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영화 '서편제'가 극장의 스크린 위에 오르기 전까지는 어느 누구도 엄청난 성공을 예견하지 못했었다.

▲ 서편제 판소리 보존회 보성지회장 장장수씨가 심청가 한 대목을 부르고 있다.
ⓒ 오창석
임권택 감독이 만든 또 하나의 작가주의 영화가 예외 없이 적당한 기간 상영되다가, 당시 여러모로 척박한 이땅의 영화풍토에 던져진 적은 파문이나 얄팍한 눈물 한 방울에 자족하고 넘어가는 게 아닐까 여겼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예상을 깨고 케케묵은 소재를 담은 이 영화는 우리나라 영화사(映畵史)의 갖가지 기록을 갈아치운 영화사적 의미를 넘어 '문화적 사건'이 되었다.

뱀의 '발'처럼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 흔적을 찾아보기 힘들게 되었던 판소리가 '서편제'의 심폐소생술로 되살아나 과거에서 현재로 걸어나온 셈이었다.

테크노, 뽕짝 등을 음악의 전부로 알고 살아왔던 이들에게는 '내 의식의 심연을 뒤흔드는 이 소리의 정체가 과연 무엇인가'라는 스스로의 문화적 정체성에 관한 물음을 갖게 하기에 충분한 것이었다.

서편제의 고향은 전남 보성으로서 그 비조(鼻祖)인 박유전(朴裕全, 1835-1906)은 전북 순창 사람이다. 그는 본래 동편제 가락인 우조(羽調,씩씩한 가락)소리를 배웠으나 18세 때 온 집안이 보성으로 옮겨온 뒤 이 지역에 전해 오던 계면(조界面調, 슬픈가락)의 창법을 익히면서 현재의 서편제라 불리게 되는 소리의 형식을 만들게 되었다.

그는 어려서 마마를 앓아 얼굴이 얽은 데다, 놀다 넘어져 한쪽 눈을 잃은 험상한 외모였으나 타고난 목청과 노력으로 25세 때인 1860년에 전주대사습에서 장원을 하였다.

이후 상경하여 어전(御前)에서 소리를 하게 되었는데 특히 흥선대원군의 총애를 받아 그에게서 '강산江山'이란 호를 받고 무과의 선달이라는 첩지까지 받는 등 일세를 풍미하였다.

▲ 도강마을 뒤편 일림산 계곡에 복원된 득음정과 득음폭포
ⓒ 오창석
대원군의 실각과 함께 보성으로 돌아온 뒤의 만년에는 보성읍 대야리 강산마을에 살면서 타고난 목소리가 아니더라도 기교로써 타고 넘을 수 있는 더늠(어느 소리꾼이 특별히 잘 부르는 대목이나 작품)을 개발하여 강산제(江山制)라 칭하였다.

이후 그는 후진을 기르는데 주력하여 이날치, 정재근 (鄭在根, 1853~1914) 등의 명창을 배출하였는데 정재근의 맥은 조카인 송계(松溪) 정응민(鄭應珉, 1896-1964)에게 계승되었고 다시 조상현, 성창순, 정권진 등 이름만 대면 알 수 있는 수많은 명창과 인간문화재들로 이어졌다.

그는 서편제와 강산제의 흐름을 이어받아 단점을 보완해 '보성소리'를 완성한 이로 평가 받고 있는데 본인은 물론 그 제자들이 수련한 보성군 회천면 영천리 도강마을에는 유택이 남아 있고 북 모양의 예적비(藝績碑)가 서 있다.

바로 옆에는 소리바위 혹은 북바위라고 부르는 커다란 바위가 있는데 제자들이 거기 대고 목을 트이게 해달라고 빌기도 하고 스승의 혹독한 꾸지람을 받고 화풀이를 하는 장소였다고 한다.

▲ 회천면 영천리 도강마을의 정응민 생거지 옆에 있는 소리바위(혹은 북바위, 외쪽), 보성읍 대야리 강산마을 송정강 기슭에 있는 박유전 예적비(오른쪽)
ⓒ 오창석
정응민의 유택 바로 곁에서 태어나 평생을 살아온 위복량(55세)씨는 "그때는 대단했어라. 소리배울라고 수십명이 모아들어 하숙하면서 살았은께. 기관장도 새로 오면 여기서 신고식한 다음 잔치 베풀어 주었어라. 굉장한 명소였지라.

소리 배우러 온 예쁜 처녀들땜시 동네 총각들 애도 많이 태웠소. 또 허구헌날 명창들이 소리를 하니 동네사람덜이 모두 귀명창이었다고 봐야제. 나도 어려서 조통달, 조상현같은 사람들하고 얼굴 익히면서 살았고. 산에 가면 나무는 안허고 작대기로 지게 다리나 바우 등을 치며 소리하다가 어른들헌테 죽게 얻어듣고 그랬제."

보성은 소백산맥이 굽이쳐 내려오다가 형성해 놓은 높은 산이 구릉 사이에 연달아 솟아 있고 그 사이에 많지 않은 농토들이 펼쳐져 있다.

거친 듯 하면서도 안온한 지형과 그 사이를 흐르는 보성강의 아기자기한 아름다움이 서편제, 보성소리를 잉태하게 하였으리라. 박유전의 유적으로는 읍내 보성공원에 노래비가 있고 보성읍 대야리 강산마을 앞 송정강(보성강의 지류)가에 예적비가 있다.

정응민의 유적은 보성군 회천면 영천리 도강마을에 예적비와 생거지(生居地)가 있고 마을 뒷편의 일림산(日林山) 계곡에는 본인과 제자들이 기량을 닦았던 득음폭포와 득음정(得音亭) 이 있다.

보성은 소설 태백산맥의 무대이며 독립운동가 서재필, 민족음악가 채동선의 생가가 있고 보성강 건너 제암산에서는 해마다 5월초가 되면 해마다 철쭉제가 열리고 있다. 읍내에서 정응민의 예적비로 가는 봇재 정상에는 전국에서 가장 큰 규모의 다원(茶園)이자 관광농원인 대한다원이 있고 10여분 거리에 풍부한 해산물과 해수욕장으로 유명한 율포가 있다.

▲ 보성군 회천면 영천리 도강마을 소재 정응민 생거지, 예적비.
ⓒ 오창석
▲ 국내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대한다원.
ⓒ 오창석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전라도 기행 연재했던지가 10년이 넘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