 "조선 사람과 일본 사람을 비교했을 때 누가 음악의 천재 기질이 있느냐"고 질문했다. 한참 생각하던 바울 공사는 "조선 사람은 동양의 제일이라 일본 사람과 비교할 수 없다"고 답했다.

이는 일본과 러시아의 불편한 관계를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대한제국 군악대의 실력이 뒷받침됐기 때문에 나온 답변으로 보인다.

군대 해산 뒤에도 이어진 망국의 운명

▲ 창덕궁 주합루. 1904년 5월 6일 '러일전쟁 승전 축하 기념식'이 열린 장소다. 주합루 정면에 대한제국기와 일장기가 걸려 있는 모습. 이 기사의 첫 번째 사진과 마찬가지로, 국내에 처음 소개되는 사진이다.
ⓒ <러일전쟁사진화보>
그러나 '동양 제일의 군악대'는 일제의 손에 해산되는 운명을 맞이했다. 일제는 '을사늑약'을 강제로 체결한 뒤 군대마저 해산했다.

1907년 8월 1일, 친일파 군부대신 이병무(조선 귀족)는 전날 밤 받은 일제의 군대해산 명령에 따라 훈련원에서 군대 해산식을 열었다. 이에 따라 군악대도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그러나 군악대의 운명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1907년 9월 1일, 친일파 이완용은 군대 해산으로 사라진 군악대를 황실 음악대로 변모시킨 것. 백우용과 장교 2명, 악사 101명도 궁내부 장례원에 편입됐는데, 백우용은 악사장으로 임명됐다.

1910년 8월 29일 일제가 국권을 강제로 빼앗으면서, 장례원 소속 음악대는 이왕직 악대로 부속됐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악대는 1919년 3월 사망한 고종황제와 운명을 함께했다. 고종이 사망한 해 9월, 이왕직 악대는 해산됐다.

해산된 후 장례원 악대로, 다시 이왕직 악대로 이어져온 군악대는 경성악대로 재탄생했다. 대한제국 때 마지막 군악대장이던 백우용은 이왕직 악대의 악사 27명과 함께 경성악대를 조직해 1919년 11월 20일 종로청년회관에서 제1회 연주회를 개최했다.

경성악대는 이왕직에서 매년 3천원의 보조금을 받았다. 그밖에도 만주철도회사와 조선총독부·조선은행·식산은행 등에서 보조금을 받아 운영비로 충당했다. 경성악대는 그 힘으로 종로 기독교청년회관에 악대 사무실을 마련해 연주회를 열기도 했다. 경성악대는 1920년 6월 1일부터 경성호텔과 탑골공원에서 시민을 위한 연주회를 매주 개최했으며 원산·사리원·대구 등에서 순회공연을 펼쳤다.

경성악대가 군악대 뒤를 이었으나...

▲ "조선인은 음악천재"라는 영국 언론의 보도 내용이 실린 <동아일보> 기사(1924년 3월 4일자). 이 기사에는 군악대의 역사, 대한제국 군악대가 영국 언론에 보도된 내용 등을 간략하게 싣고 있다. 또한 경성악대를 해산할지도 모른다는 백우용의 토로도 담겨 있다.
ⓒ <동아일보>
하지만 1921년 이후 경성악대는 재정난으로 해산될 운명에 놓였다. 악사들의 생활비와 순회공연 연주비를 충당하는 것도 어렵게 됐다. 악대장 백우용은 "우리 악대가 장차 해산할 지경에 이르렀다"고 말하고 "조선 양악의 원조가 되는 이상에는 그 운명을 영원히 전하기 위하여 한편으로 젊은 사람들에게 그 기술을 가르쳐 주고 싶다"고 아쉬워했다.

백우용은 경성악대의 부흥을 위해 경성에 있는 4개 권번(기생)조합과 함께 연주회를 개최하거나 후원음악회를 열기도 했다. 백우용의 노력으로 1924년 3월 3일 경성악대 후원회가 결성됐으나, <동아일보> 후원으로 연주회를 몇 번 개최하는 정도였다.

1927년 <동아일보> 사옥 신축 기념 연주회를 끝으로 경성악대는 1930년 이후 신문지상에서도 사라졌다.

이처럼 조선에서 최초로 서양악기를 연주한 군악대, '동양 제일의 악대'라는 명성을 얻은 대한제국의 군악대는 나라의 운명에 따라 해산되는 아픔과 제국주의 전쟁에 협력해야 하는 서러움을 느껴야 했다.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