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님, 목이 메어 애달프게 부르는 마지막 한 마디

내 육친 같은 큰집 형님이 세상과 이별을 하셨다

등록 2024.05.22 22:27수정 2024.05.22 22:27
0
원고료로 응원
【오마이뉴스는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생활글도 뉴스로 채택하고 있습니다. 개인의 경험을 통해 뉴스를 좀더 생생하고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당신의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찔레꽃이 곱게 피어 나는 5월, 찔레꽃은 내겐 추억이다. 찔레 향기를 벗하며 오늘 사랑하는 큰댁 형님이 하늘나라로 떠나셨다. 결혼해서 반세기라는 세월, 삶을 공유해 온 형님도 내게는 추억이며 내 삶의 일부였다. 여든다섯 해를 세상에서 살다가 이제는 만날 수도 없는 먼 곳으로 가시고 말았다.


생은 영원한 건 없다지만, 사랑하는 가족과의 이별은 언제나 아프고 슬프다. 내 삶의 한 조각이 소멸되는 느낌이다. 언제나 속 깊은 이야기를 나누고 희로애락을 같이 했던 날들이기에 더욱 그렇다.

형님은 이십 대에 결혼하여 종갓집 맏며느리로 자식 다섯 낳아 기르시고 층층시하 어른들 까지 모시며 일 속에 묻혀 살았다. 어른들 살아 계실 때는 찾아오는 손님들 때문에 밥상 차리는 일이 숫하게 많았고 한분 한분 돌아가시고 나서 일 년에 제사는 일곱 반상이나 지내야 했다. 나 역시 둘째 며느리지만 결혼 55년 제사를 한 번도 빠지지 않고 제사 음식을 같이 해 왔다. 하여간 시댁은 제사가 진심인 집안이었다.

옛날 세상, 며느리의 숙명처럼 여기고 나와 형님은 동지로 서로 위로하며 반세기를 같이 살아왔다. 내 육친 같은 형님. 조상 모시는 것이 그렇게 중요했던가, 사람이 몸으로 할 수 있는 일이 한계치가 있다. 너무 힘들면 몸이 신호를 보낸다. 옛 말에 골병든다는 말이 있다. 예전 며느리들은 골병이 들 정도로 일 속에 살아왔다.

나이 들어가면서 아프기 시작한 형님은 허리가 아파 수술을 했고 수술 후유증으로 아파서 전국 유명한 병원은 모두 찾아다니실 정도였다. 하지만 연세 들고 더는 손을 쓸 수 없어 집에만 머물다 요양병원에 들어가신 지 2년이 된 후 홀연히 세상을 떠나셨다. 마지막엔 먹는 걸 거부하셨는데, 아마도 당신이 예견이라도 하신 듯 생을 마감한 게 아닌가 싶다.

사람은 살아야 할 명분이 없으면 삶의 의욕을 잃는다. 모두는 때가 되면 누구나 가야 하는 저승길이지만 어떻게 생과 사를 마무리를 해야 할지, 나이 들면 그 일이 숙제처럼 가슴에 않고 살고 있다. 가까운 가족과의 이별은 가슴이 미어지는 일이다.


형님은 많은 사람들에게 정을 베풀었다. 사람이 잘 살고 못 살고는 그 사람이 세상을 떠날 때 알게 된다. 종갓집 며느리로 힘들었지만 주변에서 존경도 많이 받았다. 장례식장에는 형님 가시고 잊고 살던 친척들이 찾아와 추억을 뒤돌아보는 시간들이었다. 
                 
a

하얀 작약꽃 집 앞마당에 피어 있는 주인 잃은 하얀 작약꽃이 서럽다 ⓒ 이숙자

                                                             
한 줌의 재가 되어 땅속으로 들어가 이별을 하는 순간, 목이 메어 '형님' 한번 부르고 형님을 보낸다. 부디 저 세상에 가시어 아프지 말고 행복하셨으면 하는 소망으로 두 손을 함께 모은다. 

형님은 땅에 묻히고 산자들은 덥다고 나무 그늘에 서 있으려니, 바람은 세상에서 일어나는 일은 모르는 채로 살랑살랑 불어 볼을 스친다.


나는 그 바람의 느낌마저 슬픔으로 밀려온다. 이승과 저승의 사이 간격은 어느 만큼 일까? 도무지 알 수 없는 생과의 이별. 나는 땅속으로 들어가는 유골함을 바라보며 하염없이 눈물이 흐른다. 형수를 보내는 남편의 말 또한 아프다. "형수님 먼저 가 계셔요, 나도 곧 따라갈게요"라니.

한 많고 구비구비 살아온 사연 많은 한 사람의 생이 이렇게 끝났다. 땅에 묻히는 엄마의 유골함을 보며 딸들이 부르는 "엄마" 소리가 더 애달프고 숙연해 온다. 이 땅 며느리들의 굴레는 우리 세대에서 끝나기를 소망한다. 시댁 제사와 일 속에 묻혀 살았던 날들. 형님이 이제는 모든 걸 내려놓고 아프지 말고 편히 쉬시길 빌어본다.
덧붙이는 글 이 글은 기자의 브런치에도 실립니다.
#형님 #세상과이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글쓰는 설원 이숙자 입니다.


AD

AD

AD

인기기사

  1. 1 고장난 우산 버리는 방법 아시나요?
  2. 2 마을회관에 나타난 뱀, 그때 들어온 집배원이 한 의외의 대처
  3. 3 삼성 유튜브에 올라온 화제의 영상... 한국은 큰일 났다
  4. 4 세계에서 벌어지는 기현상들... 서울도 예외 아니다
  5. 5 "청산가리 6200배 독극물""한화진 환경부장관은 확신범"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