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의도
1936년 베를린올림픽에서 일본 국기를 가슴에 단 손기정이 월계관을 쓴 고개를 푹 숙이고 있었을 때부터 독일은 한국 근현대사의 주요 무대 중 하나였다. 긴 역사는 몇 명의 인물들로 요약된다. 1959년 이주를 시작한 만여 명의 파독광부와 파독간호사, 1967년 동백림 사건의 윤이상, 1989년 독일을 거쳐 방북한 임수경, 2003년 송두율 교수 사건의 송두율 전 독일뮌스터대학교 교수, 그리고 2016년 국정농단 사건의 최순실이다. 하지만 이 거대한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는 평범한 사람들의 비범한 이야기도 켜켜이 쌓여있다. 독일에서 본 한국의 역사, 그 속에서 우리가 쉽게 듣지 못했던 시간들을 전한다.
김종술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셨습니다.
내방에서 확인하시겠습니까?
확인취소
오마이뉴스 독일통신원. 한국에서 공공미술가로 활동하다 현재 베를린에서 대안적이고 확장된 공공미술의 모습을 모색하며 공부하고 있다. 주요관심분야는 예술의 사회적 역할과 사회 공동체안에서의 커뮤니티적 예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