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학벌! 너, 영원한 카스트 제도여...

세상에는 진짜 거짓말 세 가지가 있다고 한다. 첫째는 처녀들이 시집 안 간다는 말과 장사하는 사람이 '손해보고 판다'는 말, 그리고 늙은이들이 '빨리 죽어야지'하는 말이 그것이다. 그런데 최근 들어 진짜 거짓말이 한 가지 더 늘었다. 한때 삼성그룹에서 '학력파괴 채용' 발표 이후 젊은이들은 '능력 있는 사람이 대접받을 수 있다는 기대에 들뜨게 했다. 그러나 이러한 기대가 몇 년의 세월이 지난 오늘 또 하나의 새로운 거짓말을 만들어 준 결과가 되고 말았다. '학력파괴'라는 대국민 약속은 슬그머니 실종되고 말았기 때문이다.(위 단락은 '한겨레21' 제332호 '무덤까지 간다, 학벌!'기사에서 인용한 것을 알려드립니다 - 편집자 주)

최근 언론에서는 마치 경쟁이라도 하듯, 대학별 신입생 모집 요강'을 앞다투어 보도하는가 하면 점수 몇 점 더 받기 안내자는 자신이 가장 권위자라는 듯 '인류대학 보내기 안내자'로서 자처하고 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반영비율'이 어떻고 '학교별 생활기록부 요소별 반영비율이 어떻고....' 라고 목청을 높이고 있다.

이제 며칠 후면 거대한 민족적 행사(?)인 수학능력고사가 시작된다. 전국의 고등학교는 얼마나 '교육목표를 성실히 이행했는가'가 아니고, 서울대학에 몇 명을 더 합격시켰는가의 여부가 일류고등학교 여부를 판가름한다.

해마다 수학능력고사를 앞두고 교문 앞에는 '한 세기로 뻗은 전통 수능으로 빛내자' '00인이여 다시 한번 영광을...'라는 동문들의 격려문이 나붙고 수능이 끝나기가 바쁘게 교문 앞에는 '축, 합격! 서울대 0명 합격'이라는 플래카드가 걸린다. 이제 이러한 연례행사는 교사도 학부모도 당연한 행사, 당연한 결과로 받아들인다.

모든 국민은 전국의 고등학생들을 한 줄로 세우는 잔치(?)에 뒤지면 안된다는 경쟁이라도 하는 듯하다. 언론은 어느 대학의 원서대금 수입이 많은지를 경쟁적으로 보도하고, 대학 앞의 여관이나 하숙집은 일년농사(?)인 바가지 씌우기 준비에 바쁘다.

학부모들은 명산이며 효험있는 절을 찾아 천지신명에 기원하기 바쁘다. 어떤 기관도 학교도 문제의 해법을 찾기 위한 진지한 노력은 없다. 이제 우리 사회에서 학벌은 마치 타고 난 피부색깔처럼 떼놓을 수 없는 운명이 됐다.

학벌은 일류대학을 만드는 원인 제공자 역할을 하기도 하고, 경쟁률을 높이는 기능도 담당한다. '가능한 한, 내 후배를 뽑자'는 갸륵한 동문사랑(?)이 그렇고 승진에서 '동문 봐주기'도 마다하지 않는다. 학벌은 입사에서 승진, 결혼에 이르기까지 개인의 인격까지 판단하는 기준이 되고 다.

인간의 가치까지도 학력으로 평가받는 사회는 마감되어야 한다. 남북이 분단된 상황에서 지역감정으로 동서가 대립되고 여기에 학연으로 직장마다 동문으로 뭉친다. 선거 때가 되면 거대한 패거리 문화가 본색을 드러내어 이성을 잃고 이해관계로 얽힌다.

온 국민은 총알 없는 전쟁에 시달리고 있는 것이다. 분명한 것은 '학력과 능력은 일치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능력이 아닌 학연이 지배하는 사회는 합리성이 실종되고 '좋은 것이 좋은' 두루뭉실한 문화를 만들어 온갖 부패와 부정의 고리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능력 있는 사람이 대접받기 위해 학연과 학벌이 지배하는 사회는 마감되어야 한다.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김용택의 참교육이야기(http://chamstory.tistory.com/)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기자의 최신기사'관(觀)'이 문제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