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석파정 전경. 서울 한복판에 이런 멋있는 경치와 아름다운 집이 있다는 게 신기하다.
ⓒ 신병철
북악산과 인왕산 사이에 북소문에 해당하는 창의문이 있다. 인왕산에서 내려온 도성은 자하문이라고도 부르는 창의문을 지나 북악산으로 올라간다. 이 도성 바로 바깥, 인왕산 기슭에는 멋있는 양반집 한 채가 있으니, 이름하여 '석파정'이다. 지금은 개인 소유로 되어 있지만, 소유자가 살지는 않는 것 같다. 둘레에 튼튼한 쇠 울타리와 담장을 둘러 쉽게 접근하기 힘들다.

맞은 편 주택가에서 보면 인왕산 북쪽 사면 중에서 한 언덕배기가 살짝 치솟아 올라 남향할 수 있는 공간이 만들어지는데, 석파정은 바로 그곳에 위치하고 있다. 산 위에서 이곳으로 계곡 하나가 흘러 내려와 집 앞으로 흐르니 집터로서는 보통 자리가 아니다. 바위에 삼계동이라 새겨져 있고 정자가 그곳에 있어 삼계동 정자라 불리었다 한다.

지체 높은 조선 양반들이 이런 곳을 그냥 두었을 리 없다. 철종 때 세도가였던 안동 김씨 김흥근이 이곳을 별서로 사용했는데, 고종 즉위와 함께 실권을 손에 쥔 흥선대원군이 빼앗았다고 하는 이야기가 있다. 흥선대원군이 자신의 호를 '석파'라 한 것을 보면 이 집을 꽤나 좋아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 석파정 평면도. 석파정은 크게 사랑채, 안채, 누대, 정자 등 4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 홍대형 책 사진
지금 석파정은 크게 4채의 집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랑채와 안채, 누대와 정자가 그것이다. 사랑채는 바깥 어른의 공간이다. ㄱ 자의 전형적인 양반집의 사랑채다. 산중이니 기단을 높여 높은 지체를 과시할 필요가 없었는지, 사랑채이면서도 권위적이지 않다. 단아한 모습이 상큼하다.

옆에는 수백년 나이를 먹은 것 같은 노송이 드러누워 푸른 잎을 드리우고 있다. 노송 있는 쪽으로 누각을 만들어 놓았다. 누각에서 앞을 보면 개울 건너 검붉은 단풍이 바로 옆의 푸른 솔잎과 보색 대비를 극명하게 이룬다. 멀리 북악산이 보인다. '술이 있으면 신선을 배우고 술이 없으면 참선을 익힌다.(有酒學仙無酒學禪 )' 주련의 이 글이 없어도 저절로 신선이고 저절로 참선이 될 듯하다. 술이 있으면 더욱 좋고, 함께 있어 언제나 편안한 친구가 있으면 더 말해 무엇하리.

▲ 석파정 사랑채. 노송과 단풍이 어우러져 저절로 신선이 되고, 참선이 몸에 익을 듯하다.
ⓒ 신병철
안채는 ㅁ 자형으로 조선 여인네들 생활 공간의 특징을 그대로 지니고 있다. 문을 열고 들어가면 벽을 만난다. 안채가 한눈에 들어오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다. 남향한 안채 앞과 옆으로 광과 부엌이 있다. 구성으로 보면 보통의 조선 말 안채 건축이다. 그러나 누마루 밑벽과 담벼락 등에 제법 문양을 다스려 장식하고 있다. 조선 후기 전체적으로 나타나고 있던 장식화의 경향이 반영되었을 것으로 추축된다.

▲ 석파정 안채. 폐쇄적이지만 오밀조밀한 공간을 통하여 안방 마님과 조선 여인네들의 삶이 보인다.
ⓒ 신병철
사랑채와 안채 사이로 통로가 나 있다. 위쪽에 있는 누각으로 올라가는 길이다. 아치 모양의 문을 만들고 채색 벽돌과 학 모양 벽돌로 장식하고 있다. 지붕들이 중첩하고 있는 그 가운데로 아치 모양의 문이 대단한 조화를 이루고 있다. 그 쪽을 보면 위로 올라가지 않고는 배기지 못할 것 같다.

문을 지나니 안채 뒤쪽에 높은 축대를 쌓았는데, 축대 중간에 두 개의 문이 나 있다. 아마도 그 속을 광으로 사용했나 보다. 그 위에는 장독이 자리잡고 있고 옆에는 굴뚝이 솟아 있다. 단순하면서도 정다운 구성이 너무나 아름답다. 그냥 예쁘다, 아름답다라고 표현할 수밖에 없으니 안타깝다.

▲ 누대로 올라가는 길. 중첩된 지붕과 약간의 장식이 올라가지 않고는 못 배기게 한다.
ⓒ 신병철
그 위에는 '개울물 흘러가는 소리 들으며 단풍을 바라볼 수 있는 누대(流水聲中觀楓樓)'라는 긴 이름을 가진 누대 건물이 한 채 있다. 이 높은 곳에서 개울 물 흐르는 소리를 들으며, 가깝게는 개울 건너에 있는 단풍을, 멀게는 인왕산과 북악산의 단풍을 감상하노라면 더 바랄 게 없을 것 같다.

전체 집 공간에 비하면 너무나 거대한 누대다. 이 석파정이 살림하는 양반집이기보다는 가끔 왔다 쉬어 가는 기능이 강화된 별장임을 알 수 있다. 아래와 먼 곳의 전망이 한마디로 끝내 주는 곳에 자리잡고 있다. 그 옆에 있는 화장실도 단아한 품격을 갖추고 있다.

▲ 유수성중관풍루. 물소리 들으며 단풍을 바라보고 있으면 바랄 게 더 이상 무엇이 있으리오.
ⓒ 신병철
사랑채에서 인왕산 산 쪽으로 물길을 따라 오솔길이 나 있다. 산을 쳐다 보니 단풍이 익을 대로 익었다. 서울 한복판에 이런 단풍이 있다는 것이 신기할 따름이다. 오솔길을 따라 조금 올라가면 산에서 막 개울이 시작되려는 포근한 곳에 정자가 화색을 띠고 반기고 있다. 정사각형의 몸매에 청동의 지붕을 가진 날씬한 정자다. 개울물이 조금도 거침없이 지나가라고 사방 아치로 만든 정자 아래 구성에 정성이 보인다. 19세기 말 청나라로부터 전해져 온 새로운 건축 기법이 사용된 듯하다.

▲ 석파정 안에 있는 오솔길. 서울 한복판에 이런 오솔길이 있다니, 100m만 나가면 바로 아옹다옹 우리들의 삶이 있는데....
ⓒ 신병철
정자의 이름은 '멀리 바라 보는 정자' 망원정(望遠亭)이다. 멀리 있는 자연과 경치를 보고, 세상을 멀리 바라보고 긴 시간을 생각해 보라는 뜻일 게다. 사방에 단풍은 서로를 시샘하고 시냇물 소리는 졸졸 나는 듯하며 적당히 높이 솟은 정자는 사람을 반긴다. 정자 가운데 청화백자로 만든 넓고 큼직한 탁자와 의자는 앉아서 이 자연을 만나고 그냥 자연이 되라고 강권하니 어쩌란 말인가. 아름다운 자연을 찾아내고 그것에 어울리는 공간과 건물을 만들어내는 이 마음이 부럽기 한이 없다. 우리는 진정 이런 마음을 잃었단 말인가.

▲ 석파정 망원정. 멀리 바라볼 줄 아는 사람이 되자고 이 정자에서 한번 되새겨 보지만, 가까이 있는 단풍과 풍광이 맘을 어지럽힌다.
ⓒ 신병철
원래 이곳에는 별장 건물이 하나 더 있었다고 한다. 지금 상명대학 삼거리에서 자하문 쪽으로 조금 올라오는 곳에 있는 석파랑이라는 한식집 위로 옮겨온 건물이 그것이다. 이 건물 역시 ㄱ자 모양인데, 색깔 있는 벽돌을 사용하고 벽에 둥근 창을 만드는 등 청나라 건축 모습을 많이 갖추고 있다. 역시 조선 말기에 나타난 새로운 조형 감각을 지니고 있어 과도기의 변신을 엿볼 수 있다. 이 건물은 석파정이 제대로 인식되고 석파랑의 위치가 고증된다면 원래 자리로 옮겨가야 석파정 전체를 제대로 파악해낼 수 있지 않을까 싶다.

▲ 석파랑. 청나라 기풍이 가미된 석파정에 있었던 또 하나의 별장. 지금은 세검정 삼거리 한식집 높은 곳에 자리잡고 있다.
ⓒ 신병철
그러나 서울 한복판에 있는 석파정은 그 멋있는 공간과 자연을 보통 사람들은 볼 수가 없다. 부암동 사무소에서 한 달에 한 번 소유자의 허락을 받아 출입할 수 있을 뿐이라고 한다. 흥선대원군의 뒤를 이어 왕족들이 별장으로 사용했으나, 지금은 개인 소유가 되어 울타리와 철제 담장으로 폐쇄되어 있다. 지금과 같은 단풍철에 이런 우리의 정원 문화를 살펴보고 느낄 수 있는 길이 막혀 있어 안타깝기 짝이 없다.

뿐만 아니라 지금 석파정 앞의 산 자락은 인공적으로 깎여 산 생채기를 그냥 드러내고 있다. 5년 전쯤에 그 곳에 건물을 지을 계획으로 산자락을 깎아 냈다고 한다. 인왕산 자락을 그렇게 깎아 낼 수 있었다는 사실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

▲ 깎아진 절벽 위에 덩그렇게 올라 앉은 석파정. 산자락을 깎아 내어 건물을 지으려 했으나, 지금은 흉물스럽게 방치되고 있다.
ⓒ 신병철
오랜 역사를 지닌 문화재는 아니라 하더라도 우리의 전통과 정서를 제대로 지니고 있는 문화재는 보물과 같은 높은 품격의 문화재로 지정하고 보호하고 모두에게 공개되도록 조처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런 문화재로 첫번째 꼽고 싶은 것이 바로 석파정이다. 소중하게 보호되면서도 누구라도 쉽게 찾아가 우리의 정체성을 만날 수 있는 석파정이 되기를 목을 빼고 고함쳐 본다.

태그:
댓글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2,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제주도에서 살고 있습니다. 낚시도 하고 목공도 하고 오름도 올라가고 귤농사도 짓고 있습니다. 아참 닭도 수십마리 키우고 있습니다. 사실은 지들이 함께 살고 있습니다. 개도 두마리 함께 살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