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그 정보가 알고 싶다] 6.1 지방선거 정당별 10대 정책 공약 살펴보니
[그 정보가 알고 싶다] 청와대 개방보다 더 중요한 것
[그 정보가 알고 싶다] 번개불에 콩 볶아 먹기식 심의, 이대로는 안된다
[그 정보가 알고 싶다] 지방공무원 장기 국외 훈련 비용
[그 정보가 알고 싶다] 한눈에 보는 국민의힘 문제적 공약
[그 정보가 알고 싶다] 후보자들의 재산, 세금내역, 전과기록, 10대 공약이 왜?
[그 정보가 알고 싶다] 코로나 2년 서울시 자영업 폐업 현황
[그 정보가 알고 싶다] 전국 기초의원 의정감시 통합 데이터
[그 정보가 알고 싶다] 공공기관 정보공개종합평가가 제 기능 하려면
[그 정보가 알고 싶다] 지자체 '성희롱·성폭력 고충심의위원회' 공개 현황
[그 정보가 알고 싶다] 세금은 쓰지만 정보 공개는 안 하겠다는 뉴스통신진흥회
[그 정보가 알고 싶다] 2014년~2019년 6년 간 전국 축산 악취 민원 분석
[그 정보가 알고 싶다] 국회의원·광역·기초자치단체장 학력 정보 분석 공개
[그 정보가 알고 싶다] '위원회'는 밀실행정의 또다른 이름?
[그 정보가 알고 싶다] 인구 22만인데 고용효과가 100만, 성과 부풀리기 지역축제
[그 정보가 알고 싶다] 산업재해 다발 사업장 명단, 이게 최선인가요
[그 정보가 알고 싶다] 지난해 여름철 광역단체 전기요금 분석해보니
[그 정보가 알고 싶다] 가석방 심사위원회, 도대체 회의록이 없다
알 권리와 정보공개가 어느 때보다 중요한 사회적 화두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민주주의의 발전, 정부의 투명성, 공직자들의 윤리, 사회의 진보는 시민들의 알 권리가 얼마나 보장되는지, 정보공개가 얼마나 투명하게 이뤄지고 있는지에 비례하기 때문입니다. 정보공개센터는 한국의 사회 문제들과 현안들을 시민들의 알 권리 그리고 정보공개와 연결 지어 투명하게 풀어드립니다.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는 2008년 알권리 운동을 위해 설립된 시민사회단체입니다. 공공기관 정보공개실태조사, 연구, 언론 캠페인 등을 통해 사회 전반의 투명성 및 책임성 신장을 목적으로 활동합니다. 또한 시민들이 정보공개청구를 자연스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정보공개청구 교육과 문화 확산 활동을 이어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