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일제 경찰 출신으로 미군정하 경성부윤(서울시장)을 지낸 김창영
ⓒ 조선공로자명감
대한민국 초대 육군참모총장과 4∙19당시 검찰총장, 2대 대법원장과 3∙4대 대법원장 등 해방이후 한국을 움직였던 쟁쟁한 인물들이 일제시대 서훈을 받은 사실이 확인됐다.

지난 4월부터 일본 국립 공문서관에 보관돼 있는 일본 내각상훈국의 서훈 재가 문서 1천여 권을 정밀 검색한 KBS 탐사보도팀이 일제로부터 훈장을 받은 3300여명의 한국인 명단을 찾아냈다.

KBS에 따르면, 일제시대 서훈자중 상당수는 해방 이후에도 대한민국 정부의 요직을 차지했는데 이들의 면면은 24일 저녁 8시 일요스페셜 시간에 소개될 예정이다.

방송에 소개될 사람들 중 조용순과 조진만은 각각 2대 대법원장과 3∙4대 대법원장을 지낸 법조인들이다.

1922년 3월 경성전수학교를 졸업한 뒤 같은 해 경성지방법원 판사에 임용된 조용순은 37년 훈6등 서보장을 받았다. 1953년 대법관, 54년 중앙선거관리위원장, 54~55년 법무부장관으로 승승장구하던 조용순은 58년부터 2년간 대법원장까지 지냈다. 1925년 일본고등문관시험 사법과에 합격한 조진만도 38년 훈6등 서보장을 받았고 해방 후에도 법무부 장관(1951년), 3∙4대 대법원장(1961.12~68.10)을 지냈다.

일제시대 독립운동가 재판에 서기로 참여해 1925년 판사까지 된 박승준도 36년 훈6등 서보장을 받았다. 그는 검찰총장에 재직중이던 1960년 학생들이 3∙15 부정선거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이자 ‘간첩 배후설’을 제기해 논란을 일으켰다.

대한민국 국군 창설의 주역이었던 이응준 초대 육군참모총장과 이종찬 6대 육참총장도 일본 육군으로부터 훈장을 받았다. 일본육사 출신으로 한국전쟁 당시 수도사단장·3사단장으로 활약했던 김석원 장군도 일제하 서훈자 중 한 명이다.

일제 경찰 출신으로 독립군 토벌에 앞장섰다가 미군정하에서 경성부윤(현 서울시장) 직무대행을 지낸 김창영, 악명 높은 고문경관 노덕술 등도 서훈자 명단에 포함됐다.

구한말 외무대신, 법무대신을 지낸 뒤 일제하에서 조선총독부 중추원고문을 지낸 이하영, 이완용의 심복으로 신소설 <혈의누>를 쓴 작가 이인직은 물론, 고종과 순종도 일본 왕족에게 주로 수여되는 국화대수장을 받았다.

서훈자들을 직업별로 분류하면 훈도와 교유, 교장 등 교육자가 684명으로 가장 많았고, 경찰 582명, 군수 499명, 군속(군 공무원) 268명, 육군 192명, 조선총독부 공무원 141명, 판사 55명, 검사 18명이었다. 특히 일제의 강제수탈에 직접적으로 동원됐던 군수 499명중 147명은 광복 이후에도 계속 군수로 일한 것으로 확인됐다.

KBS 탐사보도팀은 "이들이 해방 이후에도 특별한 반성없이 외세를 등에 업고 대한민국의 주요 기관에 계속 활동했다"며 "이번에 발견된 서훈록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친일반민족행위자 명단 선정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