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밀리사이트

  • 오마이뉴스
  • 오마이스타
  • 오마이TV
  • 오마이포토
  • 10만인클럽
  • 오마이뉴스APP

공유하기

단칼에 끝내는 인문학 곤충기
  • 메일
http://omn.kr/1su5i

오마이뉴스

시리즈
  • 검색 닫기
  • 연재발행
  • 이용안내
  • |
  • 로그인/회원가입

검색

시리즈

단칼에 끝내는 인문학 곤충기

공유하기

단칼에 끝내는 인문학 곤충기

아이와 함께 볼 수 있는 재미난 곤충기를 얕은 지식과 함께 공유하고자 합니다. 보통 사람의 눈높이에 맞춘 흥미로운 이야기이므로 지인들과 수다를 떨기에 좋습니다.

더보기
  • 사는이야기
  • 연재 중
  • 기사70
  • 구독1
  • 이상헌
  • 공유

참여기자 :

  • 10만인클럽 프로필사진
    10만인클럽 회원 이상헌 (shee) 내방
  • OhmyNews
  • 검색 닫기
  • 로그인/회원가입
  • 시리즈
  • 연재
    • 전체연재
    • 프리미엄연재
    • 분야별 보기닫기
    • 사는이야기
    • 사회
    • 경제
    • 정치
    • 문화
    • 민족·국제
    • 교육
    • 책동네
    • 여행
    • 미디어
    • 여성
    • 스타
  • 연재기사
    • 전체 연재기사
    • 인기 연재기사
  • 추천 연재기자
  • 리스트형
  • 카드형
  • 최신순
  • 과거순
  • 70화개똥밭이 좋다는 나비들, 반전 외모를 보여줍니다

    이 순진무구한 낯짝을 좀 보세요

    나비는 동요와 대중가요에도 나올 만큼 우리에게 친숙한 곤충이다. 보통 사람들은 나비가 꽃꿀을 먹는 것으로 안다. 그러나 조금만 관심을 기울이면 꿀 먹는 나비보다는 참나무 수액이나 짐승의 배설물을 먹고 사는 녀석들이 더 많음을 알 수 있다....
    22.08.16 17:22 ㅣ 이상헌(shee)
  • 69화'너 죽고 나 죽자'... 도토리 놓고 벌어지는 복수전

    도토리를 떨구는 이 곤충, 주삿바늘 부리를 가졌습니다

    참나무과(상수리나무, 졸참나무, 떡갈나무 등)에 속하는 여러 나무의 열매를 도토리라고 한다. 암사동 선사유적지의 유물을 살펴보면 우리 조상들은 석기시대부터 도토리를 먹어왔음을 알 수 있다. 조선 후기에 편찬된 <산림경제>와 <목민...
    22.08.14 20:01 ㅣ 이상헌(shee)
  • 68화껴안고 포옹하는 벌레들? 사실 잡아먹는 중입니다

    갈비빵 만드는 사마귀와 솜사탕 빚는 파리매

    파리매과 무리는 '곤충 세상의 매'라 불리는 녀석들로서 각종 벌레를 잡아먹고 산다. 햇볕이 뜨겁게 내리쬐고 시야가 확보되는 나뭇잎 위에 매복하고 있다가 날아다니는 잠자리나 풍뎅이, 나비, 벌 등을 공중에서 낚아챈다. 보디빌더 이상으로 발달...
    22.08.09 13:44 ㅣ 이상헌(shee)
  • 67화과수원을 덮은 선녀벌레, 그을음병을 일으킵니다

    잣 생산을 무려 33%나 감소시키는 벌레도 있다

    교역과 세계여행으로 인적자원 뿐 아니라 곤충자원도 옮겨다니는 세상이다. 호주와 같이 고립된 생태계에서는 외래종이 크게 불어나 식량자원에 상당한 피해를 주기도 한다. 우리나라에 들어와 잘 어울려 사는 종도 있지만 반대로 큰 타격을 입히고...
    22.08.05 11:23 ㅣ 이상헌(shee)
  • 66화'킹왕짱' 나비와의 눈맞춤, 한여름이 즐겁습니다

    왕노릇하는 곤충들... 대왕나비, 왕바구미, 왕잠자리, 왕침노린재

    고려가 명을 다하고 조선이 건국되면서, 왕씨 성을 가진 이들은 핍박을 받고 죽임을 당한다. 또한 왕명에 의해 성을 바꾸도록 하였는 바, 전(全, 田)씨와 옥(玉)씨로 성을 갈았다. 일부는 왕씨 성을 간직하였는데 조선을 세울 때 기여한 가문에 한...
    22.08.02 13:59 ㅣ 이상헌(shee)
  • 65화고기맛을 아는 나비, 서울에 산다

    장식품처럼 어여쁜 부전나비들...세계적으로 7천여종, 한국에 80여종 살아

    지금은 보기 힘들지만 옛날에는 액자의 네 귀퉁이에 삼각형 모양이나 하트 무늬의 장식품을 달았다. 나비 연구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석주명은 1947년 <조선나비 이름 유래기>에서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부전이란 말은 사진틀 같...
    22.07.29 14:32 ㅣ 이상헌(shee)
  • 64화물 속 캠핑카에 사는 유충, 수질오염도 알려줍니다

    비단실로 이동주택을 만드는 날도래와 강도래

    누에나방 고치에서 명주실을 뽑아내어 날줄과 씨줄로 여러가닥을 엮으면 우리가 아는 비단이 된다. 가벼울 뿐 아니라 부드러운 감촉에 보온성도 탁월하고 질기기까지 하다. 건조한 겨울날에도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고 염색도 자유로워 예로부터 고...
    22.07.21 10:34 ㅣ 이상헌(shee)
  • 63화한여름 밤의 잔칫상, 참나무 수액 쟁탈전에 초대합니다

    참나무 '오아시스' 주위로 몰리는 곤충들

    한여름 숲이 절정에 이르면 심심치 않게 참나무가 빙수와 같은 하얀 거품을 머금는다. 시큼한 냄새를 풍기며 상처 난 자리에서 배어 나오는 수액이지만 밤낮을 가리지 않고 여러 곤충이 찾아드는 공짜 잔칫상이다.가장 덩치가 크고 힘이 센 장...
    22.07.18 14:05 ㅣ 이상헌(shee)
  • 62화한 병에 15만 원? 전남 안마도 특산품으로 유명한 지네주

    많은 다리를 가진 탓에 사람들이 꺼려하는 지네와 그리마, 노래기

    서울 지하철 제기동역과 청량리역 중간에 자리한 경동시장(서울약령시)은 예로부터 한약재를 파는 시장으로 이름나 있다. 경동이란 서울의 동쪽이란 뜻이다. 1960년대에 노점상들이 모여서 농산물과 토산품을 팔기 시작한 데서 출발한다. 1970년대 ...
    22.07.14 16:23 ㅣ 이상헌(shee)
  • 61화이 곤충을 잡으면 벌금이 5천만 원?

    장수하늘소와 몸집이 비슷한 여러 돌드레들

    여름방학 숙제로 빠지지 않는 것이 곤충채집이지만 벌레에 대한 관심은 대부분 소년기 까지일 것이다. 인지능력이 발달하고 어른이 되어가면서 자연스럽게 흥미를 잃어버린다. 인간사의 모든 영역을 통틀어 곤충학은 마이너 중의 마이너 장르다. 취...
    22.07.11 16:34 ㅣ 이상헌(shee)
  • 60화탱크탑을 입었나? 반날개의 요사스런 배놀림

    노랑털검정반날개, 청딱지개미반날개... 반날개의 세계

    반날개는 이름 그대로 딱지날개가 몸통의 절반 정도만 덮고 있어서 붙은 이름이다. 반날개과에 속하는 곤충은 환경미화원 역할을 하는데 주로 동물의 사체에서 먹이활동을 하기 때문이다. 영명으로도 '짧은날개청소부(short-winged scavenger)' 라...
    22.07.08 11:25 ㅣ 이상헌(shee)
  • 59화러브버그가 교미를 오래 하는 이유, 바로 이겁니다

    고양시와 은평구 일대를 장악한 낯선 존재, 러브버그에 대한 모든 것

    매년 생각치도 못했던 여러 곤충이 이상 증식하여 사람들에게 불편함을 준다. 장맛비가 지나간 며칠 사이에 사랑벌레(lovebug) 이슈가 온라인 세상을 달구고 있다. 은평구와 고양시 일대에 러브버그가 창궐하여 시민들의 불편함을 유발하고 있다는 ...
    22.07.06 13:49 ㅣ 이상헌(shee)
  • 58화올여름 '모기 해방'에는 이게 필요합니다

    더위 심하게 탈수록 모기 잘 물려... 차단을 위한 최선의 방법은 모기장

    본질이 몹시도 작고 천한 네가 어찌하여 사람만 보면 침을 흘리느냐?밤중에 몰래 도둑질을 배운 너 따위가 무슨 현자라고 혈식을 하느냐?다산 정약용이 쓴 '증문'(憎蚊)이라는 시구로서 '모기를 증오' 한다는 뜻이다. 조선이 낳은 위대한 실...
    22.07.01 21:38 ㅣ 이상헌(shee)
  • 57화감자를 말려 죽이는 방아벌레를 아시나요?

    물의 힘을 이용한 물레방아, 사람의 다리힘으로 벼를 찧는 디딜방아, 소나 말을 이용해 곡식을 빻던 연자방아 등은 벼농사 문화를 대표하는 농기구다. 방아를 찧으면서 부르던 노동요이자 경기 민요인 방아타령은 시간이 흐르면서 당시의 대중가요...
    22.06.28 09:33 ㅣ 이상헌(shee)
  • 56화똥을 먹고, 짊어지고, 발사하고

    똥 먹는 독수리팔랑나비부터 은색팔랑나비의 똥총까지

    "아무리 우겨봐도 어쩔 수 없네 저기 개똥무덤이 내 집인걸~" 한돌 작사·작곡, 신형원이 부른 개똥벌레는 비록 내용은 서글프지만 아름다운 우리말의 선율을 느낄 수 있는 노래다. 개똥벌레는 지금도 아이들이 학예회에서 율동과 함께 부르는 인기...
    22.06.24 14:51 ㅣ 이상헌(shee)
  • 55화사기꾼 풍선파리와 강도질 하는 밑들이를 아시나요?

    풍선파리는 구애를 할 때 작은 곤충을 사냥하여 둥그렇게 포장을 하여 암컷에게 선물로 주는 습성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배 끝에서 끈적이는 거품을 내어 감싸는 녀석도 있고 앞다리에서 명주실을 뽑아 풍선을 만드는 종도 있다. 선물을 건네주...
    22.06.21 13:37 ㅣ 이상헌(shee)
  • 54화무당거미에 기생하는 사마귀붙이의 기묘한 일생

    피붙이를 비롯하여 쇠붙이나 금붙이 등으로 쓰이는 접미어 '붙이'는 같은 종류라는 뜻이다. 가령 도마뱀 중에서는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서식하며 심심치않게 옥내에 들어와 여러 해충을 잡아먹는 도마뱀붙이가 있다.곤충 세상에는 사마귀를 흉...
    22.06.17 19:29 ㅣ 이상헌(shee)
  • 53화개미의 사악함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뛰는 놈 위에 나는 놈, 그 모두에 기생하는 놈.' 우리네 삶을 불편하면서도 노골적으로 표현하자면 이렇게 말할 수 있다.자연을 깊이 들여다보면, 지금까지 확인된 생물 약 800만 종 가운데 대략 40퍼센트가 기생충이다. 태고 이래로 기생은 ...
    22.06.14 11:47 ㅣ 이상헌(shee)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Copyright © Ohmy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