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명댓글
156
이회창의 매국적 추태와 북한의 자주적 태도 보도 (0)
  New York Times 2002.02.10 11:28 조회 0 찬성 0 반대 0


February 9, 2002

KOREA 한국관련 뉴스
North Korea Cancels Trip by 4 Experts From the U.S.
북한은 미국의 전문가들 4명에 대한 입국허가 계획 취소


By MICHAEL R. GORDON
마이클 R. 고돈 記者





WASHINGTON, Feb. 8 ?Reacting to President Bush's charge in his State of the Union address that it was part of an "axis of evil," North Korea today backed away from an initiative it had quietly begun for opening a dialogue with influential American experts.

부시가 국정연설에서 북한의 "악의 축"의 일부라고 주장한 것에 대한 대응으로
북한은 오늘
자신들이 미국의 영향력 있는 전문가들과 대화를 자신들의 주도하에 추진하고자 했던
그 계획을 전면 취소하여 버렸다.


In recent months, North Korea had encouraged a visit by former American ambassadors to South Korea. The move was widely seen as North Korea's way to keep up its channels of communication with the United States despite its frosty relationship with the Bush administration.

최근 몇 달동안, 북한은 전직 주한 미대사들의 입국을 장려하는 입장이었다.
그러한 북한의 태도는 부시 행정부와의 냉각된 관계에도 불구하고
미국과의 대화 통로를 더욱 확대해나가려는 움직임으로 이미 전 세계에 잘 알려져 있었다.


But today North Korea's Mission to the United Nations informed the group that the visit was off.

그러나 유엔 주재 북한 외교관들은 그 방문은 이제 끝이라고 통보해버렸다.


"I am sure it happened because of the State of the Union address," said William H. Gleysteen, one of the four former ambassadors who was to make the trip. "They probably found it very offensive."

"부시 그 씨발넘이 국정연설을 개뼉다구로 하니까 그런 것 아니면 무엇이겠습니까?"라고
그 여행 계획에 포함되었던 중 한명이 윌리엄 H. 글라이스틴 대사가 말하였다.
"당신들 같으면 그거 열 안받겠습니까?" 그의 말이다.



Stephen Bosworth, the dean of the Fletcher School of Law and Diplomacy at Tufts University in Medford, Mass., and another of the former ambassadors, agreed that North Korea canceled the trip because it "did not want to send a modestly positive signal right now."

매사추세츠주의 메드포드에 있는 터프트 대학의 법과 외교학과장인 또 다른 전직 주한 미대사
스티븐 보스워스는
"지금 당장으로서는 미국에 대하여 긍정적이고 온건한 입장을 보이고 싶지 않았기 때문"에 그 방문수락을 취소하였을 것이라는 점에 동의하였다.




Mr. Bush's address and his repeated denunciations of North Korea have ignited an intense debate about the best way to discourage North Korea's missile sales, limit its military potential and defuse tensions on the Korean peninsula.


부시의 연설과 그의 반복된 북한에 대한 모욕적 언사는
어떻게 하면 북한의 미사일 수출에 대한 기를 꺽고, 북한의 군사적 잠재적 성장력에 제동을 걸고, 어떻게 하면 한반도의 긴장을 풀 수 있는가에 대한
방법론상에 대하여
격렬한 찬반토론을 불러일으켰다.

<참 뉴욕 타임즈 기자들, 기사 쓰는 것 정교하지요?
위 격렬한 찬반토론은 일정한 수식어가 없기 때문에
미국이건 한국이건 북한이건 전 세계이건 관계 없는 것입니다.>
<이런 좋은 버릇은 본받고 배울 생각을 하지 않고서
맨 개수작만 부리는..>


Even before the speech, the administration had taken a particularly tough stand toward North Korea. While the Clinton administration had tried to negotiate a deal that would have ended North Korea's missile sales and production, the Bush administration broadened the list of demands to include the speeding up of nuclear inspections and conventional arms.

그 연설 이전에도, 부시 행정부는
북한에 대하여 유독 거친 태도를 취하였던 바 있다.
클린턴 행정부가
북한의 미사일 수출과 생산을 중단시킬 수 있는 방안을 협상하려고 한 반면,
부시 행정부는
핵무기에 대한 검사와 재래식 무기를 가속화시키기 위하여]
북한에 대한 요구조건을 마구 확장시켰던 것이다.

(존만한 부시 색이 씨바. 열받어 정말)



Secretary of State Colin L. Powell has emphasized his willingness to begin talks at any time. But North Korea has reacted negatively to the stiffened American demands.

국무장관인 콜린 L. 파월은 어느 때라고 북한과 대화할 용의가 있다는 점을
누누히 강조해왔다.
그러나 북한은 거칠어진 미국의 요구에 대하여 부정적으로 거절해 버렸다.


The White House insists that the "axis of evil" language was needed to put North Korea on notice that Washington would not tolerate the expansion of its programs to develop weapons of mass destruction. But the tough oratory has created serious political problems for South Korea, which Mr. Bush is scheduled to visit on Feb. 19.

백악관은 계속 "악의 축"이라는 단어가 북한에 대하여
워싱턴은 북한의 대량살상 무기 개발 확장을 용납하지 않겠다는 점을 알리기 위한
의도였다는 점을 주장한다.
그러나, 그러한 거친 어투는 부시가 2월 19일날 방문하기로 되어 있는
남한에 심각한 정치적 문제점들을 야기시켰다.


The tense relations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have been a major worry for South Korea's president, Kim Dae Jung, whose "sunshine policy" has encouraged closer ties with North Korea. Mr. Bush's address has also drawn a sharply negative reaction from much of the South Korean public.

북한과 미국의 긴장된 관계는 "햇볕정책"으로 북한과 가까운 관계를 격려하였던
남한의 김대중 대통령의 심각한 걱정거리가 되어버렸다.
부시의 연설은
남한의 대중들에게 아주 심각하게 부정적인 반응을 결과적으로 이끌어낸 것이다.


Against this backdrop, the scheduled visit by the four former ambassadors had attracted enormous interest in South Korea, where it was seen a potentially hopeful sign. In addition to Mr. Gleysteen and Mr. Bosworth, the group was to have included the former ambassadors Donald Gregg and Richard Walker. Robert Scalapino, a Korea expert and professor emeritus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had played a major role in organizing the trip and was also scheduled to go.

이러한 배경과는 달리, 4명의 전직 주한 미대사들의 북한 방문 계획은
남한에 엄청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즉 잠재적으로 희망적인 징조였던 것이다.
글라이스턴 씨와 보스워스 씨 이외에도, 전직 주한 미대사 도날드 그렉과 리차드 워커가
포함되어 있었다.
한국문제 전문가이며 은퇴한 캘리포니아 대학 교수인 로버트 스칼피노는
이번 방문을 만드는 데 중요한 역활을 하였으며,
함께 방문하기로 되어 있었다.



Mr. Scalapino said in a telephone interview that North Korean officials quietly proposed the visit in recent months. The State Department was aware of the visit, but the former ambassadors were not carrying a message from the Bush administration or negotiating on its behalf.

스칼피노 씨는 전화 통화에서
북한이 (정말 눈물난다. 이렇게 착한 북한...아이 씨파 진짜. 열받아 못살겠네. 개만도 못한
색이들... 다 죽여버릴까부다, 씨바 정말..)
최근 몇 달 동안 조용히 이러한 방문을 제안하였다고 밝혔다.
국무성은 그 방문에 대하여 알고는 있었지만,
그 전직 대사들은 (자기의 직업 의식에 너무나도 철두철미하고, 은퇴를 하고서도
수십년이 지나서도 자기가 일하던 국가의 악착같이 적성국으로 분류하던 국가에 대하여도
기꺼이...)
부시 행정부를 대신하여 협상을 하거나 그 메시지를 전달할 예정은
아니었다.



But today, North Korea's ambassador to the United Nations, Pak Gil Yon, indicated that he had received instructions from Pyongyang canceling the trip. He did not link the cancellation to the State of the Union address, but Mr. Scalapino said it was clear that it was the reason.

그러나 오늘, 유엔 주재 북한 대사 박길연 씨는
평양으로부터 그 방문을 취소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지적했다.
박 대사가 그 취소 사유가 부시(그 존만 색이의) 국정 연설과 연계시켜서 말하지는
않았지만 (아주 세련된 외교관이군. 주체적이고 품위 있다.)
스칼피노 씨는 그 이유 밖에 더 있겠느냐고 말했다.


  제목 이름 입력일시 찬성 반대 조회
163
02.10 12:34
0
0
0
162
초대 대통령
02.10 12:13
0
0
0
161
까치세상
02.10 11:51
0
0
0
160
밤의주필 진중권
02.10 11:49
0
0
0
159
21세기황제
02.10 11:42
0
0
0
158
까치세상
02.10 11:37
0
0
0
157
뉴욕 단란주점 콜걸
02.10 11:29
0
0
0
156
New York Times
02.10 11:28
0
0
0
155
New York Times
02.10 11:28
0
0
0
154
밤의조선일보
02.10 11:19
0
0
0
153
30대시민
02.10 11:00
0
0
0
152
방반
02.10 09:41
0
0
0
151
미대사관
02.10 09:22
0
0
0
150
까치세상
02.10 08:29
0
0
0
149
까치세상
02.10 08:13
0
0
0
148
까치세상
02.10 07:57
0
0
0
147
펀돌이
02.10 06:43
0
0
0
146
네티즌
02.10 06:06
0
0
0
145
나부시?
02.10 04:59
0
0
0
144
조지 부시
02.10 02:53
0
0
0