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듣기

엄마 아빠 '종' 다른 찌르레기가 인간 사회에 시사한 것

[김창엽의 아하, 과학! 74] 인종 뛰어 넘는 인간들의 혼인은 대세가 될 수 있을까?

등록 2020.08.04 13:11수정 2020.08.04 13:58
0
원고료로 응원
살아있는 골프의 전설, 타이거 우즈는 어떤 인종에 속할까? 우즈는 과거 20대 초반 시절 자신의 인종을 묻는 질문에 '캐블리나시언'(Cablinasian)이라고 답한 적이 있다. 

자신에게는 백인(caucasian), 흑인(black), 북미 원주민(indian), 아시안(asian)의 피가 고루 섞여 있다는 뜻이었다. 급속한 세계화와 함께 인종 혹은 민족을 뛰어넘는 혼인이 크게 늘어나고 있는데, 사실 이런 현상은 '인간만의 전유물'은 아니다. 
      

찌르레기 외모 북미 찌르레기의 다양한 모습. 맨 왼쪽은 볼티모어 찌르레기, 맨 오른쪽은 불락스 찌르레기이다. 가운데는 혼혈종들의 모습. 혼혈의 자연도태가 두드러지는 점으로 미뤄볼 때, 2종류의 찌르레기는 서로 다른 종으로 남을 확률이 높다. ⓒ 질리언 디트너(코넬대)

    
북미에 흔한 새, 찌르레기(Oriole)는 크게 2개 종으로 분류된다. 대서양에 접한 동부 찌르레기와 태평양에 접한 서부 찌르레기가 그것인데, 각각 '볼티모어 찌르레기'와 '불락스 찌르레기'로 불린다. 미국 프로야구(MLB) 볼티모어 오리올스는 찌르레기가 미국 동부에 얼마나 흔한 새인지를 웅변한다.

그렇다면 동부와 서부의 중간지대, 대평원 지역에는 어떤 찌르레기가 살까? 이곳에는 혼종, 즉 볼티모어 찌르레기와 불락스 찌르레기 사이에서 태어난 다양한 혼혈 찌르레기가 적지 않다. 이들은 따로 부르는 용어가 없는, '무명'의 존재들이다. 

북미 찌르레기는 종 분류를 전문으로 하는 조류학자들에게는 '골치 아픈' 존재였다. 생물학적으로 종이란, 대체로 짝짓기를 통해 후손을 생산할 수 있느냐 여부가 중요한 분류 잣대 가운데 하나인데, 2개 종의 북미 찌르레기에는 이런 기준이 딱 들어맞지 않는 경향성이 있기 때문이다.

미국 코넬대 연구팀은 최근 볼티모어 찌르레기와 불락스 찌르레기 그리고 이들 사이에서 태어난 혼종 찌르레기 등을 포괄해 약 300마리의 찌르레기를 대상으로 유전자 분석을 했다. 연구팀이 얻은 결론은 볼티모어 찌르레기와 불락스 찌르레기를 별도의 종으로 봐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 같은 결론은 혼종의 서식 범위와 개체 수가 늘기는커녕 계속해 줄어들고 있다는 사실에 근거한 것이었다.

볼티모어 찌르레기와 불락스 찌르레기의 종 구별 문제는 조류학계를 들었다 놨다 하는 이슈였다. 1970년대 이후 미국 조류학계에서는 두 종류의 찌르레기가 사실상 생물학적으로 동일하다는 주장이 득세했었다. 이에 따라 1983년 두 찌르레기는 '북방 찌르레기'(Nothern Oriole)라는 이름으로 통일됐었다. 하나의 종이 된 것이었다. 

그러나 적잖은 조류 애호가들과 학자들의 반발이 계속됐고, 미국 조류연맹은 1995년 볼티모어 찌르레기와 불락스 찌르레기를 별도의 종으로 봐야 한다며 번복 결정을 내렸다. 코넬대의 이번 연구는 1995년의 결정을 유전적, 생태학적 차원에서 뒷받침하는 것이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코넬대의 제니퍼 월쉬 박사는 "두 종류의 찌르레기가 짝짓기를 통해 새끼를 낳을 수 있다는 점은 아주 분명하다"면서도, "그러나 후손 생산 여부가 종 구분의 전적인 기준은 될 수 없다고 말했다. 공통적으로 서식하는 공간에서 볼티모어 찌르레기와 불락스 찌르레기에 비해 혼종 찌르레기의 자연도태가 두드러지기 때문에 두 종류의 찌르레기는 하나의 종으로 '통합'되는 길을 가고 있기보다는 '분리'를 계속해 갈 가능성이 훨씬 높다는 것이다.
  

북미에 흔한 개개비. 푸른 날개 개개비와 금빛 날개 개개비의 2종이 사진처럼 혼혈종으로 통합되는 경향이 뚜렷하다. ⓒ 위키미디어 커먼스

 
세계적으로 수많은 조류 가운데 약 10%는 학술적으로 다른 종과 짝짓기를 통해 새끼를 낳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흥미로운 대목은 찌르레기처럼 별도의 종으로 남는 경향성이 강한 경우가 있는가 하면, 서로 다른 종이 섞여 하나의 종으로 단일화되는 흐름도 공존한다는 사실이다. 예컨대 푸른 날개 개개비와 금빛 날개 개개비는 혼종 개체들의 득세가 두드러지기 때문에 하나의 종이 될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찌르레기나 개개비의 혼종 추이는 인간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물론 사람 사회에는 생물학적 요인 외에도 사회문화적 영향이 크게 작용하긴 하지만, 미래 인류의 인종 분포와 관련해 음미해 볼 부분이 많다.

예를 들어, 남미나 미국 같은 경우는 인종이나 민족 경계를 뛰어넘는 혼인이 흔하지만, 이를 곧 전 세계적 흐름으로 볼 수는 없다. 한국이나 중국, 일본 등은 대체로 동일한 인종으로 민족만 다른 정도인데도, 오랜 교류의 역사까지 감안하면 이들 나라에서 서로 간의 혼인을 대세로 보기는 어려운 까닭이다. 

또 동서양이 지리적으로 만나는 중앙아시아 지역만 하더라도, 지난 수천 년 동안 인종을 뛰어넘는 혼인과 그렇지 않은 혼인 양상이 병존해 왔다고 할 수 있다. 미래 인류의 모습이나 유전자 구성은 그 흐름이 인공 지능을 통한 예측마저 쉽지 않을 정도로 간단치 않은 문제일지도 모른다.  
 

중앙 아시아 우즈베키스탄의 노인들. 이 나라에는 특정 인종으로 분류하기 쉽지 않은 사람들도 있고, 그렇지 않은 사람들도 적지 않다. 인종을 뛰어 넘는 혼인과 그렇지 않은 혼인, 이렇게 두 가지 흐름이 수천년 동안 병존해 왔다. ⓒ 위키미디어 커먼스

 
첨부파일 OrioleHybrids.gif
#찌르레기 #혼혈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신축년 6학년에 진입. 그러나 정신 연령은 여전히 딱 열살 수준. 역마살을 주체할 수 없어 2006~2007년 북미에서 승차 유랑인 생활하기도. 농부이며 시골 복덕방 주인이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61세, 평생 일만 한 그가 퇴직 후 곧바로 가입한 곳
  2. 2 죽어라 택시 운전해서 월 780만원... 엄청난 반전이 있다
  3. 3 "총선 지면 대통령 퇴진" 김대중, 지니까 말 달라졌다
  4. 4 민주당은 앞으로 꽃길? 서울에서 포착된 '이상 징후'
  5. 5 '파란 점퍼' 바꿔 입은 정치인들의 '처참한' 성적표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