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해야 솟아라, 해야 솟아라, 말갛게 씻은 얼굴 고운 해야 솟아라. 산 너머 산
너머서 어둠을 살라 먹고, 산 너머서 밤새도록 어둠을 살라 먹고, 이글이글 애
띤 얼굴 고운 해야 솟아라.

달밤이 싫여, 달밤이 싫여, 눈물 같은 골짜기에 달밤이 싫여, 아무도 없는
뜰에 달밤이 나는 싫여…….

해야, 고운 해야, 늬가 오면 늬가사 오면, 나는 나는 청산이 좋아라. 훨훨훨
깃을 치는 청산이 좋아라. 청산이 있으면 홀로래도 좋아라.

사슴을 따라, 사슴을 따라, 양지로 양지로 사슴을 따라, 사슴을 만나면 사슴
과 놀고,

칡범을 따라, 칡범을 따라, 칡범을 만나면 칡범과 놀고…….

해야, 고운 해야, 해야 솟아라. 꿈이 아니래도 너를 만나면, 꽃도 새도 짐승
도 한자리에 앉아, 워어이 워어이 모두 불러 한자리 앉아, 애띠고 고운 날을 누
려 보리라.

<해> 박두진


이 <해>가, 발표는 1946년 5월 <상아탑> 6호이었으나 창작 시기가 그 이전이었던 것이, 아래의 구도(verse)로 보아 그 시제를 짐작할 것이다.

해야 솟아라, 해야 솟아라
~ ~ ~ ~ ~ ~ ~ ~ ~ ~ ~ ~
해야, 고운 해야, 해야 솟아라.


한마디로 말해, <해>의 텍스트는 `지양(止揚)의 세계`이다. 즉 시인의 정신세계가 이 민족의 가치지향으로, 나아가 드높은 인류의 보편적 가치체계에까지 미치는 통합에 있다. 따라서 시의 소재이기도, 요소이기도 한 그 이미지들을 그냥 지나칠 수가 없다.

어둠, 달밤, 골짜기, 칡범, 짐승 / 해, 사슴, 청산, 꽃, 새

이들은 한결같이 의식 속에 대립된 축의 구도이다. - 음과 양, 악과 선, 추와 미, 강자와 약자, 구속과 해방, 하강과 상승, 현재와 미래 등등. 그리고 끝없이 순환되는 시간 - 인류의 역사, 거듭되는 질곡과 그 이후... .

그러나 이들은 결국 `해`에 의하여 수평의 세상 - 마침내 악이 무너지고 어둠이 환히 밝아오고 강자도 없이 하나가 되는 생명이 충일(充溢)한 세상이 된다. - `지양의 세계`인 통합이다.

사슴을 따라, 사슴을 따라, 양지로 양지로 사슴을 따라, 사슴을 만나면 사슴
과 놀고,

칡범을 따라, 칡범을 따라, 칡범을 만나면 칡범과 놀고


그렇지만 이것만 가지고 시인의 <해>를 평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해` 이전 시(詩)이요, 또한 시(詩)가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우선 시(詩)의 문장틀 그 구조가 통사적인데다 따라서 리듬이 산문적이다. 그리고 수없이 나열된 이미지들, 하지만 그들을 시(詩)로서 아우르지 않을 수가 없다.

그 첫 번째가 두드러진 `반복`이다.

해야 솟아라
산 너머
어둠을 살라 먹고
달밤이 싫여
청산이 좋아라
사슴을 따라
칡범을 따라
한자리에 앉아
해야, 고운 해야, 해야 솟아라


그러한 것이. 그것은 `반복`에 의한 산문성의 극복이요 동시에 시가 지녀야 하는 첫 번째인 요소 - 리듬인 음악성의 조성이다. 그리고 생생한 회화 그 이미지들이다. 아울러 화자의 간절한 염원 그 어조이기도 한 것이다.

거듭 말해 리듬(rythm), 이미지(image), 어조(tone). 이들이야말로 시가 되는가 안 되는가를 결정하는 필수 요소(essential)이다.

또한 사건의 진행(prose)이 아닌 정서. 그 공시성(共時性)인 이미지의 순환구조(verse)가 그것이다.

해야 솟아라
~ ~ ~ ~ ~ ~
해야 솟아라


뿐만 아닌 것이 현장감의 사실(realitic) - 시늉어의 절제된 그 구사가 적확했다.

이글이글 ~ ~
훨훨훨 ~ ~
워어이 워어이 ~ ~


그러나 무엇보다도 우선인 것은 < 해 >가 지닌 원형상징이다. 그것 하나가 이 시가 지닌 텍스트(text)를 표함이요, 백미(白眉)이요, 그야말로 촌철살인(寸鐵殺人)이다. .

해야, 고운 해야, 해야 솟아라. 꿈이 아니래도 너를 만나면, 꽃도 새도 짐승
도 한자리에 앉아, 워어이 워어이 모두 불러 한자리 앉아, 애띠고 고운 날을 누
려 보리라.

조연현씨는 "한국 서정시가 이룰 수 있는 한 절정을 노래했고, 박두진은 이 한 편의 시로써 유언 없이 죽을 수 있는 인간이 되었다"고 말했다.

그렇건만 유감인 것이, 그 동안 우리는 고인(故人)의 그 간절한 염원 동경인 `통합의 세계`를 이루지 못했고 여태껏 못 이루고 있다는 사실이다.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